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奈賢.-
dc.creator金奈賢.-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839-
dc.description.abstract京畿道 光陵의 植物群落의 構造를 Agnew의 植物種間의 類似度 測定法, Williams and Lambert의 階級分類, Bray and Curtis의 Ordination 方法 等을 使用하여 分析하였으며, 아울러 分析된 植生의 同型 group과 土壤의 제반 性質(수분함량, PH, 유기물, 치환성 양이온, 유호인산, 질소)을 결부하여 說明하고저 試圖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1. Agnew의 植物種間의 類似度 測定方法으로 出現種을 聯關性이 있는 種들로 構成된 3個의 同型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Group Ⅰ은 가락지나물, 고만이, 물봉선화, 미꾸리 낙시, 바랭이, 졸방제비꽃, Group Ⅱ는 마, 복분자딸기, 사위질빵, 으름덩굴, Group Ⅲ은 남산제비꽃, 노랑제비꽃, 참꽃말이 等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위와같은 3個의 同型 group을 土壤의 제반 性質과 결부 하여 說明할 수는 없었다. 2. Williams and Lambert의 階級分類 方法으로 全 方形區를 2個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Group Ⅰ은 미꾸리낙시는 出現하나 마는 出現하지 않는 方形區 들이며, Group Ⅱ는 미꾸리낙시가 出現하지 않는 方形區 들이다. 또한, 위의 2個의 Group을 土壤의 제반 性質과 결부하어 說明할 수 는 없었다. 3. Bray and Curtis의 Ordination에 方法으로 25 Releve´를 座標上에 圖示하였으며, 土壤의 제반 性質 中 유기물, 총 질소, 유효인산의 量과 결부하여 說明할 수 있었다. 4. 本人의 硏究에서는 위와같은 結果에 의하여, 植物群落의 構造를 分析하는데 Bray and Curtis의 Ordination 方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A plant community in Kwangneung was investigated by the orthodox Braun-Blanquet recording technique, subquadrat method and point quadrat method and analyzed by the method of Agnew's Interspecific association, Bray & Curtis' Polar ordination, Williams & Lambert's Normal association analysi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soil in study areas(water content, pH, organic matters, exchangeable cation = K, Ca, Na, available phosphorus, total nitroge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es, the plant community investigated was able to b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t the same time, the measurement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groups and soil characteristics was attempted and there were correlations by the method of Bray & Curtis, but no correlations by the method of Agnew and Williams & Lambert. Therefore, the Bray & Curtis' Polar ordination method was the best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Ⅱ. 硏究方法 및 結果 = 5 A. 調査地 = 5 B. 調査方法 = 5 C. 分析方法 및 結果 = 6 Ⅲ. 考察 및 結論 = 15 參考文獻 = 23 ABSTRACT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14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식물군락-
dc.subject분석방법-
dc.subjectPLANT COMMUNITY-
dc.title植物群落 構造의 分析方法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REE PHYTOSOCIOLOGICAL TECHNIQU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dc.format.page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