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숙이-
dc.creator전숙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4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28-
dc.description.abstract부부관계는 결혼이라는 제도로 이루어진 애정을 바탕으로 맺어진 관계로서 가족의 기초가 되며 비혈연적 이기는 하나 가장 밀접한 인간관계이다. 전통사회에서는 남녀의 뚜렷한 역할, 권한의 구분으로 인해 부부관계는 상하관계의 성격이 강했으며, 구조적으로는 지배자와 피지배자라는 대립적인 위치에 있으면서 그 내부에는 지배와 복종의 윤리가 절대시되어 있었다. 때문에 피지배자인 여성의 갈등이란 느껴지지 못하였거나 느끼더라도 표면화되지 못하였다. 가부장적 문화는 부부간의 힘의 불균형을 가져온다. 가부장적 사회 문화 속에서 남성의 권력은 막강해졌고, 그 권력 남용의 한 예로 외도와 폭력이 표출되어 왔다. 그 동안 남편의 아내폭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남편의 외도에 대한 연구는 시작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그 동안 남편의 아내폭력을 가정폭력 범주에 넣음으로써 여성을 남편과 가정의 부속물처럼 인식하는 경향이 짙었다. 또한 남편의 외도와 아내폭력의 원인이 여성에게 문제가 있어서라는 남성위주의 왜곡된 신념들이 강했다. 외도와 폭력은 가부장적 구조의 강력한 힘을 이용한 남편의 그릇된 행위이다. 이 논문은 남편의 외도와 폭력이 피해여성 자신들의 어떤 무능력이나 잘못 때문이 아니라 외도와 폭력을 행하는 남편 자신의 문제임을 밝혔고, 상처 입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이 경험한 고통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데 주력하였으며, 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고통받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촉구하였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모든 창조물에 부여하신 존엄성과 창조성을 회복하는 것이며, 이 창조의 힘을 통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고통받는 여성들을 위한 목회상담의 방법으로 피해여성의 입장에서 조명해 보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근거로 이야기하기를 통한 치료적 접근을 하였다. 즉 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고통받는 여성을 상담할 때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방법을 통하여 여성 자신이 자신의 이야기를 해나감으로써 자신에게 어려움을 주었던 기존의 가부장적 가치관들을 인식하고 그에 대항하는 새로운 가치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는 여성 자신 스스로 말하기 힘들어하는 상처 입은 이야기들을 신뢰하고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여성이 경험하고 이겨 낸 사건들을 새롭게 인식하므로 여성 스스로 자신의 고통을 새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게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깊은 상처를 입은 여성들에게 그들이 처한 환경 속에 그대로 적응하며 살도록 돕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한 여성으로서, 한 인간으로서의 인식하지 못했던 자신의 정체성을 깨달음으로써,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이야기하고 만들어 갈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하였다. ;The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is the most intimate human relationship that is established based upon love and marriage system though there is no blood relation.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 couple's relationship was not equal due to distinctive difference of the roles and right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in structure of one being 'the ruler' and the other 'being ruled by', the law of ruling and submission was considered absolute within the structure. Thus, the conflicts of women as the subordinates were not allowed to be sensed or to be expressed. Male dominant culture brings power imbal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Men's power has become enormous in male dominant society and misuse of increased power has been expressed through adultery and domestic violence.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husband's violence upon wives but research on husbands' adultery problems is in their early stage. By including husband's violence upon wives into general category of domestic violence,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treat women as if they are part of husbands' or families' possession. On the top of that, there has been a strong false belief that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were due to some problems of women. However husbands, using male dominant structure and given powerful rights, commit the adultery and violence because of their own internal problems.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new understanding for the suffering women due to their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and for them to see their painful experience from a new perspective and to realize their value through exposing the fact that real cause of the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is due to their own problem, not due to women's incapability or faults. This means to recover the respect and creativity that God has given to all creatures and to realize new possibility through the power of creation. Under this hypothesis, healing approach through pastoral counselling that is based upon the perspective of the suffering women who go through pain due to their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has been applied. This means that when counselling the suffering women due to their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through pastoral counselling focused on women, counsellors should try to help them realize the old values of male dominant structure that have brought the difficulties on them by letting the women tell their own stories and help them establish new values to stand against the old valu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focused on helping the women trust and speak up their painful experiences that they feel difficult to talk about and also helping them deal with their suffering in a new manner through letting them recognize the events that they experienced and overcame from a new perspective. It doesn't mean to let the deeply suffering women due to their husbands' adultery and violence adapt themselves to their present circumstances and live on but to help them recognize their own identity as a woman and as a human being, prepare them to talk about their lives in a completely new manner, and equip them with the power to build their new l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동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 4 Ⅱ. 남편의 외도와 여성의 고통 = 6 A. 남편의 외도에 대한 이해 = 6 1. 외도에 대한 정의 = 7 2. 외도에 대한 잘못된 신화 = 13 3. 외도의 원인 = 15 4. 우리나라 남편의 외도 현실 = 20 B. 남편의 외도와 여성의 고통 = 22 1. 피해여성의 반응 = 22 2. 피해여성의 고통의 단계 = 25 3. 피해여성의 고통들 = 27 Ⅲ. 남편의 폭력과 여성의 고통 = 33 A. 남편의 아내폭력에 대한 이해 = 33 1. 아내폭력에 대한 정의 = 33 2. 아내폭력 대한 잘못된 신화 = 38 3. 아내폭력의 원인 = 40 4. 우리나라 남편의 폭력 현실 = 44 B. 남편의 폭력과 여성의 고통 = 48 1. 폭력으로 인한 피해여성의 고통의 단계 = 48 2. 폭력으로 인한 고통들 = 52 Ⅳ. 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고통받는 여성을 위한 목회상담 = 56 A. 여성주의적 및 이야기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본 남편의 외도와 폭력 = 56 1. 여성주의적 관점 = 56 2. 이야기적 관점 = 68 B. 피해여성을 치료하는 목회상담의 과정 = 73 1. 이야기하기 = 74 2. 애도하기 = 79 3. 새롭게 이야기하기 = 81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7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4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남편의 외도와 폭력으로 고통받는 여성을 위한 목회상담-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