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정-
dc.creator정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four domains of executive function conceptualized by Anderson(2002)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attentional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goal setting. Individual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administered to both a group of children with ADHD and a normal children group,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dysfunction which appeared prominent in the children with ADHD and comparing performance of the ADHD children with that of the normal children. Through these te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planning of a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Among various constituents of executive function, this study includes following aspects. First, the attentional control domain includes attention to specific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nd also inhibition.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refers to cognitive fluency and response speed. Third, cognitive flexi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shift between response sets and working memory. Fourth, the goal setting domain involves the ability to develop new concepts and the capacity to plan. In additio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was reported by mothers of the two groups of children, and behavioral observation scale was rated by a researcher while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Through these two method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lso, it was investigated how the results of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of the children and mothers' reports were correlated. In screening tests, KEDI-WISC, Conners Parent Rating Scale,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were administered to 36 children between age 6 and 12: eighteen boys with ADHD and another eighteen normal boys. Individual executive function tests to children, composed computerized tests and paper-pencil type tests, were utilized to evaluate specific deficits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To assess qualitative aspects of executive function, parent-completed BRIEF and researcher-rated behavior scale on children observation were used. Various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 including a visual and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 stroop test, a category, letter, and design fluency test, speed of processing, trail making test-part A and B, a self-ordered pointing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Rey executive-complex figure test. BRIEF was reported by the parents to evaluat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behavior observation rating scale was completed by a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of the children selected for this study, the ones with ADHD showed attentional control deficits caused by cognitive and behavioral impulsivity, working memory deficits in cognitive flexibility domain, and conceptual forma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deficits in goal setting domai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DHD group and the normal group, regarding inhibition, cognitive fluency,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planning in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BRIEF results reported by the parents, the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 problems of behavior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Secon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the children in the tests and their parents' reports on executive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DHD group, the children thought to have a behavior regulation problem by their parents ha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such as inattention, impulsivity, and also deficits in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which resulted from assessing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ests.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reported to have lack of metacognition were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deficits of inattention, impulsivity, and deficits in cognitive fluency of verbal task,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In the comparison group of the normal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havioral regulation problem reported by the parents had low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s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and inhibition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working memory. The parents' evaluation on their children's metacognition was related to executive dysfunction in the children's auditory attention, inhibition,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This study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esting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ports, which proved that the parents' responses were reliab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searcher's observation on the children's behavior in testing situation, and rated behavior scale, the ADHD group showed low level of organization and systematic approaches, carelessness, inattention to task, difficulty in inhibiting themselves to distractive stimuli, and more activeness than the normal children. Also, they were observed to be resistant and have low self confidence, high anxiety and low tolerance to a frustrating situation in person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Based on the recent elaborative and comprehensive model of executive function(Anderson, 2002), this study completed various tests on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and also compared the test results to the parents' reports, which proved to be reliable. In particular,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children with ADHD-combined type and suggested that motor-impulsivity and cognitive retraining were necessary in developing an ADHD treatment program. As a succeeding study, the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by the differences between sub-types, comparison study of other clinical groups, and study on execu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would improve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f ADHD children.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evaluation of qualitative aspects of executive function should improve.;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nderson(2002)이 개념화한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의 4가지 하위 영역(주의 통제, 정보처리과정, 인지적 융통성, 목표설정)에 대해 개별 실행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정상 아동을 비교 집단으로 대조하여 실행기능 결함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및 프로그램 계획에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실행기능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의 통제 영역에는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력과 억제력, 둘째, 정보처리과정 영역에는 인지적 유창성과 반응속도, 셋째, 인지적 융통성 영역에는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과 작업기억력, 넷째, 목표설정 영역에는 개념형성 능력과 계획력이 실행기능으로 포함되었다. 또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와 평가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관찰을 함께 적용하여 질적 측면에서 실행기능의 결함 양상과 검사별 수행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부모보고형 검사의 신뢰성을 검증해 보았다. 지능검사(KEDI-WISC), Conners 부모용 평가척도와 한국아동인성검사(KPI-C)를 사용한 기초평가를 실시하여 병원에 내원한 6∼12세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자 아동 18명과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8명의 정상 남자 아동 총 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동을 대상으로 전산화된 검사와 지필검사로 구성된 실행기능 평가를 실시하여 자료가 수집되었고, 부모를 대상으로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한 질문지를 시행하였으며, 질적인 면에서의 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연구자가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평정하였다.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평가도구로 주의 통제 영역은 시각 및 청각 연속수행 검사와 스트룹 검사, 정보처리과정 영역은 범주 및 단어, 도안 유창성 검사와 각 실행검사에서의 반응시간, 인지적 융통성 영역은 선로잇기 검사와 작업기억 검사, 목표설정 영역은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와 레이 실행-복합도형 검사가 사용되었다. 부모 대상의 평가로는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RIEF)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행동관찰은 연구자가 만든 행동관찰 척도를 통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평가 결과를 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이 정상아동의 비교 집단에 비해 주의 통제 영역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충동성에 따른 주의력의 결함이 나타났고, 인지적 융통성 영역에서는 작업기억력이, 목표설정 영역에서는 개념형성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억제력, 인지적 유창성, 반응속도,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계획력 등의 실행기능 영역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과 비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를 대상으로 한 아동의 실행기능 평가 결과(BRIEF)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행동조절과 상위인지 기능의 문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아동 및 부모보고형 실행기능 검사간의 일치도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의 경우, 부모가 행동조절의 문제가 있다고 평가한 것은 아동 대상 실행기능 검사에서 부주의와 충동성, 반응속도의 민첩성,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같은 실행기능의 결함과 상관이 있었고, 부모보고에 의해 상위인지 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된 것은 아동 대상 실행기능 검사의 부주의와 충동성, 언어적 과제에 대한 인지적 유창성, 반응속도의 민첩성,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등의 결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집단의 경우, 부모의 행동조절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시각 및 청각 주의력, 억제력과는 관련이 낮은 반면, 아동의 작업기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상위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청각 주의력과 억제력,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등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행기능에 대한 아동용 검사와 부모용 검사 결과간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모 응답의 객관성이 뒷받침되었다. 셋째,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검사 상황에서 연구자의 아동에 대한 행동관찰 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은 과제에 대한 접근시 조직화, 체계화를 하고 일의 우선 순위에 따라 신중하게 행동하는 면이 부족하고, 과제에 주의를 집중하고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령수준에 비해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인적?정서적?사회적 측면에서 저항적이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며, 과제 수행시 불안수준이 높고 좌절에 대한 인내심이 부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최근의 정교화되고 포괄적인 실행기능의 개념적 모델(Anderson, 2002)에 근거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행기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또한 부모보고형 검사에 의해 아동의 실행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함으로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을 검증하였으며 부모용 검사의 신뢰성을 제시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로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복합형의 하위유형에서 보이는 실행기능의 결함에 대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시 운동-충동성 및 인지적 재훈련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유형간의 실행기능 결함의 차이, 다른 임상집단과의 실행기능에 대한 비교연구, 지능수준에 따른 실행기능의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실행기능의 질적 측면에 대한 평가가 보완되어야 함이 제안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6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 = 6 1) 핵심 증상 = 6 2) 부수적 증상 = 8 3) 하위유형 = 9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공존질환 = 12 B. 실행기능의 개념 및 평가 = 14 1. 실행기능의 개념 = 14 2. 실행기능의 평가 = 19 1) 평가 영역 = 19 2) 평가 도구 = 21 C.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실행기능 = 24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실행기능 결함 = 24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실행기능 평가 및 선행연구 = 29 1) 주의 통제 영역 = 30 2) 정보처리과정 영역 = 32 3) 인지적 융통성 영역 = 35 4) 목표설정 영역 = 38 Ⅲ. 연구 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연구 절차 = 43 C. ADHD 집단과 비교 집단 대상 기초평가 분석 = 46 D. 측정 도구 = 51 1. 기초 평가 = 51 1) 아동 대상 검사 = 51 2) 부모 대상 검사 = 52 2. 실행기능 평가 = 54 1) 아동 대상 검사 = 54 2) 부모 대상 검사 = 68 3. 행동관찰 척도 = 69 E. 분석 방법 = 70 1. 기초 평가 분석 = 70 2. 실행기능 평가 분석 = 70 3. 아동 및 부모보고형 실행기능 검사간의 일치도 분석 = 71 4. 행동관찰 분석 = 71 Ⅳ. 연구 결과 = 72 A. 실행기능 = 72 1. 아동 대상 검사 결과 = 72 1) 주의 통제 영역 = 75 2) 정보처리과정 영역 = 81 3) 인지적 융통성 영역 = 83 4) 목표설정 영역 = 86 2. 부모 대상 검사 결과 = 91 B. 아동 및 부모보고형 실행기능 검사간의 일치도 결과 = 96 1-1. 주의 통제 영역과 행동조절 지표간의 관계 = 96 1-2. 주의 통제 영역과 상위인지 지표간의 관계 = 98 2-1. 정보처리과정 영역과 행동조절 지표간의 관계 = 100 2-2. 정보처리과정 영역과 상위인지 지표간의 관계 = 102 3-1. 인지적 융통성 영역과 행동조절 지표간의 관계 = 103 3-2. 인지적 융통성 영역과 상위인지 지표간의 관계 = 104 4-1. 목표설정 영역과 행동조절 지표간의 관계 = 105 4-2. 목표설정 영역과 상위인지 지표간의 관계 = 106 C. 행동관찰 결과 = 109 Ⅴ. 논의 및 결론 = 111 A. 요약 및 논의 = 111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 111 2. 아동 및 부모보고형 실행기능 검사간의 일치도 = 122 3. 행동관찰 = 128 B. 연구의 의의 = 130 C.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 132 참고문헌 = 135 부록 = 162 영문초록 =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22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iv, 19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