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8 Download: 0

대한민국 초기 이승만의 권력기반 강화과정 연구

Title
대한민국 초기 이승만의 권력기반 강화과정 연구
Authors
김수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to study the process of Rhee, Syngman's long-standing seizure of political power which is presumed to be made possible by hardening the power base through the right-wing public groups, the ruling party, and the cabinet from 1948 until 1953. Rhee, Syngman assumed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upon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ment but his political base was flimsy. In the National Assembly were some force in favor of South-North negotiation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5·10 Election, some middle-of-the-roaders, and another force who took part in the foundation of an independent government but had different standpoints about the other issues like the unification or foreign influences from Rhee, Syngman's. Besides, the Korean Democratic Party (hereafter, KDP), which had developed the campaig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government hand in hand with Rhee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lso came to be at feud with him since was excluded from the distribution of power. Upon the opening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the Young Members' Faction's and the KDP's critical movements were in the way of Rhee's execution of policies. Thus, Rhee came to be in need of a party which would give him full support. On the way to creating his own party, Rhee proposed a political doctrine, One- People Principle in October, 1948 in order to justify the change of his original position for the uselessness of a party or the prematurity of a party-making. That is, the One-People Principle, composed of synthesis and anticommunism in the main, was a makeshift for rationalizing Rhee's organization of the Korean Nationalist Party (hereafter, KNP). As an intial step of the One-People Principle, the synthesis was emphasized. This move was out of the intention to make KNP the 'pan-national party,' not a mere political party, and to stress the linkage with the national movement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logic of 'unconditional solidarity.' However, the KNP was formed, failing to become the 'pan-national party,' its founding objective, due to the disparate interests of various political forces in its formation. Meanwhile, the outbreak of YoSun Rebellion made Rhee realize the necessity of intensifying the national ideology centering around the public group with the networks across the nation. It led Rhee to turn his eyes away from the party-oriented political activities, which came to change the substance of the One-People Principle. From then on, the Principle became the ideology with an emphasis on anticommunism rather than synthesis. It was underscored as a guiding fundamental for the national movements of public organizations. It was the rightist public groups forme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at played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Rhee, Syngman power base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Rhee was intent on exploiting such rightest groups as National Society for Accele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the predecessor of National Society), Korean Youth Corps, Korean Federation of Labor, and Korean Federation of Farmers in his campaign for founding an independent government.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Rhee tried to confront the Young Members' Faction and the KDP in the National Assembly by setting up a ruling-party-like KNP while grounding in the public groups, the National society is particular. However, this effort of his did not fare smoothly. The process of creating the KNP and the YoSun affair urged Rhee to accentuate a national movement through the public organizations. Moreover, Rhee spread the campaign for integrating proliferous public groups while separating these groups from the political parties. It started with unifying the diverse youth corps, founded since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o Korean Youth Corps. A similar process of unification was the case with the social, women, labor, and farmers groups. Rhee solidified his status as a permanent president of these groups and utilized the groups as one of his power bases. Rhee transformed the public organizations into the half-governmental one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national campaigns. At the same time, he subsidized the groups in part. In 1951, Rhee formed the Liberal Party (hereafter, LP) with a view to being reelected and into it incorporated the public groups as the skeleton groups. Therefore, the public groups, in fact, came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politics rather than standing aloof from it. As a power base for Rhee, the public groups had a great strength in that they could mobilize an immense multitude through the national networks. As his relations with the opposition party got tense, Rhee tried to gain control over he opposing forces by spreading the public groups' large-scale demonstrations against the opposition, under the name of the so-called 'popular will.' The mobilization of the nation by way of the public organizations was the briskest whe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regarding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was presented by a pivotal party, i.e., the Democratic Nationalist Party (henceforth, DNP), in 1949, when the amendment about the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handed in by the administration was reje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1951, and when the truce talks were developed. Whenever the amendments were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public groups actively supported Rhee's political line by demonstrating desperately against the system of a parliamentary government and developed the campaign for summoning the lawmakers in order to pass the amendment for the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These national movements by the public groups were developed, being intimately related with the LP since 1951. When it got associated with the war situation, the public groups also promoted a movement as for anti-armistice, northward unification, and anti-truce-talks. This can be said to bring about a more forcible ideology of anticommunism. Rhee embarked on the formation of a ruling party so that he could recover from his weekend political base after the 5·10 Election. His own plan for the formation was to create an 'enormous ruling party,' or a 'national party' by uniting diverse political bodies. However, this incipient attempt of Rhee's miscarried. This failure was partly due to the difference among the interests of many political groups and the disrup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KNP - for example, Sin, Ikhi, Ji, Chongchon, and others organized the DNP in league with the KDP. On the other hand, it was mostly due to Rhee's duplicitous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party. That is to say, Rhee took a detached attitude toward the formation of the party even if it was out of his needs. Owing to this doubleness of his, Rhee did not have his own way in forming the initial administration party. Nevertheless, he was successful in making use of the KNP to reject the amendment for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presented by the DNP. Rhee's move of forming the ruling party proceeded in a more concrete and positive way as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tended to be far more favorable to the government. All this was derived from the slim possibilities of Rhee's reelection through the indirect elec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In August, 1951, upon issuing the statement about forming a new party, the organization of a ruling party came to take a concrete shape and then the LP turned up. Taking advantage of the LP, Rhee made the amendment for the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passed. After that, he gradually took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reinforcing his power base. Within the Cabinet, Rhee also fortified his power based on the public groups and the ruling party. In the meantime, he overcame crises exploiting his power to appoint and to dismiss the Cabinet members. One of Rhee's principles as for forming the Cabinet was to thoroughly prevent a biased existence of power. This policy came up when the coalition cabinet was formed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With regard to the political crises like the submission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s, the outbreak of a war, and the Political Crisis in 1952, Rhee struggled to pacify the complaining forces by forming the Cabinet composed of opposing forces. Right after the immediate crisis was resolved, Rhee organized the pro-Rhee Cabinet by replacing his backing forces. This series of courses can be said to have come to an end when Yi, Pomsok and the other figures of the Chosun National Youth were removed from the Cabinet in 1953. As stated above, Rhee intensified his power base from 1948 through 1953, making use of the public organizations, the ruling party, and the pro-Rhee Cabinet. Upon this foundation, he made the constitutional revision passed in 1954, known as the rounding-off-to-the-nearest-integer revision, and he could pave the way for his prolonged rule afterward.;이 연구는 대한민국 초기 이승만의 장기집권이 가능했던 것이 1948-1953년시기 우익대중단체, 여당, 내각을 통해 권력기반을 확실히 강화시켜 놓았기 때문으로 보고 그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승만은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으나 그 정치적 기반은 취약한 것이었다. 남한만의 단독정부수립에 반대하며 5·10선거에 참여하지 않았던 남북협상세력과 중간파 세력들은 항시 이승만에게 도전할 수 있는 세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단독정부 수립에 참여하였으나 통일과 외세 관련 등의 문제에 있어 이승만과는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는 정치세력들이 국회에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미군정기 이승만과 같이 단독정부수립운동을 전개시켰던 한국민주당도 권력배분과정에서 배제됨으로 인하여 이승만과 대립, 갈등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제헌국회가 개원되자 이들 세력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목표를 이루기 위해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정치세력 규합운동을 전개시켰다. 여러 정치세력들의 복잡한 이합, 집산 과정과 국회내에서 소장파와 한민당의 정부에 대한 비판적 움직임으로 인한 정책 수행의 어려움 등으로 이승만은 자신만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정당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은 기존에 자신이 주장하던 정당무용론, 정당시기상조론적 입장을 합리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1948년 10월 일민주의라는 정치 이념을 제창하였다. 일민주의는 이승만이 제헌국회내 여러 정치세력들을 견제하고, 국회내 자신의 정치지지기반의 역할을 담당할 대한국민당 결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나왔으며, 그 주 내용은 통합과 반공이었다. 일민주의 제창 초기에는 통합의 내용이 강조되었다. 이것은 대한국민당을 일 정파의 정당이 아닌 '범국민적 정당'으로 결성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으며, 대중단체의 국민운동과의 연계를 강조하며 '무조건적인 단결'의 논리를 강조한데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대한국민당은 그 결성과정에서 여러 정치세력들의 이해관계와 맞물리면서 '국민정당'의 형성 목적을 이루지 못한 체 결성되었다. 그리고 1948년 10월 19일 여순사건의 발발은 이승만으로 하여금 정당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운동보다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가지고 있는 대중단체들을 중심으로 하는 국민운동을 통한 국민사상강화운동의 필요성을 인식시켰으며 이것은 일민주의의 내용에도 변화를 주었다. 이후 일민주의는 통합보다는 반공을 강조하는 정치이념으로, 그리고 대중단체의 국민운동의 지도이념으로 더 강조되었다. 일민주의는 1948-1950년 초까지 일민주의보급회와 대중단체들을 통해 전국적으로 보급, 확대되었다. 일민주의보급회 지도부들은 전현직 관리와 대중단체의 지도부가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으므로 일민주의와 대중단체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직후 이승만의 권력기반 강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은 미군정기에 결성되었던 우익대중단체였다. 이승만은 대한독립촉성국민회(대한국민회의 전신), 대한청년단, 대한노동총연맹, 대한농민총연맹과 같은 우익대중단체들을 미군정기부터 단정수립운동에 적극 활용하였다. 이승만은 정부수립 직후 대중단체 특히 대한국민회를 기반으로 여당의 성격을 띠는 대한국민당을 결성하여 국회내 소장파세력과 한민당과 대결하고자 하였으나 그 과정은 순조롭지 못하였다. 이후 이승만은 대중단체들을 정당과 분리시키는 한편 난립해 있는 각각의 대중단체들을 통합하는 운동을 전개시켰다. 이것은 미군정기 이후 창립된 여러 청년단체들을 대한청년단으로 통합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통합운동은 사회, 여성, 노동, 농민단체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승만은 이들 단체의 영구적인 총재로서 위치를 강화시켜 나갔으며, 이들 단체들을 자신의 권력기반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대중단체들의 통합운동의 진행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반공사상 강화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승만은 이러한 국민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대중단체들을 반관반민의 성격을 띠는 단체로 전환시켰다. 그리고 동시에 대중단체들에 대해 일정정도 재정적 지원을 해 주었다. 1951년 이승만은 재선을 목적으로 자유당을 결성하면서 대중단체들을 자유당의 기간단체로 편입시켰다. 그러므로 대중단체는 실질적으로 더욱 정치와 밀접한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이승만의 권력기반으로 대중단체의 가장 큰 장점은 전국적 조직망을 이용한 광범위한 대중동원력이었다. 이승만은 야당과의 대립 관계가 첨예화되면 대중단체를 통해 대규모 반대 시위운동을 전개시켜 자신의 반대세력들을 제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 시위운동이나 국민운동은 '民意'라는 명목하에 이루어졌다. 대중단체를 통한 국민동원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1949년 민국당을 중심으로 내각책임제 개헌안이 제출되었던 때와 1951년 정부가 제출한 대통령직선제 개헌안이 국회에서 부결되었을 때, 그리고 휴전회담이 전개되던 때라 할 수 있다. 위의 개헌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을 때 마다 대중단체들은 내각책임제 결사반대를 주장하는 국민운동과 대통령직선제 개헌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국회의원소환운동 등을 전개시키는 등 이승만의 정치노선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러한 대중단체들 통한 대중동원이 1951년 이후로는 자유당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전개되었다. 그리고 전쟁이라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대중단체들은 휴전결사 반대, 북진통일 달성, 휴전회담 반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 국민운동도 동시에 전개시켰다. 이것은 반공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승만은 5·10선거후 자신의 취약한 정치기반을 극복하기 위해 여당 결성에 착수하였다. 이승만이 구상한 여당 결성은 여러 정치단체가 하나로 통합하여 '거대 여당', '국민정당'의 형태를 띠는 것이었다. 그러나 초기 이승만의 여당 결성 시도는 무산되었다. 실패 요인은 여러 정치단체들 간의 이해관계의 차이와 대한국민당을 결성하는 과정에서 신익희, 지청천 등이 한민당과 결합하여 민국당을 결성하는 등 정당 결성 과정에서 보여준 분열도 중요한 원인이었으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원인은 이승만의 여당 결성에 대한 이중적 태도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승만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 대한국민당을 결성하면서도 정당 결성에 초연한 듯한 자세를 취하였다. 이승만의 이중적인 태도로 인해 초기 여당 결성은 의도한 바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승만은 대한국민당을 이용하여 민국당이 제출한 내각책임제 개헌안을 부결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승만의 여당 결성 움직임은 제2대 국회의 야당 성향의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보다 구체적이며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 이것은 국회의 간선을 통한 이승만의 재선 가능성이 불확실한 데서 연유한 것이었다. 1951년 8월 신당조직에 대한 성명을 발표하면서 여당 결성은 구체화 되었으며, 이후 자유당이 결성되었다. 이승만은 자유당을 중심으로 대통령직선제 개헌안을 통과시켰으며 점차 국회를 장악하면서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승만은 내각을 통해서도 대중단체와 여당을 기반으로 권력을 강화시켜나갔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내각 구성원들에 대한 任免權을 활용하여 정치적 위기들을 해소해나갔다. 내각구성에 있어 이승만은 어느 한 세력에게 권한이 강화되는 것을 철저히 배제하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정부수립 직후 연립내각을 구성하면서부터 드러났다. 그리고 이승만은 개헌안 제출, 전쟁 발발, 1952년 정치파동 등의 정치적 위기가 발생하자 자신에게 반대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하는 내각을 구성하여 불만세력들을 무마시키는 등 그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위기가 해소되면 즉각적으로 자신을 지지하는 인물들로 교체하여 친이승만 내각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1953년 내각에서 이범석을 중심으로 하는 족청계 인물들이 제거되면서 일단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승만은 1948-1953년까지 대중단체, 여당, 내각을 친이승만 인물들로 구성하여 자신의 권력기반 강화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기반으로 1954년 사사오입개헌을 통과시켰으며 이후 장기집권의 틀을 마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