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수면(水面)의 조형성 연구

Title
수면(水面)의 조형성 연구
Authors
박채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사진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구 표면의 3/4을 차지하고 있는 물은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물에게 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그 생명의 근원을 물에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물과 오랜 세월 더불어 생존해 왔으며 그러한 물은 예로부터 사상가와 예술가의 은유적 모델로서 그들의 작품에 많이 등장하는 소재 중 하나였다. 물은 그들에게 생명력을 갖고 있는 존재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물은 인류의 존속에 있어서 또한 문화 발전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물은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반면 물에 대한 인식조차 못하고 있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개인에 따라 상이(相異)한 견해가 있을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필자는 물의 절대적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물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개념 중에서 물질적, 정신적 개념에 관해 알아보려고 한다. 두 가지 개념을 초석(礎石)으로 물의 통념을 좀 더 확장하여 이해하고자 하며, 물의 흐름에는 시간을 반영한다는 전제하에 시간의 흐름 속에서 순환하는 물의 개념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물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면(水面)의 다양성 즉, 물의 형태와 그것의 표면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조형미를 표현하려고 한다. 이러한 물 이미지의 확대를 통해 조형적인 미를 창출해내는 실험과정으로서 뿐만 아니라 실제 자연 속에서 물을 바라볼 때 그 자체와 수면에 반영(反影)된 형상에서 느낄 수 있는 편안함, 아름다움, 즐거움 등을 이끌어 내는데 주력하였다. 자연은 그 자체로서 자율적으로 내재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의미는 작가의 조형적 활동을 통해 구체화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물 이미지가 갖고 있는 내재적 의미를 사실적인 표현과 형이하학적으로 구성된 표현을 통한 해석을 시도해 보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물에 대한 개념의 이론 습득과 여러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물 표현의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여 필자가 물을 관찰하는데 있어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하는지의 새로운 접근 방법과 이를 기초로 본인의 작품세계를 심화하여 발전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3/4 of the earth surface is covered with large and some small bodies of water. Likewise, "everything with life has it's base in water"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Because water had existed long before the human species, men have modeled the water as the key and primal source philosophically and artistically. Water's peculiar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and recognized in diverse directions. The main goal of this thesis is to broaden and understand the physical and philosophical intention of the commonly accepted ideology of the water. The water embodies reflection of time and this study also touches upon its circulation with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water and its special quality, this study will express and broaden into the diversity of the water surface, form, shape and its reflection of moulding. It will also express through the images in the enlargement and formatical experiment, and introduce the beauty, comfort and pleasure reflected on the body of water. It is through the crafting of artist that the autonomous meaning of nature is revealed. With the above dimension, I compared the meaning between the natural body of water and the one which is scientifically composed. Finally, therefore through the above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with references of works presenting the various format of research, I flourished in developing a new way in approaching my own v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