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진주-
dc.creator홍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6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이주노동자들은 수적인 증가와 체류기간의 장기화 속에서 고용, 임금, 의료, 거주 및 생활, 인권, 강제추방 등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는 국내 주요 취약계층 중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혼 이주노동자의 결혼과 중국과 몽골 등 가족단위 이주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인한 이주노동자 가족, 그중에서도 특히 자녀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주 노동자 개인이 경험하던 문제와 달리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와 개입방법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주노동자 가정의 자녀들과 관련된 문제는 아동은 어떠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보호받고 존중받아야할 존재이며 사회적 약자라는 점, 또한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화를 이루어가는 시기를 이국에서 보냄으로 인한 어려움이 증폭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주의깊게 다루어져야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국제 이주노동자 자녀를 대상으로,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이주 후 한국생활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파악하고, 이러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발견, 제시하려는 목적 하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가족단위 이주가 특징적인 몽골출신 이주노동자들의 자녀들로서,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0세에서 18세의 몽골 아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교육, 가족, 종교, 사회복지 등과 관련된 한국사회 생활실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심리사회적 적응 즉,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외현화 문제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영향력 있는 변수들을 살펴보았으며, 상관관계 결과를 중심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도구로는 Hovey & King(1996)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와 이경주(1997)의 사회적 지지척도,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 오경자 외(1997)가 번안 표준화한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내용을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3년 10월 1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약 8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67부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서는 체류기간이 2년 이상의 장기체류인 경우가 많다는 점, 한국어와 몽골어를 병용하는 비율이 무척 높다는 점, 가족의 수는 4명 이상인 경우가 많다는 점, 경제적 지위는 중상층 이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응답자의 70%이상이 한국에서 정규교육 경험을 지니고 있다는 점, 종교가 크리스트교인 경우가 65%이상인 점 등이 특징적인 결과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주요변수간의 차이가 일부 존재했는데, 종교에서는 무교인 경우가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류기간은 1년 이상인 집단과 3년 이상인 집단 간에 평균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으며, 16-18세의 집단이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었으며, 내재화 문제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과 연령이 13-15세인 집단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요소들 중에서 경제적 수준은 정서적지지, 자존적 지지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거주기간은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모든 사회적지지 하위변인과의 부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심리사회적 적응의 거의 모든 하위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가족지지와 정보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는 내재화 문제에 대해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지지, 교사지지, 자존적 지지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 뿐이었으며, 외현화문제와 그 하위변인 간의 영향력은 설명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로는 이주노동자 자녀관련 연구의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며,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 비교의 실증적 근거 마련자료가 되었다. 또한 예상 및 유사연구와 달리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비교적 낮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의 영향요인 등을 반영한 사회적응에 관련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으며, 가족지원 및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학교 및 지역사회적인 직·간접서비스와 다각적인 프로그램 개입의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정책적 함의로는 이주노동자 자녀의 인권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근거 제공의 필요성과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위한 명확한 법적 보장책과 다각적 원조와 지원방안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spite of the increase in numbers of international migrant worker in Korea and in number of international family, there are not enough social approach, professional helping service and research for them. So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research for those problems. This study was concerned about the Psycho-social Adaptation of Youth in Mongolian Migrant Workers' Fami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actual conditions of life of youth in Mongolian Migrant Workers' Family and levels of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effectiveness and relations among the Accultur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67 youth, aged between 10 to 18,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ccording to the Non-probability Method-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For the study acculturation stress scale, social support scale, self-esteem scale, K-YSR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were used. Results of the research had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life of Mongolian youth, and characters about family, school, religion, social welfare. With this, they showed the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social support-family, friend, teacher support and informational, emotional, self-esteemed, physical support, psycho-social adaptation as followed self-esteem,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 problems. And they showed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ion of the youth. Based on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effectiveness among the variables was shown. From this, theoretical, clinical implications and policy relevance may be suggested. Theoretically, empirical data on youth in Mongolia migrant workers' family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psycho-social adaptation capability. Clinically and practically, it has become established that necessity for family support program and helping process for acculturative adaptation. And the study has proved the necessity of setting up programmes differently design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and other psycho-social adaptation of the youth, thereby has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programmes. Lastly, its implication to the policy making, , the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migrant worker's family support policy and their children's rights of welfare an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to providing detail legal ground for the migrant youth also suggested. For more studies there are some necessary approach to other or more nationality youth in migrant workers' family, longitudinal study, and other area are necessary to find out more clear reality and effectiveness and relations of among variabl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skilled qualitive research to draw more in- depth res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및 목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이주노동자 자녀 = 5 1. 이주노동자의 개념 = 5 2. 이주노동자 자녀의 개념 = 6 3. 이주노동자 자녀관련 현황 및 문제 = 6 4. 관련 선행연구 = 9 B. 문화적응스트레스 = 11 1. 문화적응 = 11 2. 문화적응스트레스 = 13 3.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 = 14 1)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 = 14 2) 몽골 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 = 15 C. 사회적 지지 = 17 1. 사회적 지지 개념 = 17 2. 사회적 지지의 효과 = 18 1) 완충효과 모델 = 19 2) 주효과 모델 = 20 3. 아동 청소년기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 21 D. 심리사회적 적응 = 23 1. 심리사회적 적응의 개념 = 23 2.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 = 23 1) 자아존중감 = 24 2)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 25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6 1. 연구대상 = 26 2.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 26 B. 연구도구 = 28 1.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Acculturative stress scale) = 28 2. 사회적 지지 척도(Social Support scale) = 28 3.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s self-esteem scale) = 30 4.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 (K-YSR) = 30 5. 인구사회학적 변수 = 32 C. 자료처리 = 33 D. 연구분석틀 = 34 1. 연구모형의 설정 = 34 2. 연구문제 = 35 E. 연구의 한계 = 36 Ⅳ. 연구결과 분석 = 3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8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8 2. 연구대상자들의 가족관련 특성 = 40 3. 연구대상자들의 교육관련 특성 = 42 4. 연구대상자의 종교관련 특성 = 45 5. 연구대상자의 사회복지관련 특성 = 47 B.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 = 49 1.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 = 49 2.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 = 49 3.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 50 4.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내재화 문제의 차이 = 50 5.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외현화 문제의 차이 = 51 C.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 55 1.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독립변수들과의 상관관계 = 55 2.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 = 57 3.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 = 58 D.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61 1.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61 2.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63 3.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66 Ⅴ. 결론 = 69 A. 요약 = 69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70 2.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 = 71 3.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 = 72 4.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73 B. 함의 = 74 1. 이론적 함의 = 74 2. 실천적 함의 = 75 3. 정책적 함의 = 77 C. 제언 = 78 참고문헌 = 80 부록 - 1 <몽골어 설문지> = 87 부록 - 2 <한국어 설문지> = 101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6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