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현주-
dc.creator장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87-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삶의 터전인 자연은 생성, 소멸의 순환 속에서 무한한 생명의 신비와 조화로움을 이루고 있다. 자연은 인간이 사물을 묘사하기 시작한 이래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자체가 지닌 조화로운 질서와 다양한 변화로 인간에게 항상 새로운 예술적 표현의 소재가 되어왔다. 인간이 존재하는 자연의 심층에는 스스로 형상을 생성하고 소멸하는 변화의 힘이 있어 오늘날 많은 예술작품들이 자연 본래가 지니고 있는 형태와 그 속에 감추어진 질서를 무한한 자연의 형상으로 포착하여 자연의 대상 속에 내재된 생명력을 찾아 표현하고 있다. 자연은 인간 삶의 터전이며 인간이 속한 모든 환경이다. 인간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자연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경외의 대상이 되었으며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인간은 이러한 자연을 늘 가까이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일상에서 그것을 느끼고자 한다. 지구의 생성에서부터 시작된 지층이란 소재는 본 연구자로 하여금 신비로움과 경이로움을 느끼게 하였다. 지층은 오랜 지질 시대를 거쳐오는 동안 많은 지각변동을 받아 애초의 상태나 모양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물은 자연의 거대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자연의 숨결이 느껴지는 지층이란 소재는 독특한 형태와 질감 그리고 자연의 에너지를 느끼게 하였고 이는 본 연구자로 하여금 내적인 심성을 통해 조형작품으로 표현하는데 동기를 주었다. 본 연구는 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 요소들의 조형성을 발견하고 그러한 조형요소들을 변형, 과정, 대비, 결합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의 주관적 감성을 통해 도자 조형물로 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자연과 일상을 통해 자연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우리에게 주는 감흥, 일상으로의 자연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을 통해 자연과 조형예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지층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지층의 개념과 지층의 특성을 결정짓는 지층의 생성과 구조, 지층의 질감, 색을 살펴보았다. 지층의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사례를 살펴봄으로 이를 조형연구에 참고하였다. 조형과정에서는 지층의 지각변동에 따른 다양한 지층의 종류를 조형화하고 따른 질감과 색의 표현으로 지층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지층의 자연스러운 질감의 표현과 동일한 군집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가압성형을 사용하였으며 형태에 따라 코일링 기법과 판성형기법을 병행하였다. 태토는 큰 조형물 제작시 형태의 변형이 적은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지층의 거친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석기질 점토에 샤모트를 넣어 사용하였다. 1차소성된 작품에 산화철(Fe_(2)O_(3)), 산화크롬(Cr_(2)O_(3)), 탄산동(CuCo_(3)), 산화코발트(CoO)의 산화물을 직접 바른 후 닦아내어 지층의 질감표현이 강조되도록 하였다. 유약은 지층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색을 실험하여 사용하였다. 시유방법은 붓으로 먼저 바른 후 분무시유 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900℃ 로 8시간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0시간 산화염 소성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지층이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물을 제작함으로써 지층의 자연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을 가진 소재라는 것을 알았으며 지층의 가지는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의 주관과 결합하여 다양한 작품을 표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어떠한 대상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자신만의 내적인 감성세계를 조화롭게 재구성하여 앞으로 보다 창의적인 조형예술을 창조해 나가고자 한다. ; Nature, where human beings stay, produces the mystery and harmony of life in an infinite cycle of generation and extermination of life. Ever since the time when humans described nature, it has been a subject of artistic expressions by men with its harmonious order and various transformations. The recognition of the beauty of nature is presented in varied forms of expressions and formative activities depending upon the inner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every individual's metal images. The author has been awe-stricken and fascinated by geological strata having emerged from the time of the generation of the globe, and, thus, produced formative works after incorporating the external beauty of the strata into the inner images of her.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elements of geological strata and then to formalize such elements using subjective sensitivities of the author through the procedures of transformation, process, contrast, and comb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formative arts was studied first, and the concepts of geological strata were investigated after general considerations of the strata. Then, the generation of geological strata and the stuff colors of structural strata were examined, for they decide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strata. Works representing the images of geological strata were of a good help for the study of formative modeling. To represent the greatness and mystery of geological strata, the images of geological strata were manifested using various stuffs and colors depending upon the kinds of geological strata caused by diastrophism. To express the natural qualities and grouping types of geological strata, the pressurized formation method was mainly employed and sometimes the coiling method and the plate formation method were also used. Ground-mass clay was used as the base earth because little deformation is attested when a big model is manufactured, and chamotte was also pushed into the clay in order to express the coarse quality of geological strata. Such oxides as Fe2O3, Cr2O3, CuCo3, and CoO were directly applied to the first plasticized works and then, washed away in order to clearly represent the qualities of geological strata. Many glazes were tentatively used to express a variety of colors found in geological strata. Glazes were applied first through brushing and then through spraying. The first plasticization was conducted in a ceramic-flame gas kiln of 1.5㎥ at the closing temperature of 900℃ for eight hours, and the second plasticization in a oxidation-flame kiln at the temperature of 1,250℃ for 10 hours. It is revealed in such a process that ceramic models are really creative works to be used to represent the images of geological strata, an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strata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author could lead to a variety of artistic works. It is also known that more creative formative works can be produced when an artist harmoniously reconstructs his/her own inner world of sensitivity through applying his/her careful observing powers to a natural ob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자연과 예술 = 4 A. 자연과 조형예술 = 4 B. 자연과 일상 = 6 Ⅲ. 지층에 대한 일반적 고찰 = 9 A. 지층의 개념 = 9 B. 지층의 생성과 구조 = 10 C. 지층의 색과 질감 = 14 Ⅳ. 지층의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 = 17 Ⅴ. 작품제작 및 해석 = 25 A. 조형과정 = 25 B. 작품제작과정 = 39 C. 작품해석 = 47 Ⅵ. 결론 = 68 참고문헌 = 70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47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층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