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은정-
dc.creator주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8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구소련 출신 작가인 일리야 카바코프(Ilya Josifovich Kabakov, 1993-)의 설치를 제도비판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카바코프는 구소련 시절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매몰된 인간 현실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구체적인 인간의 삶과 접합할 수 있는 미술이 가치있는 예술이라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그는 이러한 예술관을 바탕으로 여러 형식적 탐구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카바코프는 삶처럼 실제 시공간 속에서 체험할 수 있는 설치가 자신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방법임을 자각하고 자신의 다양한 이전 작업들을 설치로 종합시켜 나갔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는 설치의 형식을 극대화시킨 ‘총체적 설치’라는 개념을 창안하여 미술을 삶에 보다 밀착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설치는 작가에게 있어 자신의 예술적 의도의 구현물이자 이제까지의 작업을 응축시킨 핵심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카바코프의 설치는 일상을 재현함으로써 우리의 삶이 어떤 맥락 속에 위치해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것은 스탈린주의에 의해 오도된 현실을 냉정한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 구소련의‘모스크바 개념주의’와 같은 동시대의 문화적 흐름을 공유한 결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그의 작품은 일상을 극복하고 새로운 역사를 창출해내고자 한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뿐만 아니라 모더니즘의 유토피아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다. 이점은 그가 러시아 미술사와 서구 미술사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처럼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신화들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재구성해 봄으로써 그 신화의 허구성을 폭로하고자 하는 카바코프의 작품을 본 논문은 제도 비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가 재현하고 있는 삶의 공간은 인간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제도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 제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지는데, 구소련의 정치체제, 일반 사회제도, 예술제도가 그것이다. 작가의 설치는 일차적으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가 구소련 사회를 장악한 데에서 빚어지는 소시민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재현한다. 또한 구소련에만 국한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관공서, 학교, 병원 등을 시각화함으로써 보편적 의미의 제도가 지닌 억압적 측면을 경험하게 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경험했던 구소련 사회, 더 나아가 일반적인 사회제도가 개인에게 행사하는 권력의 폭력성을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다. 카바코프의 설치는 또한 미술을 지탱하고 있는 예술제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시각화한다. 일루젼이 아닌 실제 현실과 접합하고자 한 그의 설치는 회화예술의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탈 경계적인 예술을 지향한다. 또한 작가가 갖는 권위에 대한 성찰을 통해 그의 작품은 지금까지 그것을 지탱해주고 있었던 단일하고 일관된 주체로서의 작가, 독창적인 작가에 대해 의심하게 한다. 이를 통해 그는 작품을 관람자와 다양한 해석을 향해 열어놓는다. 더불어 그의 작품은 오브제에 예술의 위상을 부여하는 미술관 전시가 갖는 권력에 대한 고찰로도 읽혀질 수 있다. 그의 설치는 일상의 오브제와 예술 사이의 경계가 임의적임을 드러냄으로써 미술 역시 사회적으로 구축된 제도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카바코프의 설치는 결국 우리의 세계가 어떠한 맥락에서 주조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삶의 공간을 재현하고 있는 그의 작품은 단순한 묘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가려져 있는 제도의 권력을 노출시키는 심도있는 현실인식을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쓰여진 본 논문은 주로 구소련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는 측면에 주목해왔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제도비판이라는 확장된 시각에서 그의 설치의 다양한 의미를 밝히려 한다는 점에서 그 차별점을 발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도가 카바코프라는 작가에 대한 다각화된 이해에 일조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dissertation is to explain Ilya Kabakov(1933-)'s installations from the viewpoint of institution criticism. In his Soviet times, Kabakov became interested in actual human matters buried by socialist ideology. It leads to the thought that the art connected with concrete lives is valuable. Based on such a view of art, he has tried various kinds of formal inquiries. Through that he gets to know install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his intention because it can be experienced in the actual time and space. Futhermore he makes the concept ‘Total Installation’ maximiz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to get close to the life. Accordingly his installations can be understood as his artistic intention's embodiment and the core of his works so far. By representing everyday lives, his installations inquire what contexts our lives are placed in. It results from sharing contemporary cultural tendencies that look into the reality misled by Stalinist such as 'Moscow Conceptualism'. In this respect his works are understood as a criticism about modernist utopian world view as well as Russian Avant-grade art and socialist Realism which would overcome everyday life and create new history. This tells that his arts are connected to the post-modernism through the reflective thoughts on the Russian and western history of art Like this his arts try to reveal the fiction of the myths constituting our world by reorganizing them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This dissertation interprets this Kabakov's installations in terms of institution criticism. The spaces his works represent can be said as institutional spaces controlling men. These institutions can be divided into Soviet political system, general social institution and art institution. Fundamentally his works represent the tragic stories of the little men caused by the fact Socialism grasped the whole Soviet society. Also by visualizing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school, hospital and so on, the works have viewers experience the repressive facets of the institution in the universal meaning. Through it He reveals the violence of Soviet society he experienced and the power general institutions exercise. Kabakov's installations also visualize critical thoughts about art institution. His works intend to be connected to reality, not illusion. So the works aim at trans-boundary art by indicating the limits of paintings. And through consideration for the position of the author, they express a doubt about the concept‘author' assuming a single and consistent subject and a creative subject. Through it, he opens his arts to the viewer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With it, his arts can be understood as a consideration on the institution of museum that has the power to give an object the position of art. His works reveal that art is a kind of result of socially constructed institution. Eventually, his installations show in what contexts our world is constructed. The works can be evaluated to show a profound recognition about reality, not ending in a simple description. This dissertation written in this point of view acquire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tries to explain various meanings of his installations, free from the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ing on its criticism about Soviet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미술사적 맥락에서 본 카바코프의 설치 = 6 1. 카바코프 작업의 종합으로서의 설치 = 7 2. 설치의 미술사적 의의 = 18 Ⅲ. 제도 비판의 다양한 내용들 = 26 1. 구소련 정치체제에 대한 언급 = 26 2. 일반 사회제도에 대한 언급 = 34 3. 예술제도에 대한 언급 = 39 A. 회화 예술 = 39 B. 작가성(authorship) = 45 C. 미술관 제도 = 51 Ⅳ. 결론 = 58 참고문헌 = 61 도판목록 = 67 도판 = 71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40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리야 카바코프(Ilya Kabakov)의 설치에 나타난 제도 비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