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신혜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규교육에서 중도탈락한 청소년들은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의 취약성으로 인해 위험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의 중도탈락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면서 학생들의 개별적인 욕구를 반영한 교육 환경을 제공해주는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안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분야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데 높은 욕구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대안학교 학생들이 어떤 진로태도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대안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사회사업 실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들의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개인, 가족, 친구 및 교사, 학교요인으로 세분화하여 영향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대안학교 학생의 개인요인은 자기효능감, 내외통제성, 학교만족도, 학업태도, 직업교육경험으로, 가족요인은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경제적 지위로, 친구 및 교사 요인은 친구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로, 학교요인은 진로관련 교과과정, 학력인정, 학급규모, 사회복지사 고용 여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담당 교사의 동의가 이루어진 특성화 고등학교 6곳과 도시형 대안학교 4곳의 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교 요인은 담당교사와의 인터뷰 및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437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SPSS 11.0/PC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재학기간과 거주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대안학교에 재학한 기간이 길고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높은 진로태도성숙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별, 연령, 가족구조에 따라서는 진로태도성숙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안학교 학생의 전체 진로태도성숙도는 5점 만점에 3.59점으로 나타났으며, 5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는 독립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확신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 보고 된 일반학교 고등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대안학교 학생들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가 일반학교 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안학교 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관심이 많고 성숙한 진로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진로태도성숙도에는 자기효능감, 내외통제성, 부모양육태도, 교사지지, 월평균수입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성숙의 하위 영역인 진로의 목적성에는 학교만족도와 성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진로의 독립성에는 부모양육태도와 내외통제성, 연령이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진로의 확신성에는 자기효능감과 학업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의 결정성에는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월평균수입이 유의미한 변수로 밝혀졌다. 진로의 준비성에는 내외통제성, 부모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통제변수 중에서 성별, 거주형태, 재학기간도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학생의 개인, 가족, 친구 및 교사, 학교요인의 하위변수 중에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최적모형을 밝혀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8개의 변수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변수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자기효능감,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내외통제성, 재학기간, 거주형태, 학업태도, 월평균수입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학생들이 성숙한 진로태도를 갖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성, 학업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이밖에도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지지가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요인 중에서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없는 나타나, 학교의 구조적인 특성은 학생 개인의 진로 태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사회복지학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대안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안학교 학생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개인, 가족, 친구 및 교사, 학교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안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를 밝혀 이에 따른 적절한 개입을 통해 바람직한 진로태도를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개인 요인의 자기효능감과 내적통제소재를 높여주고, 좋은 학업태도를 기를 수 있는 진로 관련 상담 및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인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개입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안학교 학생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교사회사업가는 대안학교 교사가 학생에게 보다 긍정적인 지지원이 될 수 있도록 교사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사회복지사가 고용되어 있는 대안학교가 많이 있었으며, 학교 환경에 따라 교과담당, 길잡이교사, 진로담당, 학교사회사업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안학교의 열악한 재정 여건상 사회복지사를 학교사회사업가로 고용하여 전문적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대안학교에서도 일반학교와 마찬가지로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을 도입해야하며, 이러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대안학교 내에 사회복지사가 보다 안정적으로 학생들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In most cases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not only various psycho-social problems but also are exposed to risk situation due to vulnerable environment. As the dropout adolescents' problems become serious, concern and expectation for alternative school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students' individual need grows higher. However, a study on social work concerning alternative school students makes little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rrange for knowledge foundation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concerning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concern and desire for preparing career through investigating their career attitude. In addition, this study categorized and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alternativ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Personal factor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satisfaction with school, learning attitude, and experience of vocational training. And family factor was measured by parental attitude and socioeconomic status, friend and teacher factor by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school factor by curriculum related to career, school career authorization, classroom size, and employment of social worke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20 students from 6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4 urban alternative schools, and after data cleaning, 437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Especially, school factor was investigated by interview with alternative school teachers and literature review. The data was processed by the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s was 3.59 and among 5 sub factors of career attitude the mean score of career independence was the highest, and career confidence was the lowest. Comparing with prior researches, it was revealed that alternativ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regular students in the score of both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5 sub factors of that. It means that alternative school students have great concern and mature attitude on care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s according to a period of attendance at alternative school and resident typ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student who attends alternative school for long and lives in a dormitory shows high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for gender, age, and family structu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s.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parental attitude, teacher support, and monthly average income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Futhermore, in the analysis of sub factors of career attitude,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gender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career goal-orientation, and parental attitude, locus of control, and age were significant for career independence. It was revealed that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ffect career confidence, and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monthly average income affect career decisiveness. And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were locus of control, parental attitude, gender, resident type, and the period of attendance. For best combination of variables to predict career attitude maturity, eight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effecting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s. In a condition that mutual effects was controlled, the eight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self-efficacy, parental attitude, teacher support, locus of control, the period of attendance, residence type, learning attitude,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the six variables except control variables accounted for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of 35.8%. Especially, Personal factor among four alternative school students' factors contributed to career attitude maturity than any other facto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are as follow. This study provides knowledge foundations on diverse school social work practices for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nd this study shows that diverse social work interventions related to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necessary for alternative school students to establish matured career attitude. Also, social work interventions in parents and teacher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olicy that the model school operation of school social work should be introduced to alternative schools as a field of professional social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