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8 Download: 0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Title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Authors
조미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천연염색은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주위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색을 얻어 온 방식이었으나, 1856년 퍼킨(W. H. Perkin)에 의해 합성염료가 등장함으로써, 그 편리성에 밀려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100여 년이 지난 지금 합성염료의 사용으로 인한 폐해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문명이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환경과 건강에 대한 추구, 소비의 개성화, 다양화, 고급화의 욕구는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일본을 비롯한 유럽선진국들에서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한창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합성염료의 대중화와 함께 사라졌던 우리나라의 천연염색이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누구에 의해 복원, 연구되어 현재까지 왔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천연염색이 처해 있는 현주소를 밝혀 이후에 천연염색이 나아갈 방향을 찾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천연염색의 일반적인 특징과 방법을 알아보고, 현대사회에서 천연염색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천연염색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에 직면한 현대에 환경 친화적인 산업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성화, 다양화되어 가는 소비자 욕구에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감성을 추구하는 경향에는 문화적·교육적으로 활용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단절되었던 천연염색이 현재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민속자료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또 초기에 활동한 연구자와 천연 염색가들을 찾아 직접 인터뷰와 전화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결과 1950년대에 합성염료가 대중화되면서 천연염색이 단절되었다는 사실과 멸종되었던 쪽씨를 1977년에 일본에서 들여오게 된 경로를 알게 되었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전통염색 복원의 노력은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천연염색을 실용화시키기 위한 연구로 바뀌고, 이때부터 정부차원의 지원이 시작된다. 한편 천연염색을 소재로 한 방송과 전시회는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천연염색공개강좌와 관련 서적의 출판 등을 통해 대중화가 가속화되었으며, 천연염색 관련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업체들이 생겨났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천연염색 대량생산 기술이 개발되었고 업체들도 늘어났다. 또한 일부 천연 염색가들을 중심으로 하던 천연염색전시회와 교육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와 같은 천연염색의 동향을 학술연구, 실용화·산업화의 측면, 그리고 천연염색 교육현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술연구의 동향은 1970년부터 2003년까지 천연염색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 학술지 게재 논문,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연구보고서, 천연염색 관련 단행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을 시기별로 연구 분야와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천연염색을 주제로 한 학술연구는 총 435편으로 학위논문174편(석사153편, 박사21편)이고, 학술지 게재 논문 217편, 연구보고서 19편, 단행본 25편이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전통염색의 복원과 천연염료의 염색성을 중심으로 하던 연구가 1990년대에는 천연염색의 실용화를 위한 천연염색의 기능성, 가공처리, 색상의 다양화 등으로 연구 내용이 다양화, 세분화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는 천연염색을 패션, 디자인, 공예, 교육 등에 응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연구의 양적인 증가에 비해 질적인 성과가 미흡하며,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용화ㆍ산업화의 현황은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천연염색사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2001년 전라남도는 천연염색을 지역의 문화산업으로 선정하였다. 나주와 보성 지역에 천연염색단지를 조성할 계획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천연염색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2001년부터 천연염색을 농가의 소득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전국 25개 지역에서 천연염색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천연염색 관련업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자료나 조사가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천연염색 시장의 규모, 관련업체 수, 매출액 등과 같은 기초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천연염색 관련 신문기사, 인터넷검색, 업계 종사자나 기자들과의 직접 면담과 전화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조사하였다. 전체 산업화 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해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관련업계 종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업계의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했다. 천연염색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천연염료의 대량생산과 염색 공정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2000년대에 들어 천연염료의 대량생산 기술과 염색공정 표준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견뢰도 향상', '염색공정의 천연화' 등의 해결해야 될 과제가 남아있다. 천연염색 관련업체의 현황을 보면 황토염색은 황토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확산과 염색기술의 발전으로 어느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염료 시장의 경우 아직 실용화를 위한 준비 단계이다. 대량생산이 가능한 염색업체의 경우는 기능성 내의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소규모 가내수공업 생산방식의 업체는 의류, 침구류, 소품류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몇몇 업체를 제외하고는 염료, 염색,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병행하는 곳이 많다. 이는 천연염색 시장이 각 분야가 전문화 될 만큼 성숙되지 못했다는 현실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천연염색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천연염색 교육이 공공 기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교양강좌/소득을 위한 전문교육/일회성 체험교육-로 진행되고 있고, 대학에서도 정규과목으로 교육되고 있다. 현재 국내 천연염색 업계의 현황은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해결해야 될 기술적 과제가 남아 있고, 소비자를 만족시킬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변확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과 건강을 중요시하는 세계적인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천연염색 산업을 (환경산업으로) 국가전략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Natural dyeing, a method the mankind had used for thousands of years to draw colors from nature, began to be replaced by synthetic dyeing ever since W. H. Perkin introduced artificial dyes in 1856. As synthetic dyeing has prevailed due to its convenience and facility, however, the harmful influence of synthetic dyes has also begun to emerge, inducing people to pay more attention to natural dyeing. Moreover, the advancing civilization and improving living standard have led to people's pursuit of healthier environment and desire for consumption to be more individualized, more diversified, and of higher quality, which all help to promote the interest in natural dyeing, especially in Japan and the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where effort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egarding this issue are ac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1) review the recent history of natural dyeing in Korea, a process of restoration of natural dyeing from the stage when it was almost disappeared with the popularization of synthetic dyeing up to the present when natural dyeing is on the way to being popularized, (2) discover the status quo of natural dyeing, and (3) thereby suggest the direction(s) of its desirable future. To this purpose, the study also reviews the general features and methods of natural dyeing, and examines the meaning(s)) of natural dyeing in a modern society. In a modern society faced with serious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al dyeing has good possibility to grow as a environment-friendly industry. As for the more and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desire of the consumers, natural dyeing can be a way to produce high value-added goods. It also provides some cultural, educational values which can appeal to the trend to pursue emotion. For the methodology to restore the history of natural dyeing, a bibliographical review on the prior researches and folk materials was done, along with a series of interviews with a few early natural dyers(of the 1980's). The trend of natural dyeing was reviewed in three aspects: academic research, practical use and industrializ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s. First, the trend in academic research was reviewed by surveying the literatures between 1970 and 2003, referring to the topic of natural dyeing: 174 degree theses (153 for Master's and 21 for Ph.D's), 217 papers/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18 research reports sponsored by the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s, and 22 book publications. Second, for the trend in practical use and industrialization, the status quo of natural dyeing projects and activities led by the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Jeolla Namdo which in 2001 designated natural dyeing as one of the province's cultural industries. Third, the trend in education was reviewed by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natural dyeing education. Beginning in the late 1990's, many public institutions have offered natural dyeing education in various types, for example, cultural lessons, one-time experience programs, professional courses, etc. Fortunately, not a few universities are now offering courses on natural dyeing as parts of regular curriculums. In conclusion, the status quo of the natural dyeing industry in Korea shows that it still stays in its initial stage. Technological problems are waiting to be solved, while product development is needed to satisfy the consumers' tastes.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s also required as a long-term plan for the industry to grow and expand. Last but not least, considering the world trend of valuing environment and health,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a systematic and efficient investment should be made nationally, in oder to develop the natural dyeing industry into one of the country's strategic indust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