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지흔-
dc.creator강지흔-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9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남, 여 아동의 성에 따른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의 양상의 차이와 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학생 321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서조절 능력, 공격성,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즉, 정서조절 척도로는 Shields와 Cicchetti(2000)의 정서조절 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에 기반을 두어 기능적 정서조절 능력(Emotion Regulation)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능력(Negativity/Inappropriate Affect)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공격성 척도로는 Crick과 Grotpeter(1995)의 공격성 정의와 Schwartz, Chang과 Farver(2000)의 공격성 척도를 참고로 주도적 공격성과 반응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을 포함하는 20개 문항으로 된 아동용 질문지(박성연, 2002)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척도는 노숙영(1997)의 학교생활 적응 척도에 기반하여 소속감, 리더쉽, 친구관계와 인기도의 측면을 측정하였다. 한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은 어머니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공격성은 아동 자신에 의해 평가되었고,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요인은 아동과 어머니에 의해 평가되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 아동의 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도적 공격성과 리더쉽에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즉, 공격성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주도적 공격성을 나타낸 반면, 학교생활 적응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리더쉽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조절 능력과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리더쉽을 제외한 다른 학교생활 적응의 측면에서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남, 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은 공격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남아의 경우는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많이 할수록 반응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아의 경우에는 정서조절 능력이 반응적 공격성과만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 기능적 정서조절 능력이 낮거나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많이 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을 높게 나타내었다. 셋째, 남, 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은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남아는 관계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은 대부분의 학교생활 적응 내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서 관계적, 주도적 공격성을 많이 나타낼수록 인기도와 소속감, 리더쉽, 친구관계를 맺는 능력이 낮아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는 반응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소속감, 리더쉽에 어려움을 겪으며, 주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인기도를 제외한 모든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 여 아동의 공격성은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남아는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측면에 있어 공격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여아는 공격성이 학교생활 적응의 소속감, 친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남아는 관계적 공격성을 나타낼수록 인기도, 소속감과 친구관계가 나빠졌고, 주도적 공격성을 나타낼수록 소속감이나 리더쉽에서 문제가 있었다. 여아는 주도적 공격성을 나타낼수록 소속감 및 친구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반응적 공격성을 나타낼수록 소속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남아 및 여아는 학교생활 적응이 정서조절 능력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소속감, 친구관계에서는 정서조절 능력의 주요한 영향과 함께 주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아의 공격성은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 간에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관계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어 각각 학교생활 적응의 리더쉽과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아동은 공격성의 유형 중 주도적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 중 리더쉽에서 유의한 성차를 보이고,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능력은 공격성의 발달과 학교생활 적응에 대해 직접적으로, 공격성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영향을 주는 양상은 남아와 여아 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조절 능력이 공격성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regulat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A total of 321 students (5th and 6th grades) from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and Aggression Scale' (Shields & Cicchetti, 2000), Aggression Scale (Park, 2001) and 'The Scale for Adapting to School Life' (Noh, 1997)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overt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Boys had higher overt aggression compared to the girls. Strong leadership skills and ability to work well in a team environment were discovered among the girls. 2. In the case of male children, emotion dysregulation, reactive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were correlated. Also, emotion dysregulation and reactive aggression were only correlated in the case of girls. 3. Aggression had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in the case of all the boys. In the case of girls, aggression partly had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4. School adjustment for both boys and girls was influenced by emotion dysregulation as well as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s. 5. Children's emotion dys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were mediated by aggression. Boys' ability for emotion dysregulation had influence on their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s. Eventually, the consequences had an effect on the reliable leadership and friendship of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of approaching school adjustment in various and broad scopes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regulat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정서조절의 개념 = 5 B. 공격성의 개념 및 유형 = 7 C. 정서조절과 공격성 = 10 D. 학교생활 적응 = 13 1. 정서조절과 학교생활 적응 = 13 2.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 = 15 E. 정서조절과 공격성,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 18 Ⅲ. 연구문제 = 20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 20 B. 용어정의 = 23 Ⅳ.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측정도구 = 28 C. 연구절차 = 33 D. 자료분석 = 33 Ⅴ. 연구결과 = 34 A.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공격성 유형, 학교생활 적응에서의 성차 = 34 B.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 36 C.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 38 D. 남·여 아동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 40 E.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의 상대적 영향력 = 44 F.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48 Ⅵ. 논의 및 결론 = 51 참고문헌 = 66 부록 = 77 <부록 1> 모든 변인간 상관관계 = 78 <부록 2> 설문지 = 8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1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남ㆍ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