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선구-
dc.creator강선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85-
dc.description.abstract[미술의 역사에 있어서 세계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다. 작가가 자기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세계를 바라보고 사색의 과정을 거쳐 형태를 얻어낸 결과물은 또 다른 가치와 세계로의 전이를 촉진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예술활동의 저변에 필수적으로 개입될 수 밖에 없는 '인식'의 문제는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된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명시적 형태의 철학적 질문으로부터 파생되어진 서양철학사의 화두와 그 맥이 닿아있다. 그러나 '우리가 보는 것이 무엇이고 우리가 아는것이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통해 절대적이고도 불변하는 진리를 추구했던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적 인식론이 현대에 와서 그 추세를 달리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인식의 틀은 절대적 진리로서가 아닌 시대적 가치를 수용하며 끊임없이 생성, 변화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의 문제를 출발점으로 하여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익숙한 구체적 대상을 새롭게 변환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의 대상을 차용함에 있어 조작적 장치를 설정함으로써 그 대상에 대한 고정되어 있는 인식의 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은 외부세계를 바라보고 수용하는 방식의 여러 논의들 중 전통적 인식론의 전개와 변화를 기술하고 이 문제를 현시점에서 재조명하며, 획일화된 가치체계를 거부하는 방식으로 사용된 의미의 해체라는 측면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 팝아트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작품을 제시한다. 표현내용은 대상을 각각의 사물이 가지는 본래의 의미와 기능으로부터 생소한 것으로 변환시켜 대상에 대한 획일화된 인식체계에 대해 회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기능을 상실한 대상을 제시함으로써 대상을 명명하는데 있어 모호함을 부여하고 현실의 오브제를 낯선 상황으로 대입시키는 것은 작품 안에서 의미의 충돌을 경험하게 하며 더 이상 확정적 가치로의 인식을 불가능하 게 한다. 대상이 가진 기존의 상징의미를 해체시키는 방법으로는 대상의 기능이나 상징적 의미를 희석시키는 틀로서 기하학적이고 정형화된 육면체의 형태에 대상을 대입시켜 의미를 전환하 는 방법과, 사물을 캐스팅하고 다 른 요소들과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대상의 기능이 소멸된 상태로 캐스팅 한 사물들은 그것을 명명하는 언어적 가치로부터 분리되며 확정적 가치 를 불분명하게 한다. 사물을 이미지나 텍스트와 결합시켜 대상에 또 다른 의미를 중첩시키는 방법 역시 대상의 의미해체와 기존의 인식체계에 대한 회의를 심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을 인식함에 있어 확정적 진리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대상을 인식함에 있어 변화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인식체계로의 전이를 제시한다.;A variety of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 world in the history of fine arts. The product embodied through the processes that an artist looks into the world including himself or herself, goes through speculation on it and thinks out an idea, may accelerate a transition to another value and world. The problem of 'Cognition', which is inevitably involved in the base of such art activities, has same context with the topic in the Western history of philosophy, which is derived from an explicit form of the philosophical question, 'what's knowledge?' asked by Platon for the first time. Nowadays,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pursuing absolute and eternal truth through the proposition of ‘what we see and what we know' for a long time. Now, the frame of cognition is considered as a conception constantly generated and changed by accepting the current values in the times, rather than absolute truth. Probably, this study may correspond to a process intented to renew concrete objects familiar to the contemporaries on the basis of such the problem of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a question on the frame of cognition fixed for individual objects by setting a manipulative device in borrowing a real object.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are described among several arguments concerning how to view and accept the external world; such the argument is reinterpreted as of today; the aspect of deconstructing the meaning of an object is examined, which is used as a means to refuse the uniform system of values; and some works of pop art and postmodernism in which this tendency is distinct are presented. Expressions are intended to separate an object from its essential meaning and function, and have doubts about the existing uniform system of cognition for the object. By presenting an object with its function(s) lost, vagueness is given in naming it. In addition, by placing a real object in an unfamiliar situation, the collision of meaning inside the work is experienced and the cognition with further definite values becomes impossible. Methodologies to deconstruct the conventional symbolic meaning of an object include changing its meaning through applying a desired object to the geometrical and standardized form of a hexahedron as a frame designed to dilute its symbolic meaning or function(s), and combining objects cast with other components. The cast objects whose functions are already lost are isolated from the conventional linguistic values naming them, making their fixed values ambiguous. The methodology of combining an object with image or text and making the meaning duplicate also stimulates to deconstruct the meaning of an object and to have doubts about the conventional system of cogn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aise a question on fixed truth in recognizing an object and suggest a transition to the system of cognition to be constantly changed and newly generated in doing s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인식과 대상 = 4 B. 의미의 해체 = 8 B-1. 예술작품에서 나타난 의미의 해체 = 16 Ⅲ. 표현 내용 및 표현 방법 = 23 A. 표현 내용 = 23 B. 표현 방법 = 24 Ⅳ. 작품 분석 = 27 Ⅴ. 결론 = 48 참고문헌 = 50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11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상의 의미해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