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에서 나타난 아동의 문학 능력 분석

Title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에서 나타난 아동의 문학 능력 분석
Authors
임주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학년 아동들에게 현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국어과의 반응중심 문학 수업모형을 참고로 2학년의 발달단계에 맞게 토의를 중심으로 구체화ㆍ명료화 시킨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을 적용해 본 후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이 아동들의 문학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면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국어과 학습에서 초등학교 2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문학 능력을 분석해보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문학 수용력은 어떠한가? 2.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문학 평가력은 어떠한가? 3.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문학 창작력은 어떠한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해서 서울 서대문구에 소재한 C초등학교 2학년 1개 학급을 사례 연구 집단으로 설정하고, 문학 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2003년 9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8주동안 총 21차시의 반응중심 문학 토의 학습활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 검사와 마찬가지로 문학 능력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검사 결과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은 아동 문학 수용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반응 중심 문학 토의 학습활동을 통해 아동들의 문학 작품을 지적인 수준에서 수용하는 능력이 발전하여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줄거리 이해 및 주인공 및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파악하는 능력과 정서적으로 몰입하여 감상하는 문학 수용력이 신장된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또한 토의학습 과정에서의 변화모습에서도 토의 학습활동 초기에는 단순히 하나의 정보를 입수하다가, 토의 학습 후기에는 좀더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감상하는 모습이 보여짐으로써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의 문학 수용력이 폭넓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은 아동 문학 평가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동들이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중에 문학작품에 대한 아동 자신들의 의견을 오해의 소지 없이 잘 표현하는 과정에서 토론학습을 통한 반응공유나 서로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져서 문학요소를 분석하고, 주제를 파악하거나 이야기를 적절히 재해석하고, 알맞은 이유나 근거를 찾는 해석능력과 문학작품을 평가한 다른 독자의 평가를 재평가하고 문학 요소에 대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비평능력이 종합적으로 향상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토의 학습을 하면서 아동들은 글의 내용이나 다른 이들의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옳다, 그르다, 좋다, 나쁘다를 나누는 기준이 되는 자신들의 가치관을 점차적으로 정립해 나갔고, 그럼으로써 토의 과정 전반에 걸쳐 아동들에게 현실을 배경으로 스스로 정확히 평가하고 판단하면서 비판적인 평가능력과 평가내용을 조리있게 표현하는 능력이 동시에 늘어난 것으로도 해석된다. 셋째,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은 아동 문학 창작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위와같은 결과는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이 아동들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문학 창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이유로는 반응중심 문학 토의 학습활동이 아동들을 작품의 세계로 더 잘 몰입되도록 유도하였고, 특히 연구대상자가 문학 작품속의 상황과 자신의 생활을 관련시키는 것을 즐겨하며 반응활동이 활발한 저학년인 2학년 아동들이었다는 것이 긍정적인 상승작용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을 통해 아동들이 토의 과정에서 자신들의 사고 전략을 서로 점검하고, 점검한 후에 미처 생각지 못했거나 틀린 문제를 검토하여 함께 해결해 보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졌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의사소통을 통해 많은 문학적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비교해 보고 반성해 보게 됨으로써 아동들의 문학 창작능력에도 창의적이고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 전후로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p< .05) 구체적인 분석 내용을 통해서도 반응중심 문학 토의 학습 활동을 통해 아동의 문학능력인 수용력과 평가력, 창작력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들이 보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초등학교 국어과의 문학교육시 학습자의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중심 문학 토의 학습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문학 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 활동의 효과에 대한 좀더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 대상을 발달 단계별, 연령층별로 다양하게 확대하여 적용해 보는 방안을 모색하고, 융통성 있게 혼합 재구성하여 변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효율적인 활용 방법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to a 2nd grade literatur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effects of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in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abilities, such as, literature acceptance, evaluation, and creativity abilities. For this purpose, one group case study was implemented for 8 weeks and pre- and post- paired tests were compared using SPSS/WIN 10.0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The research question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had changed in children's literature acceptance abilities in the literature class when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were applied? 2. How had changed in children's literature evaluation abilities in the literature class when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were applied? 3. How had changed in children's literature creativity abilities in the literature class when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much changes in children's literature acceptance, evaluation and creativity abilities with the use of the response-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in the literature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it had showed much improvements accepte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tha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children's literature acceptance abilities, literature evaluation abilities and literature creativity abilities.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apply the response -centered discussion strategies in the literature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further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ineffective part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