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경-
dc.creator김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건강행위 변화에 관한 역동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범이론적 모형 (transtheretical model)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20, 30대 성인들의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양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고 통합적 예측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성인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동기화의 구체적 전략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며, 연구의 조사대상 모집단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20세에서 39세까지의 성인 1618명이다. 성, 연령 분포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비례층화표집(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을 수행하였으며, 인터넷조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하여 보통이라고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자신의 체격상태에 대해서도 보통이라고 말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1/3정도가 비만하다고 응답하였다.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약간 받는다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성인의 약 33%만이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고 있었다. 변화단계에 따른 대상자들의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계획전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단계의 분포가 15.6%, 26.0%, 25.0%, 19.0%, 14.4%로 나타나 약 76.5%의 성인들이 현재는 운동을 하지 않으나 향후 1개월에서 6개월 내에 운동을 시작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3. 1주일에 3-5일간 운동을 하며 평균 운동시간은 20분-2시간 정도가 가장 많았다. 또한 규칙적 운동실천자의 운동지속기간은 6개월 이내라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종목은 주로 걷기와 조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장소는 스포츠센터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혼자 운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건강증진행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건강증진행위의 변화단계를 측정한 결과, 6개월 이상 실천하고 있는 유지단계에 가장 많은 대상자들이 분포하고 있는 건강증진행위는 안전벨트착용이었으며, 다음은 금연, 절주행위 순이었다. 반면에 향후 실천의도가 없는 것으로 지적된 행위는 저지방식이, 암경고 증상관찰 순이었다. 5. 규칙적 운동, 체중관리, 스트레스관리를 실천한지 6개월 이상 된 유지단계에 있는 집단이 다른 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에 비하여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향을 보였다. 주관적 체격상태에 관해서는 규칙적 운동, 저지방식이, 체중관리, 그리고 스트레스 관리 행위에서 공통적으로 준비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이 자신을 비만하게 인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운동실천의 유지단계에 있는 성인들의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으며, 스트레스 관리 실천이 6개월 이상 된 성인들과 스트레스관리의 계획이 없는 성인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다른 단계에 있는 성인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6. 건강증진행위 간 상관관계에서는 저지방식이 행위와 체중관리 행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은 체중관리와 스트레스 관리, 금연과 절주, 저지방식이와 스트레스 관리, 저지방식이와 암경고 증상관찰의 상관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7. 규칙적 운동을 실천하는 데는 전반적으로 인지적 과정이 행동적 과정에 비하여 더 빈번하게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격차는 행동단계에서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유지단계에서는 같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즉 규칙적 운동을 경험하는 성인들은 행동적 과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규칙적 운동을 실천행위의 계획전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에서는 자아재평가, 사회적 해방, 강화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단계에서는 자아재평가, 강화, 자아해방의 경험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지단계에서는 강화가 가장 높은 경험률을 보였다. 9.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도 부여 점수인 pros점수와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도 부여 점수인 cons점수는 행동단계에서 교차되는 양상을 보여, 규칙적 운동실천에서는 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 부여정도가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 부여 정도보다 우위에 있어야 한다는 점을 나타내었다. 10. 규칙적 운동실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계획전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행동단계에서는 그 전의 세 단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유지단계의 자기효능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유의한 예측인자는 나이,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인지적 과정, 행동적 과정, pros와 자기효능감이었다. 12. 나이,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인지적 과정, 행동적 과정, pros, 자기효능감은 직접 그리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cons는 간접영향만을, 자기효능감은 직접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규칙적 운동실천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요인은 행동적 과정이었으며,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인지과정, 자기효능감의 순이었다. pros와 cons의 영향이 가장 적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우리나라 20, 30대 성인들이 실천하고 있는 건강증진행위의 양상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졌고 이는 향후 어떠한 건강증진행위를 보건교육프로그램의 타겟으로 설정하여야 할지와 어떠한 속성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주었다. 또한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범이론적 모형의 적용에서는 이론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이 모형에 대한 경험적인 지지기반의 영역을 넓히는데 기여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즉, 젊은 성인들이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발달시킬 수 있고 규칙적 운동행위가 주는 장점(pros)이 강조되는 그리고 변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행동과정을 강조하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행된다면 이들의 규칙적 운동 실천율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Transtheoretical model(TTM) posits that health behavior change involves progress through five stages of change: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preparation action and maintenance. Ten processes of change have been identified for producing progress along with decisional balance, self-efficacy.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understand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s of early adulthood, focusing on exercise behavior.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618 adults aged from 20 to 39 through internet survey. Major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adults were at the maintenance stage for seat belt use. 2. Many of adults were at precontemplation stage for low-fat diet and cancer symptom observation. 3. Low-fat diet was highly correlated with weight management, And weight management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stress management, smoking cessation, and alcohol abstinence. 4. Stage distribution for exercise behavior was 15.6%, 26%, 25%, 19%, 14.4% for precentemplation, contemplation, preparation, action, maintenance stages, respectively. 5. The most frequestly used exercise type was walking. 6. Behavioral processes were more frequently utilized than cognitive processes, in general. But for action and maintenance stage, behavioral processe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cognitive processes. 7. Self-reevaluation, social liberation and reinforcement were frequently used in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Self-reevaluation, reinforcement, self-liberation were frequently used in action and maintenance stages. 8. Pros of exercise behavior began to be higher than cons of exercise behavior form the actions stage and continued to increase to maintenance stage. 9. Self-efficacy was higher in action stage than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and the highest in maintenance stage. 10. Significant predictors for regular exercise behavior were age,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cognitive process, behavior process, pros, and self-efficacy. 11. Age,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cognitive process, behavioral process, pros and self-efficacy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regular exercise behavior stages of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문제 = 4 D. 용어의 정의 = 6 E.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8 A. 건강증진행위 = 8 B. 범이론적 모형 (Transtheoretical Model)의 개념적 틀 = 12 1. 변화단계 = 14 2. 변화과정 = 16 3. 의사결정균형 = 18 4. 자기효능감 = 18 C. 건강행위 변화에 대한 범이론적 모형의 적용 = 19 D.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범이론적 모형의 적용 = 21 III. 연구 방법 = 27 A. 연구의 개념적 틀 = 27 B. 연구대상 = 28 C. 연구도구 및 내용 = 29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33 E. 자료분석 = 34 IV. 연구결과 = 36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36 1. 인지된 건강특성 = 36 2. 운동관련 특성 = 38 B. 건강증진행위의 변화단계의 특성 = 48 1. 건강증진행위의 변화단계별 분포 = 48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변화단계별 분포 = 52 3. 건강증진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인지된 건강특성의 차이 = 65 4. 건강증진행위들 간의 상관관계 = 69 C.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대한 결정요인과 통합적 예측모형 = 70 1. 규칙적 운동실천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의 차이 = 70 2. 규칙적 운동실천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의 차이 = 76 3. 규칙적 운동실천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78 4. 규칙적 운동실천행위에 관한 주요 예측요인과 예측모형 = 79 5.규칙적 운동실천행위 예측모형 구성변수들 간의 관련성 = 80 V. 고찰 = 84 VI. 결론 및 제언 = 94 참고문헌 = 99 부록 = 109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151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근거한 성인의 건강증진 실천행위에 대한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ii,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