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현실-
dc.creator오현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7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9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911-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Clematis 속은 16종 11변종 5아종으로 되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나는 으아리속 Clematis 중에서 대표적인 9종의 줄기, 잎대 표피를 세포조직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속은 콜크가 발달된 목본형과 콜크가 발달되지 않은 초본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줄기의 관다발수는 종류에 따라서 다르고 또 마디에 따라서도 변화되는 것이 있다. 초본형으로 나타나는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Maximowicz는 줄기의 관다발수가 아랫마디에서 위쪽 마디로 올라가면서 22, 20, 18, 16, 14로 적어진다. 또한 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도 줄기의 중간에서 위쪽을 향하여 15에서 12로 줄어지는 것을 볼수 있다. 외대으아리의 가공은 으아리에 비해 적고 염색체수는 외대으아리가 2n=16이고 으아리가 2n=32로 되어있다. 즉 외대으아리의 염색체수가 배로 된 식물이 으아리인 것 같다. 콜크층을 지닌 종으로써 줄기의 관다발수가 일정한 것은 세잎종덩굴, 큰꽃으아리, 사위밀빵, 조희풀, 자주조희풀이었고 변화가 있는 것은 종덩굴과 할미밀빵이었다. 이들 줄기의 횡단면에서 관다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세잎종덩굴과 큰꽃으아리였고 가장 많은 것은 자주조희풀과 조희풀이었다. 특히 줄기의 관다발수가 어느 것을 막론하고 뚜렷하게 큰 것이 6개이고 이 기본수 이외에 첨가되어 나타나는 관다발의 수는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다. 잎의 표피형의 세포에 크기와 기공의 크기, 기본 표시세포벽의 굴곡은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어서 으아리속의 종분류에 큰 도움이 되는 형질이라고 볼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개요 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S AND METHODS = 2 Ⅲ. OBSERVATION = 3 Ⅳ. CONCLUSION = 15 BIBLIOGRAPHY = 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404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dc.subjectanatomical study-
dc.subjectclematis-
dc.subject으아리-
dc.titleAN ANATOMICAL STUDY ON CLEMATIS IN KOREA-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산 으아리속의 해부학적 연구-
dc.format.page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7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