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혜숙-
dc.creator황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13-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dissertation I intended to study the way that students improve their vocabulary ability to use context. In this study I had purpose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hat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o use the cue of context when they found new vocabulary. Before achieve this purpose, I investigated concept of vocabulary and the quality of vocabulary ability that proposed in this study, and examined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eaching vocabulary. Base on these concepts, I investigated how recognized vocabulary ability in school and what was the problem about teaching vocabulary relating with that recognition. In chapter Ⅲ, I developed the study focus on how to use the text to recognize meaning of vocabulary in context. I investigated the type that could use the cue of context for recognizing meaning of new word when reading text. And I investigated the process which infer new words through context, and base on this process I presented efficient process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This model focused teaching strategy which could use context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xt.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teaching vocabulary. Furthermore it will help promoting reading ability. Following is the sequence of teaching and constituent of teaching process that the process model of teaching new vocabulary through context have suggested. First, suggest the aim of class and guide. Second, present the cue of context and explain. Third, teaching the process of inferring the meaning of new words base on the cue of context. In chapter Ⅳ, I applied this strategy model to the teachingㆍlearning process and verified that effect. Following is the verifying method. First, make two group which consist of same level, and devide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ed group as difference of applying model and method. Second, practice teaching process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to the groups as different from teaching method. Third, observe learning effect after teaching and compare it to the controled group whether it is transferred into learning strategy. In chapter Ⅴ, I made conclusion about this study that was applied the process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through context. The result of experiment about the group which was taught by applying the process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in this stud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from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But the controled group which was applied the process of teaching vocabulary which was only taught cue type of context that could use recognizing meaning of vocabulary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As I considering basing on this conclusion, I think the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that is used in this study have meaning to teaching of meaning new vocabulary through context. And I think this model of teaching vocabulary have effect. And I think the material sheets of teaching vocabulary also have usefulness. When teachers teach the way of recognizing new vocabulary effectively, it will be bring great effect of teaching vocabulary if they present text which contains a lot of cue of context as learning material. And the text which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of context could be used as useful material to teach strategy of elaborating and strengthening of meaning vocabulary. And verifying effect of this material sheets should be studied in succession. ;본 고에서는 학습자가 문맥을 이용하여 어휘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글에서 낯선 단어를 발견하였을 때, 단어의 의미를 글과 관련된 문맥적 단서를 이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에 앞서 Ⅱ장에서는 먼저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어휘의 개념과 어휘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어휘 지도의 원리 및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어휘력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어휘 지도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문맥에서의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글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였다. 글을 읽을 때 낯선 어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맥적 단서로 이용할 수 있는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문맥을 통해 낯선 어휘를 추론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어휘 지도 과정 모형을 탐색하고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글 안에서 글의 내용과 관련된 문맥적 정보를 최대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략 지도에 초점을 두었다. 그렇기 때문에 어휘 지도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나아가서는 독해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문맥을 이용한 낯선 어휘 지도 과정 모형이 제시하는 수업 절차 및 지도 과정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학습 안내를 한다. 둘째, 문맥적 단서가 무엇인지 제시하고 설명한다. 셋째, 문맥적 단서를 바탕으로 한 낯선 어휘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을 지도한다. Ⅳ장에서는 위의 전략 모형을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검증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개의 동질 집단을 구성한 후 어휘 지도 과정 모형에 따른 지도 실시 여부 및 지도 방법의 차이에 따라 실험 집단, 통제 집단으로 나눈다. 둘째, 실험 집단,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지도 방법을 달리하여 어휘 지도 과정 모형에 따른 지도를 실시한다. 셋째, 지도한 후의 학습 효과를 살피고, 학습 전략으로의 전이 여부를 통제 집단과 비교한다. Ⅴ장에서는 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 과정 모형을 적용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탐색한 어휘 지도 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그에 따른 지도를 받은 실험 집단의 검사 결과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성적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어휘 의미를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문맥적 단서 유형에 관한 지도만 받은 채 어휘지도 과정을 적용했던 통제 집단은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볼 때, 본고에서 사용한 어휘 지도 모형은 문맥을 이용한 낯선 단어의 의미 지도에 유의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고에서 사용한 어휘 지도 모형은 효과가 있으며, 어휘 지도 자료지 또한 유용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문맥을 이용해 낯선 단어 의미를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지도할 때, 문맥적 단서가 풍부한 글이 학습 자료로 제시된다면 이러한 어휘 지도의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또한 문맥적 정보가 풍부한 글은 어휘 의미 정교화 및 강화 전략 지도에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자료지의 효과 검증은 후속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 5 C. 선행 연구 검토 = 6 II. 어휘와 어휘 지도 = 11 A. 어휘의 개념과 어휘력의 구조 = 11 1. 어휘의 개념 = 11 2. 어휘력의 구조 및 중요성 = 14 B. 어휘 지도의 원리 = 20 C. 어휘 지도의 방법 = 22 1. 어휘에 대한 관점과 지도 방법 = 23 2. 어휘 지도의 일반적인 방법 = 27 D. 어휘 지도의 문제점 = 35 1. 어휘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 35 2. 어휘 교육의 비체계성 = 36 3. 도구적 관점으로의 어휘 지도의 편향성 = 38 III. 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 = 41 A. 문맥에서의 어휘의 의미 = 41 B. 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의 과정과 방법 = 44 1. 어휘 지도 과정 = 45 2. 어휘 지도의 실제 예(例) = 49 IV. 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 방안의 적용 = 61 A. 연구 대상 = 61 B. 연구 기간 = 62 C. 연구 방법 = 63 1. 자료의 구성 및 내용 = 64 2. 지도 과정 = 71 3. 교수·학습 활동 = 72 D. 연구 결과 = 74 1.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결과 비교 = 74 2.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변화의 비교 = 75 V. 결론 및 제언 = 79 A. 결론 = 79 B. 제언 = 80 참고문헌 = 82 <부록 - 1> 사전 검사지 = 86 <부록 - 2-1> 어휘 지도 자료 (1회 학습지) = 89 <부록 - 2-2> 어휘 지도 자료 (2회 학습지) = 93 <부록 - 2-3> 어휘 지도 자료 (3회 학습지 : 실험 집단) = 96 <부록 - 2-4> 어휘 지도 자료 (4회 학습지 : 실험 집단) = 103 <부록 - 2-5> 어휘 지도 자료 (통제 집단) = 110 <부록 - 2-6> 어휘 지도 자료 (통제 집단) = 114 <부록 - 3> 사후 검사지 = 118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1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