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辛恩希.-
dc.creator辛恩希.-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8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880-
dc.description.abstract本 論文은 韓國에 있어서 처음으로 言論에 의한 情報請求權制度가 마련됨에 따라, 同制度의 法的 意義, 內容, 問題点 및 運營實態에 대하여 硏究, 檢討한다. 이로써 보다 效率的이고 國民의 알 權利를 充足시켜줄 수 있는 情報公開制度에 대한 方案을 提示하고자 한다. 本 硏究에서는 各國의 情報公開制度 즉 美國의 情報自由法, 스웨덴의 出判自由法, 프랑스의 行政과 公衆의 關係改善에 관한 法, 西獨의 行政節次法, 덴마아크의 行政保管文書公開法, 네델란드의 行政公開法, 노르웨이의 行政文書公開에 관한 法, 오스트리아의 聯邦省法을 中心으로 同制度의 成立背景, 內容, 利用狀況을 살펴보고, 韓國의 情報請求權制度와 各國의 情報公開制度를 비고 檢討하고자 한다. 本 硏究에서는 情報公開制度를 規定하고 있는 法條文을 中心으로 하여 分析하고 關係文獻 및 同法律에 대한 法院의 判例를 參考로 하였다. 韓國의 情報請求權의 運營實態 및 言論人들의 同制度에 대한 態度調査는 서울에 있는 6個의 一般日刊新聞社의 編輯長을 對象으로 하여 個人面談을 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로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情報公開制度를 채택하고 있는 國家中에서 西獨을 除外하고는, 情報를 請求할 수 있는 權利를 一般國民에게 인정하고 있다. 이에 西獨의 諸州와 韓國은 言論에게만 情報請求權을 인정하고 있다. 各國의 情報公開에 대한 適用排除基準은 각기 달라서, 스웨덴처럼 "秘密維持法"을 따로 定하여 상세하게 規定하는 例도 있는 반면, 그 基準이 모호한 國家도 있다, 이러한 基準에는 國家의 安全 및 外交關係, 公共의 利益이나 個人의 私生活을 侵害하는 것, 法執行에 關係되는 것 등이 공통적이다. 韓國의 情報公開에 대한 適用排除基準은 모호하고 포괄적이어서 확대해석을 할 경우 實效性이 없어진다는 批判을 받고 있다. 韓國을 비롯하여 情報公開制度를 채택하고 있는 國家에서는 情報公開의 拒否에 대한 救濟制度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美國을 제외하고는 故意로 행한 情報公開與否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다. 各國의 情報公開制度를 利用하는 비율은 個人으로서의 一般國民이 가장 높고 言論人에 의한 利用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韓國의 情報請求權의 運營實態는 全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法施行이후 現在까지 情報請求權을 행사한 言論人이 한명도 없었다. 또한 言論人들의 情報請求權에 대한 態度는 전체적으로 否定的이었다. 韓國의 情報請求權制度가 例外條項, 救濟措置 등의 法자체가 問題点과 言論人들의 同制度에 대한 否定的인 態度로 인하여 그 實效性이 없다면, 이에 대한 再考해 보아야 할 것이며, 制度的 改善을 摸索해야 할 것이다. 이에 現在의 情報請求權에 관한 改善方案으로서 言論에만 情報請求의 權利를 인정하는 것이 아닌, 一般國民 모두가 직접 情報에 接近할 수 있고, 그에 대한 公開를 要求할 수 있는 權利를 갖는 制度로의 移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든 國民에 의한 公的 情報에의 接近權의 確保는 國民의 알 權利를 保障하고 나아가서는 民主主義의 實現을 가져올 것이다.;This thesis reviews the legaal significanees, contents, problems and managerial states of the new system of a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cheme about the freedorn of information which is more effective and is to satisfy the people's right to know. This study stirvey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details, and the situations of application of the system, based on the systems in various nations - ie. the United States, Sweden, France, West Germany, Denmark, Holland, and Austria, and then make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system of a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in Korea with the system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in such nation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nalyze the laws defining the system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s. 2) consult the relating literature and judicial precedent of the laws. 3) make a personal interview with the chief editors of the six general daily newspapers in Seoul. Following facts are clarified as results of the study: Most nations but West Germany allow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 information, while Korea and some states in West Germany give the right to access only to the press. The exemption criteria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show different trends in each nations. For example, Sweden defines it in detail establishing "Secret Act," but some nations have obscure criteria. Generally, such criteria are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of each nation, foreign policies, public or private interests, and legal enforcement. In Korea, the exemption criterion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seems obscure and inclusive, so is criticized to be not obtain desired result in case of extensive construction. Most nations including Korea which accept the system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establish a remedy about the rejection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But there are no penalty provision to the rejection except the United States. In every nations, the generality of people as an individual utilize the system in the highest ratio, but the utilization by journalists show the least ratio. In Korea, the managerial state of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is none at all. Since the law is promulgated no journalists has excercised the law, and most journalists take a negative attitude of the law. If the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in korea cannot obtain desired result because of the problem in itself like exmmption and remedy, and oecause of negative attitude by the journalists, we should reconsider it and grope after the systematic improvement consequently, the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is given only to the press of present, but it should he extended to all the people. What all the people sevure the right to access the oublic information will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bring to realization of democr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問題의 提起 = 4 C. 硏究의 範圍 = 4 D. 硏究의 方法 = 5 Ⅱ. 情報公開의 必要性 및 問題点 = 6 A. 情報公開의 必要性 = 6 B. 情報公開에 따른 問題点 = 12 Ⅲ. 各國의 情報公開制度 = 15 A. 美國의 情報公開制度 = 15 B. 스웨덴의 情報公開制度 = 37 C. 프랑스의 情報公開制度 = 43 D. 西獨의 情報公開制度 = 47 E. 덴마아크의 情報公開制度 = 53 F. 네덜란드의 情報公開制度 = 54 G. 노르웨이의 情報公開制度 = 56 H. 오스트리아의 情報公開制度 = 58 I. 日本의 現況 = 60 Ⅳ. 韓國의 情報請求權 = 63 A. 法的 根據 = 63 B. 韓國의 情報請求權 = 78 Ⅴ. 結論 및 提言 = 97 參考文獻 = 104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07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정보청구권-
dc.subject정보공개제도-
dc.title한국에 있어서의 정보청구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ight of access the government information in korea-
dc.format.pagevi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