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柳順鉉.-
dc.creator柳順鉉.-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558-
dc.description.abstractChapter Ⅰ. Introdu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incuire into how much attention The Private School Law, a fundamental law for private institutes, are paying to the security for autonomy in private school. The private school in Korea not only has a significnace in the history of education, but plays as much important role in education as national or public school.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for education, to foster and ameliorate the private school. The private school is the educational institute established with original intention. It thus should be operated with high degree of originalit and autonomy, so that it could be promoted with keen desire. Because the private school takes charge of people's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duties, it should conform to the policy fo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supported and protected by the nation. This necessitates desirable policy to be ameliorated. The Private School Las, enacted for meeting the necessity. The law mainly aims art securing azutonomy End enhancing public spirit in the private school, Excessively interfering with the private school may cause such ineffectiveness es to keep it from the original development or to keep it to be demoralized. Taking notice of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under the conditions that the private school may riot cause the ineffectiveness, aims at showing how The Private School Law are securing the autonomy in the private school. Chapter Ⅱ. A Brief 1-iistory of Laws and Ordinances of the Private School. A wide range of inouiring into the private school laws and ordinances, covering from 1880s when the modern kind of school started to be established to the present when the laws and ordinances acre established, were made. Shich may be helfful to underst-n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xisting private school law. Chapter Ⅲ. Outline, of The Private School Law. For the existing private school law were shown the enactive circumstances, purpose and the main content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public spirit of the law. It is clarified that the public spirit does not necessarily interfer with autonomy. Chapter Ⅳ.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 and Managerial Autonomy in the School Juridical Foundation. The freedom of establishing private school, and national supervision to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juridical foundation, were observed. Chapter Ⅴ. Financial Autonomy in the Private School. National supervision to the finance in the private school law was throughly examined. Chapter Ⅵ. Autonomy of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Teachers. Finally was examined the autonomy of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teachers. Conclusion It is manifested that the autonomy of the private school is left hampered from the financ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he Private School Law, then the feasible readjustment countermeasures for the autonomy were suggested.;이 論文은 私學機關에 관한 基本法이라 할 수 있는 私立學校法이 私立學校의 自主性保障을 어느 정도 考慮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考察해 보려는 것이다. 韓國의 近代敎育史는 私立學校史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私立學校는 敎育史的 意義가 클 뿐만 아니라 現在에 있어서도 國·公立學校는 뒤지지 않을 만큼 큰 役割을 擔當하고 있다. 따라서 私立學校가 健全하게 育成 發達하여야 한다는 것은 오늘날 우리나라 敎育이 當面하고 있는 커다란 問題中의 하나라 할 수 있다. 私立學校는 獨自的인 目的을 가지고 設立된 敎育機關이다. 그러므로 最大限의 獨自性과 自主性이 保障된 속에서 運營될 수 있어야만 强한 意慾을 가지고 활발한 發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私立學校는 國民敎育이라고 하는 重要한 國家的 任務의 一翼을 擔當하고 있으므로 國家의 敎育政策에 따라야 함을 勿論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國家의 積極的保護와 支援을 받아야 한다. 여기에서 私立學校에 대한 國家의 育成 내지 規制외 必要性이 생기게 된다. 私立學校法은 바로 위와같은 必要性에 副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法으로서, 同法을 私立學校의 自主性의 確保와 公共性외 昻揚을 基本目的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私立學校에 대한 國家의 指導干涉이 지나칠 때에는 私立學校의 獨自的 發展을 沮害하고, 士氣를 低下시키는 등의 逆效果를 招來할 수도 있다. 이 脚究는 바로 이 硏究는 바로 이 點에 着眼하여 私立學校法이 이러한 結果를 招來해서는 안된다는 前提下에 私立學校法이 과연 公立學校의 自主性을 어느 정도 保障하고 있는가를 考察해 본 것이다. 이 論文의 主要內容은 다음과 같다. 第1章 序論에 이어 第2章 「私立學校의 發達과 法令略史」에서는 1880年代의 近代的學校가 成立되기 始作한 以後부터 지금의 私立學校法이 制定될 때까지의 私立學校法令에 대한 考察을 現行 私立學校法의 歷史的背景을 理解하려 하였다. 第3章 「私立學校法 槪觀」에서는 現行 私立學校法의 制定經緯 制定目的과 主要內容을 살펴본 후 公立學校의 自主性과 公共性과의 關係를 살펴서 公共性이 반드시 自主性을 沮害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第4章 「私立學校設立 및 學校法人運營의 自主性」에서는 私立學校設立의 自由와 學校法人運營에 대한 國家의 監督權을 살펴보고 第5章 「私立學校財政의 自主性」에서는 私立學校法中 財政에 관한 國家의 監督權을 살펴보았고 第6章 「敎員人事管理의 自主性」에서는 敎員人事管理에 對한 國家의 監督權을 살펴 보았다. 끝으로 「結論」에서는 私立學校法이 財政 및 人事管理의 面에서 私立學校의 自主性이 沮害되고 있음을 밝힌 구 그 是正策을 論究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範圍 = 2 C. 硏究의 方法 = 3 Ⅱ. 私立學校의 發達과 法令略史 = 4 A. 近代私立學校의 勃興期 = 4 1. 基督敎系 私立學校의 設立 = 4 2. 新學制의 實施 = 6 3. 民間人에 의한 私立學校設立 = 8 4. 私立學校設立에 대한 政府의 態度 = 8 B. 統監府時代 = 10 1. 統監府時代의 敎育方針 = 10 2. 1908年 私立學校令 = 12 C. 總督府時代 初期 = 15 1. 1911年 第1次朝鮮敎育令 = 15 2. 1911年 私立學校規則 = 18 3. 1915年 私立學校規則의 改正 = 23 4. 書堂規則 = 27 D. 總督府時代 中期 = 28 1. 1920年 改正私立學校規則 = 28 2. 1922年 第2次朝鮮敎有令 = 29 E. 總督府時代 末期 = 34 1. 1938年 第3次朝鮮敎育令 = 34 2. 1943年 第4次朝鮮敎育令 = 36 F. 8.15 解放後부터 私立學校法制定 當時까지 = 40 1. 私立學校의 再興 = 41 2. 1961年 敎育에 관한 臨時特例法 = 42 3. 私立學校法 = 43 Ⅲ. 私立學校法 槪觀 = 44 A. 私立學校法의 制定經緯와 改正經過 = 44 1. 制定經緯 = 44 2. 改正經過 = 45 B. 私立學校法의 制定目的 = 46 1. 統一的이고 綜合的인 私立學校關係法의 必要性 = 46 2. 行政官廳의 監督權 强化와 그 根據明示 = 47 3. 學校法人法의 助成 = 48 4. 私立學校敎員의 身分保障 = 48 5. 要約 = 48 C. 私立學校法의 主要內容 = 49 1. 槪要 = 49 2. 學校法人制度 = 50 3. 學校法人 理事會의 機能과 運營方法 = 50 4. 監督廳의 監督權 = 51 5. 學校法人의 會計와 學校會計의 區分 = 52 6. 學校法人의 收益事業許容 = 52 7. 學校法人의 助成 = 53 8. 私立學校敎員의 身分保障 = 53 9. 罰則規定 = 54 D. 私立學校의 自主性과 公共性 = 55 Ⅳ. 私立學校設立 및 學校法人運營의 自主性 = 58 A. 私立學校設立의 自由 = 58 1. 다른 나라의 境遇 = 58 2. 우리나라의 制度 = 59 B. 私立學校運營의 自主性 = 61 1. 學校法人의 設立·解散命令 = 61 2. 任員의 人事 = 61 3. 私立學校의 財政 = 64 Ⅴ. 私立學校財政의 自主性 = 65 A. 私立學校 財政의 實態 = 65 B. 私立學校法上 財政에 관한 規定 = 66 1. 收益事業에 대한 規制 = 66 2. 財産管理의 規制 = 67 3. 豫算의 區分編成 執行 = 68 4. 豫算 및 決算의 提出 = 68 5. 豫算編成要領과 會計規則 = 69 Ⅵ. 敎員人事管理의 自主性 = 70 A. 人事行政의 重要性 = 70 B. 私立學校 敎員人事에 관한 規制規定 = 71 1. 私立學校敎員의 資格 = 71 2. 校長等의 承認 및 承認取消와 解免報告 = 71 3. 其他 敎員의 任免報告 = 72 4. 監督廳의 懲戒要求 = 73 5. 服務 = 73 6. 身分保障 = 73 C. 敎員人事管理에 관한 規定의 問題点 = 74 1. 校長等의 任命承認의 問題 = 74 2. 任命承認取消의 問題 = 75 3. 懲戒要求의 問題 = 76 4. 服務規定의 問題 = 77 Ⅶ. 結論 = 78 參考文獻 = 81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58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사립학교법-
dc.subject자주성-
dc.subject교육행정-
dc.title私立學校의 自主性에 關한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私立學校法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utonomy in Private School : centering around The Private School Law-
dc.format.pagevi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197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