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專修學校의 實態와 運營에 關한 硏究

Title
專修學校의 實態와 運營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EDUCATIONAL MANAGEMENT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 High School Level In Korea
Authors
黃貞淑.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전수학교운영실태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硏究의 目的은 專修學校의 發達過程을 살피고 實態와 運營現況을 把握하여 그 問題點을 찾아 專修學校 敎育에 대한 改善方案을 提言하려는 데 있다. 本硏究는 文獻硏究와 質問紙法 및 面接法을 使用하여 서울特別市의 28個 專修學校를 對象으로 實態를 把握하고, 特히 學生, 卒業生, 敎師, 敎育行政家, 敎育專門家, 企業體, 社會一般人에게 質問紙法을 통하여 專修學校에 대한 意見을 調査하였다. 本論文의 構成槪要근 第1章에서 硏究問題를 設定하고, 硏究의 目的과 方法 그리고 硏究의 限界點을 들고, 몇가지 先行硏究를 紹介하였다. 第2章에서는 專修學校의 發達過程을 發足動機와 設立要件, 그리고 成長過程으로 나누어 考察하고, 現行 學制와 法制面에서 본 專修學校의 位置를 알아 보았다. 第3章에서는 本硏究의 意圖에 따라 專修學校의 現況과 實態를 把握하였는데 먼저 設立 및 分布現況을 살펴보고, 學生現況과 敎員現況 그리고 敎科運營實態를 알아 보았다. 또 就業 및 進學狀況과 學力認定上의 問題를 學校施設實態와 關聯하여 살펴 보았다. 第4章에서는 앞에서 나타난 問題點 外에 특히 專修學校 敎育運營上 問題가 되고 있는 點을 運營者(學校長)와 學生, 그리고 敎師의 面에서 알아 보았다. 이상과 같은 硏究를 통하여 얻어진 結論의 要旨는 다음과 같다. 첫째, 專修學校는 高等公民學校 卒業生의 進學問題와 關聯하여 그 對策의 一環으로 高等公民學校에 倂設, 發足된 高等學校에 準하는 各種 學校이다. 둘째, 專修學校에 關한 規定이나 施行細則 等의 法的 뒷받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高等學校의 그것을 準用하고 있어 專修學校의 特殊性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으며, 制度上으로도 基幹學制 밖에 位置하여 그 位置가 모호하므로 制度面에서 運營面에서 改善되어져야 할 問題點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專修學校의 現況과 實態에서 나타난 問題點을 살펴보면, (1) 設立者가 學校長을 兼職하고 있는 學校가 46%나 되어 敎育運營上 問題點이 되고 있으며, 學校分布가 비교적 特定地域에 편중되어 있다. (2) 學校의 學生規模는 學校間에 큰 隔差가 있었다. 特히 文敎部로 부터 學力認定을 指定받은 學校는 學生數가 비교적 많은데 비하여 非學力認定學校에 있어서는 零細學生人口를 갖고 있는 學校가 많다. (3) 入學生가운데 中學校 出身者가 60%이상 되어 本來의 設立意圖와는 거리가 멀어지는 감이 있으며 이와같은 現象이 加速될 可能性이 많은 바 高等公民學校의 運營에도 커다란 타격을 초래할 것이 豫測된다. (4) 在學生의 意識構造에서 볼 때 家庭事情의 不遇함과 實力不足에서 오는 劣等意識과 좌절감 등은 이들의 情緖的 安定感을 해치고 있으며 學校에 대한 긍지보다는 否定的인 劣等感이 2倍이상 作用하고 있어 學業成就面에서 問題가 되고 있다. (5) 敎員의 動向을 살펴보면 비교적 敎職觀은 確立되어 있으나 50%에 가까운 숫자가 離職을 고려하고 있어 敎員에 대한 處遇改善과 質, 量面에서의 敎員確保의 問題가 講求되어야 하겠다. (6) 敎員의 再敎育問題도 역시 正規學校 敎師의 그것에서 除外되고 있는 實情으로 文敎部의 政策的 배려와 機會賦與가 要求되고 있다. (7) 敎科課程 運營上 나타나는 問題로서는 職業敎育을 위한 技能敎育에서 學生들의 興味와 適性이 고려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비록 적은 숫자이지만 進學을 希望하는 學生들에게 門戶가 좁게 열려져 있어 대부분 進學이 좌절되고 있다. (8) 就業指導에 있어서는 就業方法이 多樣하므로 이에 대한 學校側의 就業輔導와 實力養成을 어떻게 조화시켜 運營할 것인가에 問題가 있다. (9) 學校施設을 基準으로 部分的인 學力認定을 指定하여 주는 것은 本來의 設立目的에 어긋나며, 學力認定學校와 非認定學校間의 施設規模의 差異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特히 職業敎育을 위한 施設未備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넷째, 專修學校의 敎育運營上 나타난 몇가지 問題點을 살펴보면, (1) 學校長(運營者)의 敎育觀이 덜 確立되어 있으며 學校運營에 있어 定員超過問題, 學生의 轉, 編入學時의 業務處理 紊亂, 學校運營者의 敎育基本財産에 대한 任意處理 및 倂設 技術學校 學生들과의 混成授業 等은 커다란 學園不條理로 指摘되고 있다. (2) 學生들은 正規高等學校와 同一한 대우를 願하고 있는데 反하여 社會的으로 認識이 不足되고 있으며, 差別待遇를 받고 있다. (3) 敎師들은 過重한 授業負擔을 하고 있다. 이러한 硏究結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提言을 한다. 첫째, 本來의 專修學校 設立趣旨와 敎育目標를 살리기 위하여 專修學校에 關한 必要한 規定이나 施行細則이 마련되어 特殊性있는 位置를 制度的으로 保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設立者와 學校長을 兼職하는 것은 敎育의 正常的 發展을 위하여 조속히 分離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專修學校도 特定區域에 편중되지 않고 地域的 要求에 따라 均衡있게 設置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學校의 學生規模를 조정하여 均衡發展을 위한 文敎當局의 철저한 對策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學生들의 劣等意識을 극복시키기 위한 生活指導, 就業指導 또한 進學指導 等이 適切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政策的 배려와 社會的 認識等이 改善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敎員에 대한 處遇改善과 再敎育의 機會賦與가 正規學校敎員과 같이 있어야 할 것이며, 過重한 敎授負擔을 줄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進學指導와 就業指導에서 學校側의 合理的인 運營計劃과 輔導를 철저히 하고 社會, 企業體등에서도 이들에게 就業의 門戶를 넓게 열어 주어야 할 것이다. 여덟째, 專修學校의 設立趣旨에 따른 就業敎育 實施를 위한 施設을 더욱 擴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홉째, 全般的인 學校敎育運營에 있어 不條理는 엄격히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The objectives of the study :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and management in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 to survey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oward school life, and suggest desirable proced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The study utilized manuscripts, documents, report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on the miscellaneous schools in Seoul. It analyzed questionaries, collected from both administrators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and professional group versed with the subject. Interviews were also used. In chapter Ⅱ,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were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Ⅳ, an analysis was made on the status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the establishment, students environment, grades, curriculum practies, faculty personnels, and school facilities, etc. Opinion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educational specialists, and professional group versed with the problems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another survey was made to find out needs and wished of miscellaneous school students (High school level in Korea). Finding of the Study 1. The situation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in law is vague now. 2. The object of the establishment have became changeable. 3. Students have many inferiority complex. 4. Most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has not only lack of teachers but not the opportunity of their re-training. 5. No consideration of interesting and aptitude of students on curriculum practicies. 6. Graduates of the miscellaneous schools (High school level in Korea) have taken various methods of employment. 7. School facilities are not enough to educate their students and that for vocational education are also lack. 8. some uneducational problems. 9. lack of social recog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