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미-
dc.creator김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간의 상호관련성을 비롯하여,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부모관련 변인들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나아가 부모관련 변인들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3개 구에 위치한 4개의 유치원과 1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249명의 5-7세 아동의 어머니들과 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을 번안하였고, 양육효능감은 Floyd, Gilliom, 그리고 Costigan(1998)의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를 안지영(2000)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양육행동은 Crease, Clark, 그리고 Pease(1978)가 개발한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IPBI: Mother form)'을 김정아(1990)가 번안한 척도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도현심(1994)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 척도: 유치원용'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은 어머니에 의해,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와 교사에 의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녀 아동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의 요인인 부모의 고통과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적극적 참여, 규제, 합리적 지도 등의 양육행동요인들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났다. 한편, 여아의 경우에만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반응성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은 적극적 참여와의 관계에서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과는 부적 관계를,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과는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남녀 아동의 경우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적극적 참여, 규제, 합리적 지도와 정적인 관계를,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적극적 참여 및 합리적 지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여아의 경우,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반응성과의 관계에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남아의 경우,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규제와의 관계에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면,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양자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남아의 경우 부모의 고통 및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규제간의 관계를, 여아의 경우 부모의 고통 및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적극적 참여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성차를 보였다. 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관계를, 양육효능감의 한 요인인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정적인 관계를, 양육효능감의 또 다른 요인인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부적인 관계를, 그리고 적극적 참여, 규제, 합리적 지도 등의 양육행동요인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교사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부적인 관계를,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아동의 대인적응성에,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은 인기도/지도력에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남아의 경우에만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인기도/지도력 및 사회적 참여와 정적관계를,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인기도/지도력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남아의 경우는 규제 및 합리적 지도는 인기도/지도력 및 사회적 참여와, 여아의 경우는 적극적 참여가 대인적응성과 정적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부모관련 변인들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어머니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서 남녀 아동 모두 대인적응성은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인기도/지도력은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사회적 참여는 남아는 합리적 지도가, 여아는 반응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경우, 남녀 아동 모두 대인적응성과 인기도/지도력은 각각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사회적 참여는 남아의 경우에만 어머니의 규제가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in preschoolers.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was explored in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Also, the relations of the parenting-related variable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on the social competence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249 mothers of 5-7 year-old kindergarteners and their 16 teacher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Abidin(1990)'s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Ahn(2001)'s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Kim(1990)'s,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IPBI: Mother form)' and Doh(1994)'s 'Social Competence Scale: Kindergartener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o parenting behavior, parental distress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limit setting, and reasoning guidance both in boys and girls. Only in girl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responsiveness, and difficult tempera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In the relations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conf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limit setting, reasoning guidance and under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reasoning guidance. In girls, however, parenting conf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responsiveness, and in boys, under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limit setting. Also,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confidence and positively related to under control. In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efficacy in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confidence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Under control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distress/difficult temperament and limit setting and between parental distress/difficult temperament and parental involvement in boys,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re were some sex differences. Second, in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 soci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mot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confidence, negatively related to under control, and positively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limit setting, and reasoning guidance. Except parenting stress,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teach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confidence and negatively related to under control scale in boys.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teac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n boys. In girl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difficult tempera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opularity/leadership. In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ly in boys, parenting confid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popularity/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under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popularity/leadership. In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boys, limit setting/ reasoning guid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popularity/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in girls, parental invol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adjustment. In the relative influences of maternal variables on the social competence,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difficult temperament, parenting confidence, and reasoning guidance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o explain the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mothers both in boys and girls. Only in girls, however, responsive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mother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o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teachers both in boys and girls. Only in boys, however, limit setting and responsiveness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o social competence reported by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7 A. 사회적 능력 = 9 B.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 11 C.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16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23 A. 연구문제 = 23 B. 용어정의 = 24 Ⅳ.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조사도구 = 30 C. 연구절차 = 38 D. 자료분석 = 38 Ⅴ. 연구결과 = 40 A. 예비분석 = 40 B.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 45 C.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59 D.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 67 Ⅵ. 논의 = 71 참고문헌 = 87 부록 = 101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80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