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1 Download: 0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의 지각된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관계 연구

Title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의 지각된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관계 연구
Authors
한미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대표적인 정신건강문제이다. 알코올중독은 만성적, 주기적으로 재발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중독자들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없어 희망을 잃어버리게 된다. 특히 새로운 변화의 삶을 찾으려는 동기를 가지고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에게 희망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희망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게 해주며 절망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이런 희망을 부여하여 줄 수 있는 자원 중에 가족의 지지는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5곳과 지방 6개 지역의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3년 9월 22일부터 2003년 10월 25일 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지지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obb(1976)이 개발하고, 강현숙(198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희망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iller(1988)가 제작하고, 어은영(199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가족지지, 희망 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희망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실시하였으며,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상관성 검증을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정도는 최저점수 11점, 최고 55점이며, 평균은 38.22점(평점 3.47)으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중간 이상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수(F=6.84, p=0.00), 직업(F=3.97, p=0.00), 가족의 월 소득(F=3.48, p=0.01), 결혼상태(F=8.48, p=0.00), 단주자조모임 참여기간(F=4.3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희망정도는 최저 19점 최고 75점이며, 평균 51.55(평점 3.43)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삶에 대해 중간 이상의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수(F=2.56, p=0.04), 가족의 월 소득(F=2.64,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관계(r=0.58, p=0.00)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지지와 희망이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가족지지가 높은 알코올중독자에게 높은 희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희망을 고취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족지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단주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와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hope by Alcoholics Anonymous (A. 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145 members in five A. A meetings in Seoul and six A. A meetings in other area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2 to October 25, 2003. The tool developed by Cobb(1976) and modified by Kang(1986) was used for assessing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tool made by Miller(1988) and modified by Ur(1997) was used for evaluating the level of hope.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 of the family support was 38.22, the minimum was 11 and maximum was 5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of a family(F=6.84, p=0.00), the type of job(F=3.97, p=0.00), family income(F=3.48, p=0.01), marital status(F=8.48, p=0.00), period of participating A. A meetings(F=4.34, p=0.01). 2. The mean value of hope was 51.55, the minimum was 19 and the maximum was 7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hope in the size of family(F=2.56, p=0.04) and family income(F=2.64, p=0.03).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level of hope(r=0.58, p=0.00). From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t relation were shown between the family support and the hope in A. A members. It is necessary to take advantage of the nursing intervention and family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hope in A. A memb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