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형원-
dc.creator박형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3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46-
dc.description.abstract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정폭력의 문제에서 부부폭력을 목격하거나 부모로부터 학대받음으로써 직·간접적으로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문제에 대한 관심은 저조한 편이었다. 그러나, 가정폭력 노출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행동, 정서, 신체, 인지의 문제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 중 공격행동의 문제는 아동의 청소년기와 성인기에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고, 가정에서의 폭력적인 상호작용이 아동의 공격행동의 학습과 강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폭력의 세대간 전승(intergenerational transformation of violence)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는 문헌연구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실무자들의 참여에 기초한 참여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실험설계방법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특성, 공격행동과 그에 대한 개입방법을 조사하였고, 그에 기초하여 연구자가 10회기의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지역사회 공부방 교사들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였고, 7회의 회합을 통해 대상 아동에 대한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을 고려하면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포커스 그룹 토의 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나타난 대상 아동, 부모, 공부방 교사의 특성은 40개의 하위범주로 범주화하였다. 특히 아동들의 특성으로 제시된 부정적인 자기인식, 정서·행동·사고의 문제, 대인관계에서의 공격적인 특성, 폭력에 대한 긍정적 태도, 가족이나 부모관계에서의 폭력 경험 등을 토대로 아동들의 부정적 정서와 폭력에 대한 왜곡된 인식, 공격행동의 대안,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변화와 대처 등을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공부방의 아동 중 가정폭력 노출의 경험이 있고, 공격행동의 문제를 가진 아동 18명을 선별하여 동질성을 갖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개입 전에 공격행동, 분노,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 자아존중감 등에서 12개 항목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개입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집단간 비교를 시행하였다. 효과성 검증결과 아동 본인, 부모, 교사의 평가에서 공격행동에 대해 유의미한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가 있었던 것은 아동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즉 분노,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분노에 있어서는 타인에 대한 적대적 태도, 분노의 강도 및 지속기간, 언어적 공격과 신체적 대결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아동들이 타인에 대한 자신의 적대적 태도를 인지하여 감소시키고, 분노의 강도와 지속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공격행동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가정폭력 노출로 인한 정신적 외상과 분노의 정서를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어 줌으로써 아동들이 분노의 정서를 인지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있어서는 대처효율성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부모의 갈등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행동을 알지 못하는 아동일수록 공격행동이 증가하는데,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의 갈등·폭력과 자기보호의 문제를 분리시키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대처행동을 강조하고 찾아보는 활동이 아동들의 대처효율성 향상과 공격행동 감소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동이 직접 경험한 아동학대에 있어서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아동들이 대처효율성, 자기비난, 지각된 위협에서 약간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자아적절성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데, 자아적절성의 유의미한 변화에는 집단경험을 통해 또래와 지도자로부터 수용된 경험, 자신의 행동·품행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등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자아적절성의 향상이 공격행동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함께 지식의 습득과 생산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대상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실무자의 교육과 의식개발, 행동의 동기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는 점이다.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문제에 있어서 문제의 심각성과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개입 방법과 개입 전문가의 부재가 문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참여연구를 통해 현장 실무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역량을 강화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행동에 대한 분노조절 개입과 가정폭력 관련 요인을 결합한 것으로서 아동의 외현화된 행동문제의 이면에 내포된 가정폭력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의 변화를 통해 아동의 공격행동의 변화를 도모한 특징이 있다. 이는 가정폭력이라는 환경적 위험요인속에서 아동들이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변화시킴으로써 보호요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외에 연구의 한계와 가정폭력 노출 아동에 대한 연구 및 실천에 있어서의 제언을 첨부하였다.;Compared to the fact that family violence issues have been focused on in our society as a serious problem recently, there has been not enough studies on children who have witnessed marital violence or been abused by their parents; being exposed to family violence directly and indirectly. But, it is clear that the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have problems in their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Among these problems, aggressive behaviors tend to stay stable through an adolescent period and adulthood. Also, violent interaction within the family can influence child's aggressive behavior learning pattern and enforcement and further more it can cause intergenerational transformation of violence. Therefore aggressive behavior problem is a very important issue that should be dealt with thoroughly. By bringing up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develops and executes aggressive behavior reducing program of the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To accomplish the studys objectives, in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he program,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 has been applied based on document researches and social welfare field practitioner's participation. Also, experimental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execute the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o develop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aggressive behavior and its intervention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model and stress coping model, the researcher has designed the program through ten draft sessions. Afterwards the researcher formed a focus group consisting community gongbubang teachers. Through seven sessions of focus group meeting, the researcher reviewed an adequacy and applicability of the targeted children, adjusting and revising the result.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with the focus group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ed children, parents and gongbubang teachers found by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were again categorized into 40 sub categories. Based on the children's qualities; such as negative self perceptions, emotional / behavioral / thinking problems, aggressive characteristics in personal relations, positive attitude on violence and experience of family or marital violence; negative emotion, distorted recognition of violence, substitute of aggressive behavior and recognition change and coping of family violence were used as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8 children were selected and formed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homogeneous qualities. The 18 children had be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had aggressive behavioral problems. Pretest consisting 12 categories were performed before the children were intervened in the program. The 12 categories were aggressive behavior, anger, cognitive appraisal in family violence, self esteem and so on.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program, pre-post comparis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on aggressive behavior by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evaluation. This significant effect can be considered in the point of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aggressive behavior, such as anger, cognitive appraisal and self esteem relationship. In Anger category, hostile attitude towards others, intensity and duration of anger,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confronta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rough this resul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a way that children reduced their hostile attitude once they recognized their violent behavior and by reducing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anger, aggressive behavior was reduced as a result. Particularly, by directly dealing with trauma that had been caused by being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angry emo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rough this program, children could recognize their angry emotion, attempting to elevate emotion-controlling capability at the same time. Also, in cognitive appraisal on family violenc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coping efficacy. Children who were not aware of effective coping on marital conflicts tend to increase their aggressive behavior. But through this program, children could learn to separate marital conflict and violence from their self-protection problems. The practice that emphasizes the effective coping within children's capability when they were facing the problem situation and exercising in searching for the coping helped children to elevate coping efficacy and reduce aggressive behaviors. In directly experienced child abuse category,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in coping efficacy, self blame and perceived threa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enough to be stated statistically. In self-esteem categor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self-adequac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y experiencing acceptance by peer and a leader through group activities have influenced change in self-behavioral conduct. Also the possibility of the fact that improvement of self-adequacy has influenced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could be considered. As a result, two significant factors could be drawn out by the family violence exposed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reducing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First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ith the targets helped participants all together to gain knowledge and take part in the production procedure. The researcher could observe children's qualities closer developing more suitable program and also educating and exploiting researcher's self awareness and providing motivation of the deed at the same time. In current situation of serious lack of awareness of family violence exposed children's problems, lack of intervention programs, methods and professional experts,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 helped to draw field practitioner's attention and enhanced their empowerment. This program has significant meaning by being developed in such active process. Second i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anger management intervention of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and family violence related factors, effecting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changes through reducing negative emotion caused by family violence and cognitive appraisal on family violence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children'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Th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by changing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on family violence in environmental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could be develope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a document of suggestions on the studies and practices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is attac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 5 C. 연구의 의의 = 6 D.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0 A. 가정폭력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10 B.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특성 = 14 1. 내재화 문제 = 14 2. 외현화 문제 = 15 3. 사회성 문제 = 16 4. 사회적 인지의 문제 = 17 C.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 19 1. 공격행동과 분노 = 19 2. 아동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 D. 아동의 공격행동 및 가정폭력 관련 기존 프로그램 고찰 = 28 1. 아동의 공격행동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28 2. 가정폭력 노출 아동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 31 Ⅲ.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기초 = 36 A.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 36 1. 인지행동치료모델 = 36 2. 스트레스대처모델 = 38 B. 프로그램 개발 방법의 이론적 기초 = 41 1. 참여연구 = 41 2. 포커스그룹 = 45 Ⅳ. 연구방법 및 과정 = 47 A. 연구과정 = 47 B. 프로그램 개발과정 = 48 1. 프로그램 개발 참여자 선정 : 포커스 그룹의 구성 = 48 2. 포커스 그룹의 운영 = 50 C.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 : 포커스 그룹 분석 = 52 1. 프로그램 관련 제안 = 52 2. 대상 아동의 특성 = 62 3. 아동 부모의 특성 = 69 4. 교사의 특성 = 71 D. 프로그램 개발 결과 = 73 1. 프로그램의 고유성 = 73 2.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 75 3. 프로그램 내용 = 75 E. 프로그램 실행 : 실험연구 = 77 1. 실험연구모형 = 77 2. 실험연구질문 = 78 3. 실험연구설계 = 79 4. 실험연구과정 = 79 5. 실험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80 6.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 85 7. 분석방법 = 91 Ⅴ. 프로그램 실행결과 및 분석 = 93 A.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동질성 분석 = 93 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비교 = 93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연구질문에 대한 동질성 비교 = 96 B. 실험집단 성원의 문제현황 = 97 1. 아동 자기보고에 의한 실험집단 성원의 행동문제 검사결과 = 98 2. 부모보고에 의한 실험집단 성원의 행동문제 검사결과 = 99 3. 교사보고에 의한 실험집단 성원의 행동문제 검사결과 = 100 C. 연구질문에 대한 분석결과 = 102 1. 공격행동에 대한 분석결과 = 102 2. 분노에 대한 분석결과 = 105 3. 가정폭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의 분석결과 = 108 4. 자아존중감에 대한 분석결과 = 114 D. 집단과정과 사후평가분석 = 118 1. 집단과정에 대한 평가 = 118 2. 프로그램 종료후 사후 평가 = 120 Ⅵ. 결론 = 121 A. 연구결과 요약 = 122 1.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 = 122 2.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125 B. 연구의 함의 = 130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34 참고문헌 = 137 부록 = 151 <부록 1> 포커스 그룹 토의 내용분석 = 151 <부록 2-1> 포커스 그룹 토의 내용분석- 대상 아동의 특성 = 160 <부록 2-2> 포커스 그룹 토의 내용분석- 아동 부모의 특성 = 165 <부록 2-3> 포커스 그룹 토의 내용분석- 교사의 특성 = 166 <부록 3> 지도자용 매뉴얼 = 167 <부록 4-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부부폭력 목격 현황 = 204 <부록 4-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아동학대 경험 현황 = 205 <부록 5-1> 아동용 설문지 = 206 <부록 5-2> 부모용 설문지 = 215 <부록 5-3> 교사용 설문지 = 217 ABSTRACT = 2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8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ix, 22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