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희영-
dc.creator조희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8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중국ㆍ한국ㆍ일본의 동아시아 3국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형태의 작품으로 제작되었던 壽老人圖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기원과 형성 및 전개, 시대별 변천과 지역별 특징에 이르는 전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壽老人은 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보이는 별인 老人星의 화신으로, 초기에는 국가의 平安과 壽命을 관장한다는 의미에서 신앙되었다. 이후 後漢ㆍ南北朝時代를 지나는 과정에서 군주의 수명과 개인의 장수까지 관장하는 존재로 발전하게 되었고, 민간에서도 널리 숭배되었다. 이 과정에서 老人星과 南極老人星으로부터 壽星, 南極壽星, 南斗등의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다. 壽星은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최초 수성이라는 용어는 중국 천문학에서 分野說의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28宿 중 두 별자리인 角ㆍ亢宿을 의미한다. 후한말기에서 남북조시대 사이에 노인성을 수성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唐代에는 분야설의 의미와 노인성의 개념에 혼란이 발생했다. 그러나 北宋時代에 노인성제의 예법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수성의 두 가지 개념이 정리되어 분야설의 용어와 노인성의 별명은 이후 구분하여 사용되었다. 南斗는 원래 斗宿으로 北斗와 대응하여 南斗라는 별명이 생긴 것이다. 남북조시대 형성된 도교의 경전에서는 노인성이 남두를 다스리는 것으로 정의하여 원래 노인성의 역할이었던 개인의 수명과 장수를 관장하는 기능이 종교적으로 남두에게까지 확장되었다. 개인의 수명에 개입할 수 있는 존재로 남두를 표현하는 搜神記의 설화는 한국, 일본에도 전파되어 그 변형설화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수명과 관련하여 민간에서나 국가적 차원에서 숭배의 중심 대상은 노인성에 집중되었다. 明代 이후로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인성제는 폐지되었지만 수노인은 명대 이후로 민간에서 더욱 널리 신앙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노인의 長頭短身의 圖像은 17세기 일본의 하야시 라잔[林羅山:Hayasi Lazan:1585-1657]이『後素說』에서 남긴 북송 嘉ㆍ元祐年間에 나타난 키 작은 노인의 일화로부터 그 기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노인은 長頭ㆍ短信의 도상 이외에도 다양한 지물들을 지닌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시대별, 지역별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독특한 수노인의 모습을 구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노인도의 형식을 단독형식, 福ㆍ祿ㆍ壽의 三星으로 구성되는 三星圖 형식, 군집형식으로 나누었는데, 군집형식은 다시 수노인이 중심 모티프인지 혹은 보조적인 모티프인지 여부에 따라 군집형 1,2형식으로 분류했다. 중국기원의 수노인도에 있어서, 동아시아의 삼국은 수노인의 기본적인 도상과 형식을 공유했지만, 수노인도는 한국과 일본에 전래되어서는 각 국가별로 토착신앙과 결부되어서 변형된 형식을 전개하게 된다. 중국의 경우 수노인도의 제작은 문헌 기록에 의하면 唐代와 五代 수성상의 제작이 가장 이른 기록으로, 수노인도는 단독 형식부터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4세기에 군집형식의 등장이 확인되어, 이를 통해서 수노인의 독특한 장두단신의 도상은 적어도 원대에는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성도 형식은 15세기의 작품이 현재 확인해 볼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수노인도는 명ㆍ청대를 통해 궁정부터 민간에 걸쳐, 감상화로부터 실용화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 걸쳐 근대기까지 꾸준히 제작되었으며, 각종 공예품에도 그 도상이 사용되는 예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 최초 종교화의 영역에서 숭배의 대상으로 등장한 수노인의 도상은 일종의 길상 도안으로서 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한국의 수노인도는 17세기 이후, 즉 조선 중기부터 작품이 남아 있으며, 20세기 후반까지 꾸준히 제작되었다. 한국 수노인도는 중국의 수노인도와 기본적인 도상적 특징과 형식을 공유했는데, 특히 단독 형식이 널리 제작되었다. 한국은 10세기 경부터 노인성의 목격담이 남아있으며 조선 중기까지 노인성제가 시행되었다. 또 민간에는 노인성과 관련된 설화가 다수 남아있어 노인성이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에서 기원한 수노인의 도상은 위의 세 가지 형식 이외에도 한국의 토착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형식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19세기 중엽 제작된 일부 七星佛畵에서 수노인이 등장하는 경우를 들 수 있었다. 일본은 室町時代 후기인 15세기 말부터 수노인도가 남아있으며, 위의 세 가지 기본적인 형식을 중국ㆍ한국과 공유하며 20세기 초까지 꾸준히 수노인도를 제작했다. 일본에서는 17세기 무렵 七福神의 개념이 형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壽老人과 福祿壽가 별개의 신으로 간주되어 각각 사슴을 거느린 文人의 모습을 한 키가 큰 노인과 장두ㆍ단신의 노인의 도상으로 분리된 점은 일본 수노인 도상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 福祿壽가 하나의 신으로 간주되면서 복ㆍ록ㆍ수를 의미하는 삼성도가 제작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중ㆍ후기 이후의 일로 생각된다. 수노인은 다양한 민간 신들 중 삼국 모두 선호했던 존재로, 오랜 기간에 걸쳐 회화뿐만이 아닌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해 표현되었다. 수노인도는 종교화와 감상화라는 전통적인 회화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길상도안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와 기능을 확장해 나갔다. 또 한편으로 수노인도는 한국 일본으로 전파되어 토착 문화와 결합하여 나라별로 독특한 형식에 적용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동아시아 3국의 문화적 차이점을 반영해낸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following thesis is about Shoulaorentu(壽老人圖), a drawing of Shoulaoren(壽老人), a Chinese Taoist god considered the personification of the southern polar star(南極星) or Shouxing(壽星). The report will focus on the origin of Shoulaorentu,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passage of times according to each nation of China, Korea and Japan and finally decide on the significance of its role. Shoulaoren is known as an incarnation of old man's star, or Laorenxing(老人星), which usually shines from fall to winter. It was soon deified as a figure that stands for nation's well-being and longevity. By the time of Eastern Han Dynasty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Shoulaoren was perceived as powerful enough to control the life span and longevity of the country's ruler. Such led Shaolaoren to become an object of worship. It was around this time people started to address Laorenxing with different names such as Nanji Laorenxing(南極老人星), Shouxing(壽星) or Nanji Shouxing(南極壽星), Nan dou (南斗:South Dipper). Shouxing especially refers to the two constellations Jiao(角) and Kang(亢) within the Twenty-Eight Constellations, or Ershiba xiu(28宿). There was brief confusion as people started referring to Laorenxing as Shouxing. But the Northern Song records that the problem got solv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religious ritual for Laorenxing. This helped people to distinguish the terms of Chinese astrology system from the new nickname of Laorenxing. Nan dou's original name was Dou xiu(斗宿). The additional name Nan dou was given to match the name of the other star, Bei dou(北斗:North dipper). The Taoist scriptures at the time also gave clear definition to Laorenxing's role as a ruler of Nan dou, allowing the faith of controlling life span and longevity to be passed down to Nan dou as well. Such belief is reflected in the Chinese legend of Shou-shen chi(搜神記) which described has Nan dou intervening in other's life span. Such stories also inspired Korea and Japan to come up with their own later on. Still, when it came to long life, it was Laorenxing that most of the attention and the worship both in state and personal level. Although Laorenxing ritual is no longer practiced since the passing of Ming Dynasty the concept of Shoulaoren prevailed in people's lives. It is still being worshipped to this day. The origin of the icon of Shaolaoren with elongated head and short stature could be traced back the 17th century Japan in which Hayasi Lazan[林羅山:1585∼1657]'s left in the Northern Song. This holy figure could also be found in many other paper works, expressed in various forms and shapes according to different times and places. Such allowed Shaolaoren to possess many distinctive features and forms. The style of Shaolaoren is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 independent style (單獨 形式), a Sanxingtu style (三星圖 形式) of Fu(福), Lu(祿) and Shou(壽) and a collective style(群集 形式). The collective style is again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at role Shaolaoren plays in the picture, whether it is central or supplementary. Although the concept of the revered old man started from China, we'll continue to find out how the latter two countries came to develop their own version of Shaolaorentu with the passage of time. In China, the oldest record of the old man of Shouxing is found in Tang Dynasty.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which is believed to be the earliest production of the kind, was drawn out in an independent style. The collective style of Shaolaoren was first confirmed in the 14th century followed by Sanxingtu style in the 15th century. It is likely the standard image of this short old man with long cranium was established sometime around Song Dynasty to late-Yuan Dynasty. Shaolaoren although first started out as palace culture came to be appreciated by common people as it began to take a more various forms. To people, Shaolaoren was a religious figure to worship, a work of art, a figure of auspicious physiognomy and many other things practical. Such allowed the concept Shaolaoren to spread out far and wide all the way to the modern times. In Korea the earliest surviving works of Shalolaoren was found around mid-Joseon Dynasty, or after the 17th century. Korea continued the production of the art all the way till the late 20th century. The Korean depiction of Shouxing, which generally remained true to original form and shape concentrated mainly on producing independent style of artwork. Korean records of Laorenxing can be traced all the way back to 10th century and religious service for the venerable old man continued up till the mid-Joseon Dynasty. Korean version of Shaolauoren later shows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fter blending with native culture and religion. One of the many art works includes The Seven-Stars Buddhist Painting(七星佛畵) produced in the mid-19th century. Japan's earliest remains of Shaolauoren art could be found in Muroamchi Period of the late 15th century. Japan, which also shared the same basic characteristics of Shaolaoren art with China and Korea, continued the production of the related artworks till the early 20th century. Meanwhile a new concept known as Sichifukujin(七福神) was formed around the 17th century in which Shaolauoren got divided into two gods, Jurojin(壽老人) and Fukurokuju(福祿壽). Jurojin was the image of tall, literary man who commanded stags. It was Fukurokuju with short height and long head that remained true to the original image. It is presumed that the three constellations, or Sanxingtu style followed around mid or late 18th century. One of the noteworthy facts about the old man of Shouxing is that it was a belief received favorably by all three kingdoms of China, Korea and Japan. Its faith was expressed not just through paintings but also through other various means of art. Given its several roles as a religious figure to a symbol of good luck it is no wonder that it reached the lives of many and melded successfully into neighboring cultures of Korea and Japan. This not only allowed a wide range of development in Shaolauoren art but also helped historians to recognize the unique cultures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iii I. 머리말 = 1 II. 壽老人의 기원 = 6 1. 老人星 = 6 2. 壽星 = 8 3. 南斗 = 13 III. 壽老人의 圖像과 壽老人圖의 형식분류 = 20 1. 壽老人의 圖像 = 20 2. 壽老人圖의 형식분류 = 26 (1) 단독형식 = 27 (2) 三星圖 형식 = 27 (3) 군집형식 = 31 IV. 중국의 수노인도 = 35 1. 明代(1368-1644)의 壽老人圖 = 35 2. 淸代(1644-1911)의 壽老人圖 = 42 V. 한국의 수노인도 = 55 1. 高麗ㆍ朝鮮時代 壽老人圖의 제작배경 = 55 2. 朝鮮時代의 壽老人圖 = 67 VI. 일본의 수노인도 = 87 1. 室町時代(1338∼1573)의 壽老人圖 = 88 2. 江戶時代(1603∼1868)의 壽老人圖 = 89 VII. 맺음말 = 101 참고문헌 = 105 도판목록 = 115 도판 = 122 ABSTRACT = 1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3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동아시아 壽老人圖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