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경해-
dc.creator황경해-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3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문학교육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시인들의 이미지 유형과 상상력의 변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는가를 분석하고,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금 어떠한 교육적 효과와 시교육적 의미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인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교육에 있어서의 지향점은 다른 영역에 비해 다각적인 접근을 요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문학교육이 표방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시교육에 대한 방향성 모색의 일환으로서 시에 대한 올바른 감식력과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이미지 교육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문학 교육이 하는 일의 하나는 시에 대한 적정한 향수 능력과 감식력의 배양이다. 시인은 자신의 관념이나 사상, 감정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이미지와 비유, 상징 등 다양한 시적 표현 기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현대시 교육에 있어서 '이미지'의 문제는 시세계를 조망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미지의 기본 속성이 심리적인 것과 심미적인 것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현대시분석에 있어서 필수적인 절차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가 시의 한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주제와 어떤 관련을 맺고 형상화되었으며 시인이 어떤 의도로 표현했는가를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본적으로 시에서 이미지를 연구하는 것은 시인의 상상력과 작가의식을 검출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미지의 창출과 변용을 통해 시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확대해나갈 수 있는 시교육 방법론을 모색해본다. 시 교육에서 이미지 지도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로 하여금 시 텍스트를 읽고, 이미지 연상 작용을 하기 위한 개별적인 시간을 부여한다. 시적 분위기를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시를 읽고, 떠오르는 영상과 심리적인 요소 등에 대해 표현하는 과정이다. 학습자의 심리 공간에 형상화된 이미지를 발표하게 하는 것이다. 이미지화된 대상을 통해 작가가 무엇을 표현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의식에 대해, 주제의 형상화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 등의 교수 방식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Ⅰ장에서는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이미지의 기능과 분류 방식, 그리고, 시교육에 있어서의 이미지를 통한 접근방식의 의미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미지와 상상력의 관계성을 고찰하고, 시교육의 목표와 부합하는 가능성에 대해 그리고, 시교육에 있어서의 방향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Ⅱ장에서는 고등학교 시교육에서 논의되는 원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시인들의 작품들에 대해 분석하고, 교수 학습의 방향점을 모색해보았다. 원형적 이미지의 경우 어떤 다른 이미지 유형보다도 보편적인 상상력과 의식의 반영으로서 사람이 인식하고 상상할 수 있는 심층의 기저에 공유된 세계로부터 퍼올린 정신 유산이라고 할 수 있기에 문학교육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원형적 이미지의 첫번째 유형으로, 윤동주의 작품 속에 구현된 '별'과, '천상'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별'이 주는 서정적 상징성, 그로부터 파생되는 '천상', '자연'의 이미지는 수많은 상상력과 원형적 상징성의 모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학습자들은 시 속의 서정적 자아의 내면에 형상화된 '별' 과 조우하면서 다양한 상상력과 의식의 확장 속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두번째로, '꽃'에 관한 원형적 이미지의 경우, '꽃'이라는 존재가 표상하는 미적 가치, 생명력 등을 중심으로 하는 상상력의 원형적 성격을 조망해 볼 수 있다. 일상의 삶의 공간에서 자연공간에서 자라고 인간의 삶 속에 가까이 존재해 온 '꽃'은 물질적 존재로서는 연약하고 대체로 짧은 수명을 지니고 있으나, 역설적으로 강인한 정신력과 생명력을 상징한다. '꽃'을 통해 유추하고 상상력을 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꽃'의 원형적 이미지는 다양한 표층으로 변용, 다양한 원형심상으로의 접근이 가능한 수용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세번째로 다운, '물'의 이미지의 경우, 근원적 상징성을 띠는 대표적인 예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이미지를 나타내면서 再生과 回復, 그리고 回歸意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모든 생명체의 발원지요, 고향으로서 동경과 그리움의 시적 대상으로 인식된다. 인간의 원형적인 집단무의식 속에는 그들의 원초적 삶이 잉태되었던 생명의 발상지에의 향수가 내재해 있으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일상적 생활에서 '물'과 '불'은 인간에게 친근하고 필수불가결적인 물질들로서, 인간의 삶과 생활 속에 근원을 형성시켜온 원형적 이미지라는 잣대로서 심도 깊게 파악될 때에는 깊고 풍부한 상징성을 체득할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감각적 이미지의 변용을 중심으로 하는 작품들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 정리하고, 교수 방향점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시적 이미지는 감각적 사고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문학교육의 대상이 되는 대부분의 시가 창작 주체의 감각적 사고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감각 체험을 통한 시적 감수성을 체득하게 하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인의 독특한 성, 개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었는가를 감상하고 상상력의 변용, 확장으로 문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독특한 이미지스트로 평가받는 정지용의 시편들 중 <향수>, <바다>연작시를 중심으로, 그의 시편들 속에 풍부한 감각적 이미지의 표출 양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수 학습의 방향점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한용운의 <알수 없어요>, <찬송>을 중심으로, 한용운 시에서 그의 종교적 신념과 님을 향한 송축을 담은 관념적 의미들이 감각적으로 변용되었는가를 살피는 과정을 통해서 이미지들이 다양하게 감각화되고 표현될 수 있다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30년대 이미지즘을 대표하는 김광균 작품 중 <星湖附近>, <雪夜>를 중심으로 정서 상태 및, 공간 이미지를 언어적 그림으로 감각화하는 독특한 이미지 변용을 분석하고, 교수설계의 방향점을 모색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이미지의 유형화를 통해 접근함을 통한 시교육적 의의 및 효과를 상정해보았다. 이미지로서 자신의 관념 및 정서 , 사상을 형상화한 시인들의 작품들을 통해 학습자들의 감각력이 신장되고, 내면화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의 측면에서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의 모태가 될 수 있는 인류 보편적 원형 이미지와, 시적 자아의 개성과 감수성의 독특한 발현을 중심으로 하는 감각적 이미지라는 기준으로, 작가별 이미지의 특질 및 문학교육적 접근 방법, 문학교육적 의의를 모색해봄으로써 이미지 교육의 중요성을 작품의 분석과 적용 과정의 모색을 통해 재정립하며, 이미지 변용을 중심으로 시적 감식력과 상상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문학교육의 한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way of literature pedagogy focusing on the Receptiveness and Transformation of the Imag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images and image pattern-Archetypal images and Sensible images, this study cover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meanings. Poets express their ideas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poetic technique such as images, symbols, metaphor etc, which would be major factors to perspect the poetic world of the literature education. The attribute of the images is based on the mental and the aesthetics the analysis of the images would be the essential procedure, and meaningful way to detect the imagination and the ideas of the poet. In the current age where the creative and particular identity for an individual is respected, now we are confronted with the needs to search out a new direction and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with different pedagogy of next generation. By degrees they raise more issues on the literature pedagogy to enhance the student's creativeness in this information-oriented century. It seems to be a find new breakthrough of literature pedagogy in the view that the literature work is not the fixed text but the storage of the diverse imagination that can be born by the reader ; they are enriching the meaning of the literature work and bringing out new explanation from it. Consequently the theory of Response of the Readers for the literature works would play the key role in the pedagogy that let the literature work bear new meaning and explanation to us. In Chapter Ⅰcovers the general theory regarding images function, Categories of images, and the possible method of poet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s and poetic imagination, the aim or the direction of the poetic education. Chapter Ⅱ introduce the method of poetic education focused on Archetypal imagination is the reflection of the universal mental sources , and that's why it has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The image of the astral and supernal is analyzed As the first type of Archetypal images. The poet " Yoon, Dong-Ju" who wrote the poet as the subject of the resist to the imperialism of Japan, and pursued the pure state of the soul. The lyrical symbolism and the astral and the supernal images could be the basis of the archetypal symbolism. The second is about the archetypal image of the flowers which symbolize the aesthetics and vitality. The flower is being of the weak and short life-span, but it express the strength and the vitality in paradox. The Third is about the images of 'water' and 'fire' . Generally, the water symbolize the origin of the life, and the recovery and return to the origins. And the chapter Ⅲ is about the Sensible images, and the guidelines of the method to educate. Poets express their own character and imagination through the sensible images, and the reader could expand the width of the imagination and the sensible ability and literal qualification. The first introduction is about Chung, Ji-Youg who is a representative poet in the age of 1930th and recognitions for language of extension of metaphor followed by the use of simile method and suggestion of sensible image , etc. are being highly appraised. His master piece, <Nostalgia>is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which intrigues the sentiments and imagination of students with the particular motivation, theme, art of it . the explanation of diverse images. the consecutive poems < Sea > which shows his own particular way of using the poetic words is very worthy of further study and valuable assets for literature pedagogy. The Second one is as of the Han, Yong-Woon who was the priest of the Buddhism. His works such as < imperceptible >, <psalm> express the creed of his religion and the venite for the God, the absolute through the varied transformation of the images. The representative of the Imagism of the 1930's , Kim, Kwang-Kyun has so many masterpieces related to Imagism. He pursued the modern sense, and sensible images such as < Sung-hop-buken >, and < Seol-ya : which means " snowy night "> He has the talented poet to express the ideas and the special images through the sensible images. The chapter Ⅳ is regarding of the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approach of the Images. This study would be the meaningful approach to suggest the method of the poetic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literary sensibility and enlarge the imaginatio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ical and practical way to apply to the works based on the images-Archetypal and sensible ima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연구 목적 = 1 B.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 6 1. 이미지의 이론적 검토 = 6 2.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시교육의 방향성 및 방법론 = 14 Ⅱ. 원형적(原型的) 이미지 중심의 시교육 방안 = 24 A. 윤동주 시에 나타난 별의 원형적 이미지 = 26 1. 별의 원형적 이미지 = 26 2. 교수-학습의 방향점 및 설계 = 36 B. 박두진 시에 나타난 꽃의 원형적 이미지 = 41 1. 꽃의 원형적 이미지 = 41 2. 교수-학습의 방향과 설계 = 47 C. 강은교 시에 나타난 물과 불의 원형적(原型的) 이미지 = 51 1. 물과 불의 원형적 이미지 = 51 2. 교수-학습의 방향과 설계 = 57 Ⅲ. 감각적 이미지 중심의 시교육 방안 = 61 A. <정지용> 시에 나타난 이미지의 분석 = 62 1. <鄕愁>의 이미지 분석 및 교수 설계 = 63 2. <바다>연작시의 이미지 분석 및 교수 설계 = 71 B. 한용운 시에 나타난 감각적 이미지 = 82 1. <알 수 없어요>, <찬송> 이미지 분석 = 82 2. 한용운 시의 이미지 교육을 위한 교수 설계 = 88 C. 김광균 시에 나타난 감각적 이미지 = 90 1. <성호부근>, <설야> 이미지 분석 = 91 2. 김광균 시의 이미지 교육을 위한 교수 설계 = 97 Ⅳ. 이미지를 통한 시교육의 가능성 및 기대효과 = 100 Ⅴ. 결론 = 104 참고문헌 = 108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4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