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지-
dc.creator이은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2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간과 공간 속에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회화의 평면 형식은, 이렇듯 변화하는 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다. 또한 대개의 경우 회화는 정지된 화면에 특정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관람자가 응시하는 대상이 된다. 그러나 본인은 회화의 평면을 통하여 정지된 이미지를 나타내기보다 회화의 기본요소로만 이루어진 단순한 화면을 공간 속에 설치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와 전시 공간의 모습이 화면에 투영되게 함으로써 그 자체가 화면의 내용이 되게 하였다. 이것은 회화가 관람자를 포함한 전시 공간과의 유기적인 관계성 속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 본인은 회화를 완성시키고 구성하는 진정한 주체를 관람자로 보았으며, 회화를 응시하는 관람자의 행위와 관련한 평면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본인의 작업에서 3차원적으로 설치되는 물성의 평면들은 회화이면서도 조각인 중간적 특징을 지닌다. 이것은 회화라는 것이 공간 속에 현존하는 리터럴니스(literalness)의 물체적 대상으로서의 평면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평면들은 집적을 지닌 대상으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밖의 공간이 들여다보이는 철망이나 공간이 그대로 투영되는 거울과 같은 평면이나 평면을 제시하는 틀로써 일종의 '창'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면들은 관람자의 시점에 따라 다르게 감상될 뿐만 아니라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감상자의 모습을 실재적으로 담아내거나 반영하여 변화하는 시간과 공간을 투영하는 확장적인 회화가 되는 것이다. 또한 공간 속에 현존하는 관람자의 자아를 인식하도록 하는 매개물이 되기도 한다. 즉, 본인의 작업에서 평면은 회화이면서도 물성으로 이루어진 조형적 구조물인 동시에 움직이는 관람자의 시선에 따라 변화하는 장면을 담아내는 스크린인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연속되는 시간과 빛의 흐름을 기록하는 일련의 '선 드로잉'들로 시작된다. '선'이 지니는 비물질적인 속성과 확장되는 방향성을 사용하여 연속하여 흐르는 시간과 빛을 표현하였던 것이다. 본인은 특히 시간의 생성되고 소멸되는 순간들을 얇은 선으로 표현하였으며, 중심선을 향하여 중첩되는 무수한 선의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미래가 만나 현재를 만드는 '교차'의 순간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색 선으로도 표현되어 빛의 순간성이나 스펙트럼적인 효과를 드러내며, 반투명한 아크릴의 색면으로 오브제화 되기도 한다. 또, 본인은 사각 화면을 구성하는 수직수평선의 구조를 드로잉 하였으며, 그 이미지를 그대로 철망선 화면으로 실재화 하였다. 이것은 회화의 물성적 측면을 드러내며 회화의 화면을 공간화 시키는 작업으로서 회화와 조각, 이미지와 실재의 경계를 묻는 작업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그리드의 이미지를 거울에도 옮겨 거울이라는 오브제를 회화의 화면처럼 다루며 드로잉을 하였다. 거울 표면이 지니는 강한 투영과 반사에 의하여 드로잉 된 선들은 울림의 이미지를 만들었으며, 선 드로잉과 관람자를 포함하는 주변 공간의 모습이 중첩된 화면을 만들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현실의 이미지가 시공을 나타내는 좌표에 교차됨으로 현실의 모습이 재구성되는 효과를 보여준다. 또 거울 평면을 바라보는 관람자는 반사된 현실의 이미지와 평면위에 그려진 그리드의 이미지를 동시에 바라보게 되면서 이중 시선의 체험을 하게 된다. 결국 이 거울 평면들은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관람자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들을 담아내며, 그것을 바라보는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간과 공간을 드러내는 것이다. 본인의 작업 전반에는 반복 중첩되는 '선'과 '색'의 이미지가 드러나는데, 이것은 서로 다른 것이 만나는 '교차'를 표현하는 것이면서도 교차를 통한 '연결'과 '연속성'을 의미한다. 화면의 반복적인 선의 패턴은 공간으로 확장되는 연속성을 보여주며, 공간 속에 설치된 평면들 자체가 연속되는 조형적 '선'을 이루기도 한다. 그 선은 공간을 가르는 물질적인 경계의 평면이면서도, 관람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경계로서 관람자의 인식의 공간인 것이다.;We all live in the circumstances of changing time and space. However in the case of a traditional painting, it is relatively static compared to the constantly changing time. In most times, the picture plane contains a certain image which becomes a subject for the viewer to see and examine. Instead of drawing a concrete image, however, I have only used the basic pictorial elements such as line, plane, and color composing a rather simple screen. These screens were installed 3dimensionally and placed so that the viewer and the exhibitional space would become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plane. This is viewing a 2dimensional work within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space. I also viewed the spectator as the subject who completes the painting, and made the spectator to become am essential component of it. Therefore my works are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ectator, emphasizing the act of viewing. As my picture planes are constructed in certain materials and displayed in a 3dimensional manner, they become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a painting and an object(or sculpture). This projects the idea that a painting or drawing or any 2dimensional media is an actual material and also an object of literalness existing in the space. However these flat objects do not only function as literal objects but are consisted in see through materials such as a wire screen or a mirror reflecting the space including the spectator, or are composed in a form of a frame just suggesting a picture plane of vision. Such planes function more like a 'window', not only showing and reflecting the spectator and the space but also being viewed in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pectator. It become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2dimensional picture plane reflecting the changing time and space, and functions as an intermediation for the spectator to cognize the existential self. Therefore my flat objects are a painting, a formal str cture in space, and a screen showing visual scenes based on the vision of the moving spectator. My work first starts from a body of line drawings. The line has an immaterial character and also has a sense of expansion in direction. I used the line in visualizing the consistent flow of time and light. In order to visualize the 'moment', I particularly used thin lines and drew numerous lines toward a central area of the screen. Such image was an expression of visualizing the intersection of moments of past and future. These images were also expressed in color, making a spectrum effect of light which were also constructed into acrylic objects. I also drew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which a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square screen, and transferred such images into wire line screens. This type of work was revealing the material aspect of the 2dimensional work and spatially constructing the image, questioning the difference between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work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and the real. Such grids were also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where I handled the mirror object like a picture drawing on the surface. However through the strong reflection of the surface, the linear drawing made a vibrant effect of itself and also made a crossing image with the real life. This became a reconstructed image of the real life which seemed to be overlapped with a grid symbolizing time and space. Also the spectator experiences a dual vision when viewing the grid and the reflected self simultaneously. After all the mirror plane contains the changing scenes of time and space in such situation based on the vision of the spectator moving within the surrounding space. In all my works, there are repetitive and overlapping images of numerous lines and color. This is a visual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intersection' where different things encounter, but also implying the meaning of 'continuity' through the linear form. The repetitive line pattern on the screen also implies the continuous expansion into space, and the 3dimensionally installed screens become a linear form itself. Such linear form of material is not only a border line dividing the space, but is also a space for cognition of the spectat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서론 = 1 Ⅱ. 선, 면, 색의 교차와 연속 = 3 1. 직선을 통한 시간성의 표현 = 3 2. 수직수평선의 교차를 통한 사각화면 = 6 3. 색의 중첩을 통한 스펙트럼 효과 = 10 Ⅲ. 물성적 평면과 시선의 교차 = 13 1. 사물로서의 회화 = 13 2. 회화 표면을 통한 시선의 확장 = 15 3. 평면의 공간으로의 확장 = 18 Ⅳ. 작품 분석 = 20 Ⅴ. 결론 = 45 참고작품 = 46 참고문헌 = 50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69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그리드와 시선이 교차된 평면-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