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애-
dc.creator김지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12-
dc.description.abstractWe live in the world where many animated and inanimated objets are connected invisibly. the environment itself, but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 surrounded by the environment. The coexistence in modern society are wounded by the environment chang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science development by natural process any more. The science development reconstructed the natural environment today. And the reconstructed environment brought problem in modern society, such as destruction in coexistence. Pritjof Capra, known as post-science such that the environm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mutually and can be called network of natural phenomena. And he suggested to change the concept of environment from the part to the whole from the object to the relation from the detail to the pattern. He presented the change of the point of view not to the environment system with his system theory. The change in concept affect many fields in human life. And the spreaded sympathy such as naturalism and enviromentalism changed social structure, culture, and life style. The product considering environment and human including taste of choice replaces the product for the utility and capacity by mechanical idea. Therefore, we can sa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ity pleasure, and aesthetic for self satisfaction of customer. Here, I want to suggest esthetical design with system theory of Pritjof Capra to provide a solution about the problems due to rapid change of environment. I expressed the network which is closed organically but opened for the flow of energy through net structure. Also, I wanted point out the meaning of life itself and the meaning of coexistence designing this coexisted net. The process for these pieces is as below. First, I researched on the system theory of Pritjof Capra using his thesis and documentation. Second, I researched on image with the concept of change and repetition motivated in cell, which is basic of life in coexistence to express the net-oriented point of natural phenomena. Third, I researched on the concept and symbolity of the line to express net-oriented image of cell with line, and the meaning of net-oriented structure to be used in expression and to be a part of this modeling through diverse sampling process. Forth, I designed net-oriented structure with silicon drawing to express the originality and modern beauty of handicraft. Finally, I checked the possibility implicated as structurized design providing examples those are made using artificial silicon onto natural fabric. The message of these works, designed the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and human coexistence,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of Pritjof Capra, through the organic image of cells, was to provide the meaning of the life, coexistence, seriousness of life. Applicating these intention into a piece of the handiwork, higher value in interior fabric was produced, and the direction of the esthetical design was also pointed.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많은 생물, 무생물들이 보이지 않는 연결관계에 의해 공존하고 있다. 수평적 상호 보완관계로 이루어진 공존의 세계는 자연의 일부분만을 일컫는 표현이 아닌 인간과 환경 즉,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주변의 것들과의 관계를 말한다. 현대사회의 공존은 과거의 자연적 순화에 의한 공존의 관계에서 과학발달로 인한 환경변화에 의해 파괴되어왔다. 과학 발달은 오늘날의 자연을 재 구조화 하였고, 구조의 변화는 생태계 파괴와 인간성 상실 등 현대 문명의 문제를 야기(惹起) 시켰다. 이에 신 과학 운동의 프리초프 카프라는 ‘세계는 근본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인 현상들의 연결 망’ 이라고 하며, ‘부분에서 전체로, 대상에서 관계로, 내용에서 패턴으로’ 세계상의 전환을 요구했다. 프리초프 카프라의 시스템 이론(생태학적 관점)은 자연과 인간만이 아닌 환경전체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제시한 것이다. 시각변화에 따른 환경에 대한 인간의 이해는 생활 곳곳에 연관되어 작용하였고, 자연주의 혹은 친환경주의와 같은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사회구조, 문화형태, 생활양식의 변화로 이어졌다. 기계적 사고에 의한 기능과 성능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제품보다는 환경과 인간을 생각하는 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생산성과 기능성, 실용성만을 추구해오던 제품에서 쾌적성, 다양성, 심미성 등 소비자개개의 자아표출을 위한 다양한 감성적 제품이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에 의한 문제점과 사고의 전환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했던 프리초프 카프라의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감성적 디자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공존의 연결 망은 그물조직을 이루는 섬유를 바탕으로 그 위에 또 다른 그물구조를 표현함으로써 개체와 개체의 연결망을 의미한다. 작은 연결 망은 하나의 다른 성질의 개체를 이루고, 그 하나의 개체는 또 다른 개체와의 연결을 통해 공존함을 표현하고자 한다. 즉, 보여지는 의미에 있어서 조직적으로 닫혀있지만 본질적 에너지의 흐름은 열려있는 연결 망을 의미한다.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초프 카프라의 시스템이론의 이해를 위해 그의 저서인 “생명의 그물”과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논문과 자료를 통해 조사한다. 둘째, 현대미술에서 시스템 이론의 연결성을 살펴본다. 셋째, 프리초프 카프라의 상호 의존적 현상들의 그물구조적 관점을 표현하기 위해 생태계 구조 생명의 기본 단위인 세포 모티브를 사진으로 관찰하고 조형성에 관해 살펴본다. 넷째, 시스템 이론의 그물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그물구조를 이루는 조형요소와 특성에 대해 문헌과 논문을 통해 살펴본다. 다섯째, 다양한 샘플과정을 통해 표현방법과 조형요소로서의 그물구조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수공예의 독창성과 현대미를 표현 할 수 있는 선으로 드로잉 하여 그물구조를 디자인해 본다. 마지막으로, 순수한 원단 자체에 인공적 소재인 실리콘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여 실제 적용해 봄으로서 조형미를 갖춘 디자인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과 환경의 공존의 이미지를 디자인화 함으로써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물구조의 조형성을 디자인화 하는 과정에서 10개의 샘플작업은 한 주제를 다양하게 표현해 봄으로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생각의 전환을 주었다. 둘째, 위사 와 경사로 이루어진 섬유조직은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했던 개체의 본질적 연결관계를 표현하기에 적합했다. 셋째, 실리콘의 유연성과 굳는 성질은 세포의 변화와 반복의 조형미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고, 천연 소재인 실크 또는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라는 합성섬유에 인공적 소재인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본질적 자연과 기계적 사회의 융화, 인공미와 자연미의 조화를 표현할 수 있었다. 프리초프 카프라의 생태학적 시스템이론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환경과 인간의 공존관계를 세포의 유기적 이미지를 통해 디자인화 함으로서, 생명에 대한 인식과 공존의 의미, 생명의 소중함을 메시지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를 작품에 적용시켜 수공으로 제작함으로써 인테리어 패브릭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현대적 디자인으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2.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프리초프 카프라의 시스템이론 = 3 2.1 시스템 이론의 이해 = 3 2.2 시스템 이론과 현대미술 = 9 3. 그물구조 모티브와 조형성 = 14 3.1 모티브로서의 그물구조 = 14 3.2 그물구조의 조형성 = 21 4. 작품 제작 의도 및 분석 = 28 4.1 제작의도 = 28 4.2 디자인 전개 = 30 4.3 작품 분석 = 39 5. 결론 = 63 6.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06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프리초프 카프라의 시스템 이론에 의한 패브릭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