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貞子.-
dc.creator金貞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8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877-
dc.description.abstract家庭外 兒童管理프로그램의 두 主流인 託兒프로그램과 幼稚園프로그램의 差異點을 極少化 할 수 있는 方向을 모색, 家庭外 兒童管理를 위한 統合的 프로그램 模型을 開發하는데에 本 硏究의 目的이 있다. 學令前 兒童(0-5才)을 위한 眉間兒童 管理施設을 託兒所와 幼稚園으로 大別해 보면 託兒所는 主로 貧困集團 또는 低所得層 子女를 위한 收容保護 위주의 慈善的 서-비스를 提供하는 施設로, 幼稚園은 中上層 子女를 위한 早期敎育目的의 敎育프로그램 提供機關으로 分離認識되어 그 격차가 深化되어 왔다. 그러나 現代産業社會에서 社會的變化에 따른 就業母의 增加, 家族構造의 核化 등의 要因으로 家庭外 兒童管理施設에 對한 要求가 量과 質의 兩側面에서 增大되어 施設의 增加는 勿論, 託兒프로그램에 敎育的서-비스 强化가 强力히 主張되어왔다. 즉 Care서-비스와 Pedagogic서-비스가 아주 가까이 接近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 各國의 추세이다. 託兒所와 幼稚園의 격차가 가장 深化되어 있는 것이 우리나라 兒童管理의 問題點이라는 假說에서 이 硏究는 出發한다. 瑞典은 이미 兒童管理프로그램을 “preschool”이란 單一體制로 統合함으로서 種別的 區別을 없애고 서-비스提供 時間에 따라 兒童의 나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區別하고 있으며 美國은 多樣한 體制로 發達되어 아직 두 프로그램의 격차는 存在하지만 統合的 接近努力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美國과 瑞典의 兒童管理프로그램 模型을 우리의 것과 比較硏究 함으로서 兒童管理의 諸問題點點을 올바르게 把握하고 두프로그램의 격차를 최소한 화한 우리 兒童의 要求, 父母의 要求에 바탕을 둔 發展的 模型을 開發하고자 한다. 먼저 比較硏究의 接近原則을 1. 統合的 槪念의 兒童管理 2. 兒童管理의 社會的 責任 3. 프로그램 多樣化 등 세가지로 세우고 이를 前提로 美國, 瑞典, 韓國의 아동관리에 대한 1. 一般的 管理背景을 論함으로서 아동관리의 重要性을 제시하고 2. 歷史的 背景을 比較分析 함으로서 두 프로그램의 發達過程에서의 격차의 原因을 發見하고 3. 各國의 現在 問題點을 把握하기 위해서 ① 아동관리에 對한 要求變數와 서-비스 範圍 ② 프로그램 모형 ③ 서-비스 對象資格과 財政 ④ 基準과 指導監督 등에 초점을 두고 現況을 분석하였다. 現代 産業社會에서의 家庭外 兒童管理에 對한 要求는 美國, 瑞典, 韓國이 共通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1. 勞動市場에 參與하는 女性人力의 계속적인 增加에 따른 學令前 女子를 가진 就業母의 增加 2. 女權에 對한 認識增大와 價値觀의 變化에 따른 女性 社會進出 경향 3. 核家族化 현상과 家族數의 減少 4. 貧困層, 低所得層 子女의 缺乏環境에서 오는 問題點 5. 早期敎育의 重要性에 對한 認識增加 이러한 要求變數들에 따른 要求增大에 對한 對策으로 瑞典은 두 프로그램을 統合시키는 作業을 단행, 質的 側面의 격차를 줄이고, 量的 增加에 努力을 기울이고 있으며, 美國은 低所得層을 위한 早期補償敎育 프로그램을 開發, 公的 介入으로 두 프로그램의 接近을 위한 노력이 試圖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託兒 및 幼稚園프로그램은 相互聯關이나 接近努力없이 여전히 質的 差異를 內抱한채, 量的 要求도 充足시키지 못하고(託兒所 : 要求對象의 3.5%, 幼稚園 : 3% 미만의 서-비스 範圍) 分離서-비스 되고 있다. 그 原因을 比較分析에서 다음과 같이 추출했다. 1. 一般 및 政策決定者 뿐 아니라 전문가, 從事者까지도 兒童管理에 對한 認識不足으로 託兒프로그램은 慈善事業이라는 槪念에서 아직 탈피하지 못했고 現代社會에서의 아도관리는 父母의 責任일뿐 아니라 同時에 社會的 責任이어야 한다는 次元으로 發展하지 못했으며 2. 公私 兩部門에서의 財政的 지원부진으로 두 프로그램 모두 自體가 안고 있는 問題點이 심각하기 때문에 他프로그램에 關心을 가질 여유가 없었으며 3. 統合的 전문연구기관의 不在로 두 프로그램의 接近을 위한 理論的 根據를 提供하지 못했고, 多樣한 프로그램 開發, 基準設定 등 두 프로그램 接近을 위한 基礎的 作業이 先行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전적 접근은 시도되지도 않았었다. 이에 현대적 한국아동관리에 대한 몇가지 모형을 설정함으로서 아동관리에 대한 하나의 제안으로 제시하고져 한다. 먼저 모형설정의 기본원칙으로 다음의 제안을 한다. 1. 한국아동관리는 單一體制로 統合시킴이 託兒 및 幼稚園 두 프로그램의 격차를 最小限化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統合된 학령전 아동관리프로그램을 代表하는 用語로 “幼兒學校”라고 통칭한다. 2. 單一體制 內에서 多樣한 모형이 開發되어 多樣한 要求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3. 모든 아동관리프로그램은 養育과 敎育이 統合된 아동의 綜合的 發達(Comprehensive development)을 위한 서-비스여야 한다. 4. 5才兒童을 위한 幼稚園프로그램은 公敎育化한 普遍的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5. 經濟的 模型인 家庭託兒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서도 개발되어야 하며 學令前 兒童을 위한 모형뿐 아니라 學令兒童을 위한 放課후 프로그램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6. 統合된 專門硏究機關의 發足이 必須的으로 先行되어 아동관리문제에 對한 廣範圍한 硏究와 基礎的 作業이 科學的인 바탕에서 進行되어야 한다. 7. 現代 兒童管理는 慈善事業이 아니며, 父母의 責任인 동시에 社會의 責任이어야 하고 要求를 가진 모든 아동에게 平均하게 提供되는 民主的 서-비스여야 한다.;Day care and the nursery school are two major programs for out-of-own-home child care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rograms in progress and content. Day care program was developed as a public assistance service for the young children of the poor or low-income families, while nursery school was an early educational service for the preschool children of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ize and find the reason of horrowing the gap between two programs and to develop new models for child care minimizing the gap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Generally speaking nursery school provides educational care, while day care program affords mere custodial care. The indust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led to a rapid change in the social system and family structure, which brought increasing numbers of working mothers into the labor market. These factors account for the need to increase child care facilitie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n this respect, the strong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bagan to rise. The current trend seems to approach more closely the care services and pedagogic servi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ild care in this country has greater problems between the two programs in comparison with other two countries. Sweden already established a single system of integrated child care termed "Preschool" for all preschool children since 1968. The only distinction made is part-day or full-day care. Although the United States has a multiple system for child care services still there exists a gap between the two programs, effort has been made to integrate some programs together and to minimize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programs. Compensatory education program, such as Head Start for the preschool children of the poor or low-income families, has been tried. The basic principles approaching the comparative study are as follows, 1. Child care based on integrated concept 2. Social responsibilities for child care 3.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various needs. According to these three major principles,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1. Theoretical background of child care 2. Historical background of child care 3. Current situations in the three countries with regards to; needs and coverage, program models, eligibility and financing, standard setting and supervision Korea has a dual system of child care without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programs and with a significant gap in quality. The reason are as follows; 1. Lack of recogni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s not only people and decision-makers but also staff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2. Each program has its own urgent problems caused by lack of financial support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3. There is no comprehensive research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professional members of early child development. 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drove to establish some program models which can minimize the gap between day care and nursery school, and maximize the potential of our children. In conclusion the following basic principles are suggestions on which to base models 1. It is more desirable to integrate the preschool child care programs into a single system which may be called "Preschool" 2. Different kinds of care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meet various demands and needs in a single structure, practically and administratively 3. All the programs for the preschool children should be comprehensively developed and educational to cultivate their maximum potentiality. 4. The kindergarten program needs to be a universal service supported and funded by public funds in order to cover all children to the age of five. At the same time, the family day-care programs, which seem to be suitable to this nation as an economic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5. Careful attention shall be drawn on the after-school hours programs for school-aged children as much as preschool care programs to provide appropriate care and to complement their school education. 6. A comprehensive Research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 of integrating and centralizing overall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child care programs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s. 7.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child care rests on the family, but society bears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 parental role. 8. The modern child care program is not a charity service but a social obligation, and should be available all children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capacities based on democratic princip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問題의 진술 = 4 C. 硏究의 方法과 節次 = 9 D. 用語 및 槪念 定議 = 11 Ⅱ. 兒童管理의 理論 및 歷史的 背景 = 14 A. 理論的 背景 = 14 B. 歷史的 背景 = 20 1. 美國 = 21 2. 端典 = 27 3. 韓國 = 31 4. 比較分析 = 35 Ⅲ. 兒童管理의 現況 = 39 A. 兒童管理에 對한 要求變敎와 서비스範圍 = 39 B. 프로그램 模型 = 59 C. 서-비스 對象資格과 財政 = 77 D. 基準과 指導監督 = 82 Ⅳ. 現代的 韓國兒童管理에 對한 提案 = 90 A. 模型設定의 基本原則 = 90 B. 資源点檢 및 展望 = 92 C. 模型 設定 = 96 D. 結論 = 101 參考文獻 = 103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8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정외아동관리-
dc.subject탁아프로그램-
dc.subjectchild care programs-
dc.title美國·瑞典·韓國의 家庭外兒童管理 프로그램에 對한 比較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韓國兒童管理프로그램 模型探索을 위하여-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out-of-own-home child car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Korea-
dc.format.page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