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Title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emphasizes on silk fabrics use in the period of 1800 and 1926, when the king of Joseon dynasty Sun-jo(純祖) ascended to the throne, and when King Sun-jong(純宗) passed away.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hile Joseon Dynasty's society was falling apart due to the political power's evil practices and foreign power's intervention, the dynasty came to an end by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한일합병). A treaty was signed, and it was also the time when the last dynasty ended as the last King Sun-jong(純宗) had passed away in 1926. As this time it was the last traditional society to be the primary of the present age, and the existence of last era of royalty. Thus, studying the silk fabrics of that time has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fabrics prior to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different categories which include silk fabrics' type and name, length and width, value, us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name. First, silk fabrics can be divided into 4 type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its primary thread and structure. It is divided into plain weaved fabrics like Ju(紬), Cho(초), and Gyeon(絹), twill weaved fabrics like Reung(綾), gauze weaved fabrics like Sa(紗) and Ra(羅), and satin weaved fabrics or compound weaved fabrics like Dan(緞). According to Bal-gui(발긔), a book having almost all the fabrics at that time, each fabrics' quantity was in Ju(紬)〉Sa(紗)〉Ra(羅)〉Dan(緞)〉Cho(초)〉Gyeon(絹)〉Reung(綾) order. Especially, the specific gravity of Ju(紬) and Sa(紗) were extremely high while Gyeon(絹) and Reung(綾) were extremely small. Meanwhile, during the short time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various parts of the fabric creation, development, and extinguishment. Especially, there was a remarkable change with the traditional fabrics around the year 1900. Bangsagju(방사주), Suju(수주), and Jeongju(정주), which were commonly used before this era,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Sampalju(삼팔주) and Nobangju(노방주) were newly created. For Myeonju(면주) and Toju(토주), their names were segmented and changed. Especially, various fabrics like Nobangju(노방주), Saenggosa(생고사), Sukgosa(숙고사), Jinjusa(진주사), Guksa(국사), Yangdan(양단), and so on, which were used during this period had been the main of the traditional fabrics, were inherited to the present. Second, the length and the width of 1 Pil(疋) silk fabrics are various depending on its fabrics type. It is normal for the width being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abrics, but for 1 Pil(疋)'s length being different is very unusual. The lengths of 1 Pil(疋) for various fabrics are as follows: Ju(紬)(752∼2350cm), Cho(초)(1410cm), Sa(紗)(1371.60∼1410cm), Ra(羅)(1410∼1828.80cm), and Dan(緞)(1371.60∼2286.00cm). The width of Ju(紬) also varies between 32.9∼47cm, and the widest was 84.6cm. Cho(초) was a bit wider than most of the Ju(紬) with 51.7cm, and the width of Sa(紗) and Dan(緞) were also comparatively various. A regular width of Sa(紗), which was a fabric made in wide width, was 61.1cm, and some were made up to 37.6∼68.5cm. Dan(緞)'s width was 47∼75.60cm. The fabric woven into the smallest width was Mora(冒羅) with the width of 28.2cm. This shows that Mora(冒羅) must have been the fabric to wrap the official hat. And for Gyeon(絹); Tong-gyeon(通絹) was 47cm, and Habuta-e(羽二重) was 38.10∼68.58cm, and for Reung(綾); Soreung(小綾) was 32.9cm and Daereung(大綾) was 51.7cm. Third, the value of silk fabrics are different by its type. Especially, the Ju(紬) type fabrics were highly various than the other fabrics, and their value was even more diverse. Cho(초) and Gyeon(絹), which didn't have that many kinds but had the value of a high quality Ju(紬). Sa(紗), Ra(羅), and Dan(緞), are high class fabrics, and their values are marked in Gan(艮) also called Silver(銀). Comparing each fabrics value per 10,000㎠, the order came out in the following order: Daedan(大緞)〉Sa(紗)〉Daereung(大綾)≒Jusa(走紗)〉Cho(초)〉Ju(紬). Dan(緞) type was the most valuable silk fabric. The reason why Dan(緞) was the most expensive fabric was that, when weaving the fabric, it required a large amount of yarn, and it had begun to become a common fabric use during the Joseon era. Sa(紗) was the next high valued fabric. Although Sa(紗) was a rather thin fabric, it was expensive because it had to go through a complicated work process. Fourth, silk fabrics had different use according to its type. Ju(紬) was mostly used in making underwears and upper garments, and was not used in making full dresses and official uniforms. Each fabric of Cho(초) had different usage. Goksaengcho(曲生초 was usually used in making underwears, and Gungcho(궁초) was only used in making full dress for the King or Queen. Gyeon(絹) and Reung(綾) were rarely used. Habuta-e(羽二重) was for cotton-padded trousers and dresses, Waejeung(倭繒) for bedclothes, and Byeol-mun-reung(別紋綾) for the Queen's quilted jacket. Sa(紗) was used in various purposes, and especially, Gab-sa(甲紗) was used the most commonly. On the other hand, the Sukgosa(熟庫紗) and Saenggosa(生庫紗), the most common known traditional fabric, weren't used in making underwears but were used mostly for outer garments like upper garments, lower garments, and Po(袍). And Gungsa(宮紗) was the most valuable Sa(紗), used only for Yongpo(龍袍) and Pyeseul(蔽膝). Ra(羅) was mostly used for underwears. Only Hangra(杭羅) and Sukhangra(熟杭羅) were used for particular full dresses and official uniforms. Dan(緞) was used in various purposes, but it was not used in any underwears. Fifth, there are six newly examined patterns: Byeol-mun(別紋), Baek-bok-mun(백복문), Baek-jeop-mun(百蝶紋), Jeop-mun(접문), Su-bok-mun(壽福紋), and O-ho-ro-mun(五葫蘆紋). Byeol-mun(別紋) was assumed to symbolize the royal family. The shape of Byeol-mun(別紋)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 of the royal family. Later, all circular patterns such as dragon patterns, phoenix patterns, flower patters and characters, which were used only for the royal family, were considered as Byeol-mun(別紋). Baek-bok-mun(백복문) had a pattern full of 'bats(복)', and Baek-jeop-mun(百蝶紋) had a pattern full of 'butterflies(蝶)'. Jeop-mun(접문) was classified into 'butterfly patterns(蝶紋)' and 'traditional window flame patterns(□紋)'. Su-bok-mun(壽福紋) had a pattern combined with 'the 壽 character(壽字)' and 'bats(복)'. O-ho-ro-mun(五葫蘆紋) had five-gourd-shaped patterns that form a circle, turning their narrow mouth to the center, and vines between each two gourds. Sixth, textiles whose features have been examined are Gaejiju(改只紬), Nojuju(潞州紬), Sampalju(三八紬), Nobangju(潞方紬), Bangsagju(方絲紬) Simnyangju(十兩紬) Hapsaju(合絲紬), Myeonju(綿紬), Suju(水紬), Toju(吐紬), Banju(斑紬), Sukcho(숙초), Ryeoncho(련초), Gungcho(궁초), Yeongcho(영초), Hujigyeon(厚紙絹), Habuta-e(羽二重), Waejeung(倭繒), Gosa(甲紗), Sun-in(純仁), Gosa(庫紗), Gwansa(官紗), Jusa(走紗), Eunjosa(銀條紗), (廣紗), Suksu(熟素), Waesa(倭紗), Dorisa(도리사), Gong-yangsa(貢洋紗), Rasa(羅紗), Yunjura(閏州羅), Eunra(銀羅), Jeohangra(苧杭羅), Danghangra(唐杭羅), Yanghangra(洋杭羅), Chura(秋羅), Eulla(乙羅), Eunra(銀羅), Godan(庫緞), Mobondan(模本緞), Handan(漢緞), Daedan(大緞), Yangdan(洋緞), Waedan(倭緞), and Geumdan(錦緞). After researching the silk fabric us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discovered that most of traditional fabrics were started to be used from this time, and it was figured that there existed more additional fabrics, which are not being used today, in that time period. The result of analyzing fabrics' lengths and widths, us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ame in this thesis is expected to help a bit in clarifying the proper name for the fabrics used in the late Joseon era dress relics. However, only a few relics were used in writing this thesis, but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dditional research to preserve the relics. ;본 논문은 조선 순조의 즉위년인 1800년부터 순종이 서거한 해인 1926년경까지 사용되었던 견직물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이 시기는 세도정치의 병폐와 외세의 개입으로 인하여 조선왕조의 체제가 서서히 붕괴되어 가는 가운데, 1910년 한일합병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정치적인 막이 내려지고, 1926년 마지막 왕인 순종이 서거함으로써 왕실마저도 사라지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현대사회에 남아 있는 전통문화의 근본이 되는 시기이며 마지막 왕실문화가 존재하였던 시기이므로, 당시의 견직물을 연구하는 것은 전통직물의 명칭과 특성에 혼란이 생겨나기 시작한 일제강점기 이전 전통직물의 명맥을 파악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20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견직물의 종류 및 명칭, 길이와 폭, 가치, 용도, 문양, 명칭에 따른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견직물의 종류로는 원사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平織物인 紬·초·絹, 綾織物인 綾, 냑직물인 紗·羅, 수자직물 또는 重織物인 緞이 있었다. 당시의 대표적인 직물이 총망라되어 있는 『□긔』에 기록된 각 직물의 수량은 紬〉紗〉羅〉緞〉초〉絹〉綾의 순이었으며, 특히 紬와 紗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고 그에 비하여 絹과 綾은 극히 미미하였다. 한편 19∼20세기 초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도 수많은 직물이 생성·변화·소멸하였다. 특히 1900년을 전후하여 전통직물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전 시기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던 방사주·수주·정주 등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라졌으며, 삼팔주·노방주 등은 새로이 생겨났다. 또 면주·토주 등은 그 명칭이 세분화되거나 변형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사용되기 시작한 여러 직물 중에서 노방주·생고사·숙고사·진주사·국사·양단 등은 전통직물의 주종을 이루게 되면서 현대까지도 계승되고 있다. 견직물 1疋의 길이와 폭은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다. 직물의 종류에 따라 폭이 다른 것은 일반적인 일이지만 1疋의 길이가 직물에 따라 달랐던 것은 매우 특이한 점이다. 1疋의 길이가 가장 다양하였던 것은 紬로서 752∼2350cm였으며, □는 1410cm, 紗는 1371.60∼1410cm, 羅는 1410∼1828.80cm, 緞은 1371.60∼2286.00cm였다. 紬 종류는 폭도 매우 다양하였는데, 대부분 32.9∼47cm 정도였고 가장 넓은 것은 84.6cm나 되었다. 초는 대부분의 紬보다 조금 넓은 51.7cm였으며, 紗와 緞의 폭도 비교적 다양한 편이었다. 일반적인 紗의 폭은 61.1cm로 당시 넓은 폭으로 생산되었던 직물 중 하나였으며, 종류에 따라 38.10∼68.58cm로 제직되었다. 緞의 폭은 47∼75.60cm이었다. 가장 좁은 폭으로 직조된 직물은 冒羅로서 그 폭이 28.2cm였는데, 이는 冒羅가 관모를 싸는데 사용된 직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밖에 絹 종류는 通絹이 47cm, 하부타에[羽二重, はぶたえ]가 38.10∼68.58cm, 綾 종류는 小綾이 32.9cm, 大綾은 51.7cm였다. 견직물의 가치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특히 紬는 종류가 다양했던 만큼 그 가치도 최저가부터 최고가까지 매우 다양하였으며, □와 絹은 직물의 종류는 많지 않았지만 모두 고급 紬 수준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또 紗·羅와 緞은 가치를 '艮' 즉 '銀'으로 표기한 고급 직물이었다. 각 직물의 10,000㎠당 가치를 비교하여 보면 大緞〉紗〉大綾≒走紗〉초〉紬의 순으로 나타나 최고가의 견직물은 緞종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緞이 최고가였던 이유는 기본적으로 제직 시 필요한 원사의 양이 많고, 수자직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보편화된 까다로운 제직법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緞 다음으로 가치가 높았던 것은 紗였는데, 紗가 비교적 얇은 직물임에도 불구하고 고가였던 것은 경사가 교차되는 織으로 직조해야하는 까다로운 공정 때문이었을 것이다. 견직물은 종류에 따라 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紬는 속옷과 상의의 비중이 매우 높았고, 예복 및 관복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포에 사용된 경우도 매우 적었다. 초는 각각의 직물에 따라 사용된 용도가 달라서 곡생초는 주로 속옷에 사용되었으며, 궁초는 왕이나 동궁의 최고의 예복에만 사용되었다. 또 絹과 綾은 매우 적게 사용되었는데, 하부타에는 兩殿의 핫바지와 치마에, 倭繒은 침구류에, 別紋綾은 황후의 누비소고의에 사용되었다. 紗는 가장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갑사는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직물이었다. 반면 현재 가장 보편적인 전통직물로 생각되고 있는 숙고사·생고사는 속옷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상의·하의·포 등의 겉옷으로만 사용되었다. 또 궁사는 용포·폐슬 등에만 사용되어 최고급 紗였음을 알 수 있다. 羅는 항라와 숙항라가 일부 예복 및 관복으로만 사용되었을 뿐 대부분 속옷으로 사용되었다. 緞은 비교적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었던 편이지만, 羅가 주로 속옷용으로 사용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단 1건도 속옷에는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새롭게 규명된 문양은 별문·백복문·백접문·수복문·오호로문·접문의 여섯 가지이다. 별문은 우리 왕실을 상징하였던 문양에서부터 시작되어, 주로 왕실에서만 사용하였던 용문·봉문과 화문·문자 등이 커다란 원형으로 이루어진 문양을 지칭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별문의 의미가 확대되어, 원형이 아닌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도 별문이라 호칭하게 되었다. 백복문은 '百蝶紋' 즉 '박쥐'가 가득 찬 무늬'이며, 백접문은 '百蝶紋' 즉 '나비가 가득 찬 무늬'이다. 수복문은 '壽輻紋', 즉 '壽字와 박쥐가 혼합된 문양'이다. 오호로문은 호로병박 다섯 개가 좁은 입구부분이 중심으로 향하게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호로병박 사이에는 넝쿨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문양이다. 접문은 나비문[蝶紋]과 창살문[蝶紋]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명칭에 따른 특성을 규명한 직물은 改只紬·潞州紬·三八紬·潞方紬·方絲紬·十兩紬·合絲紬·綿紬·水紬·吐紬·斑紬, 숙초·련초·궁초·영초, 厚紙絹·羽二重·倭繒, 甲紗·純仁·庫紗·官紗·走紗·銀條紗·廣紗·熟素·倭紗·도리사·貢洋紗·羅紗, 閏州羅·銀羅·苧杭羅·唐杭羅·洋杭羅·秋羅·乙羅·銀羅, 庫緞·模本緞·漢緞·大緞·洋緞·倭緞·錦緞 등이다. 이상 19∼20세기 초에 사용되었던 견직물을 살펴본 결과, 현재 전통직물로 여겨지고 있는 여러 직물들이 이 시기를 전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잊혀졌으나 당시에는 이들 외에도 수많은 직물들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직물의 길이와 폭, 용도, 문양, 명칭에 따른 특성 등에 관한 분석 결과는 조선 말기 복식유물에 사용된 직물의 타당한 명칭을 밝히는데 일부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박물관 소장유물의 실견이 어려워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 결과의 일부만을 유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물과의 연계연구가 더욱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