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지연-
dc.creator신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7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고려시대 매병의 변천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매병은 그 미학적 가치와 함께 발전적인 변천의 양상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고 이러한 점 때문에 고려시대 도자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도자기를 대표하는 기형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매병의 용도와 중국에서 전해진 매병이 한국화 하였음을 밝히고 이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성과를 얻기는 하였으나 당시의 자료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전체 매병의 편년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현재 매병의 새로운 편년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에 의한 수정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과 매병의 도자사적 가치에 비해 적극적인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음에 주목하여 새로운 자료들을 활용하여 기형과 문양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청자매병의 변천양상을 살피고 새로운 편년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고려청자매병의 명칭과 용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본래의 용도가 술병이었던 매병이 이러한 명칭을 얻게 된 시기와 이유에 관한 확실한 답은 밝혀진 바 없어 기존에 여러 가지 유물자료와 문헌자료를 근거로 하여 정리하고자 하며 매병 기형의 등장과 우리나라 매병의 성립에 영향을 준 중국매병의 발전양상도 살필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격적인 매병의 기형과 문양 분석을 통해 나름의 변천과정을 살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자기가 그렇지만 매병은 특히 정확한 편년을 알 수 있는 예가 적어 단계설정에 상당한 어려움과 혼란이 따른다. 이는 다른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커다란 흐름 속에서 감지되는 발전 양상으로 그 변천을 고찰할 것이다. 크게는 청자매병의 등장과 철화청자매병, 비색청자ㆍ상감청자매병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는데 철화청자매병의 경우는 성립기ㆍ발전기ㆍ쇠퇴기로 나누어 기형의 변화와 문양의 시문상태에 주목하였으며 문양의 종류가 크게 다르지 않고 변화의 모습이 크지 않아 일단 기형 변화를 살폈으며 문양에 관한 고찰을 따로 두었다. 비색청자매병과 상감청자매병의 발전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시기구분을 할 것이다. 물론 철화청자매병의 쇠퇴와 비색청자매병의 등장이 일직선으로 구획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이들은 도자기법의 발전에 의해 나타나게 되었다. 청자매병의 제작이 시작되면서 이어 철화기법이 사용된 청자 매병이 등장하였고 이후 철화청자매병이 점차 소멸하는 중에 비색청자가 활발한 발전을 시작하고 이어 상감기법이 사용되기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이 일직선상의 나열관계라기보다는 시기적으로는 병행하면서 발전하는 것이다. 다만 앞서 말했듯이 이들이 조금씩 다른 기법을 보이고 있고 그 선후관계가 어느 정도는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매병의 변천을 알기위해 별개로 다룬 것이라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고려청자 매병의 편년자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그나마 대부분 14세기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시기설정에 애매한 점이 없지 않다. 현재 전하는 매병을 살펴보자면 매병의 발전과 변화양상에 가장 민감하게 나타나는 것이 구연부와 측면선의 변화라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시기적 선후관계를 생각해보는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고 더불어 비색청자매병에서 상감청자매병으로 발전하면서 구연과 동상부의 변화 측면선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와 문양의 구성방법, 문양의 시문방법과 종류를 함께 고찰할 것이다. 고려청자매병의 변천과 가마터의 활동시기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고려청자를 대표하고 각 시기에 활발한 제작활동을 보인 가마터와 여러 생활유적을 통해 고려청자매병의 기존의 편년설정에 새로운 자료가 될 사항을 알아내고 그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언급한 내용처럼 철화청자매병과 비색청자ㆍ상감청자매병의 기형과 문양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청자매병의 변천에 관하여 살핀 것이다. 그 결과 기존의 고려청자매병의 편년이 조금씩 늦추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고려 말의 고려매병에 관한 부분에는 불확실한 부분들이 더욱 많이 남아 있으며 이는 고려시대 청자매병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과 그 의미, 그리고 미학적인 가치를 생각한 좀 더 발전적인 연구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14세기 이후의 매병과 분청자로 이행한 후 매병에 관한 연장선상에서의 고찰은 더욱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This thesis is to study of the change of Maebyung in Koryo period. The aesthetic value and the phase of developmental change of Maebyung were enough to attract the interest of many people and with this point it has been regarded as an abnormality that represents Korean ceramics as well as Koryo period ceramics. But the existing study has clarify the use of Maebyung and the koreanization of Maebying that came from China, and it obtained the results of generalization of the study, but because the study with the materials at that time has proceeded and the entire chronicle of Maebyung was tried, it had the limit, so the time presently came up that the correction by the data that can suggest the new chronicle of Maebyung must be needed. With this point above, this study will notice that Maebyung didn't become a positive research object in comparison with the ceramic history, use the new materials, and try a new chronicle by the notice of the change phrase of Koryo celadon Maebyung.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examine the name and use of Koryo celadon Maebyung. Originally it was used for wine bottle and the time and reason of obtaining this name wasn't dug up, so this study will arrange the time and reason on the basis of various heritages materials and documentary materials, and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ppearance of the abnormality and the developmental phase of Chinese Maebyung that had influenced on our Maebyung. Nex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ange process through the abnormality and the pattern analysis. But, like most of ceramics, because Maebyung doesn't have the example that we can know the exact chronicle especially, there are the serious difficulty and confusion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ge. So,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materials,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change as a developmental phase that we can grasp in the large flow. At large, this study will inspect it by the appearance of Celadon Maebyung, Ferreous Celadon Maebyung, and Jade-colored Celadon·Damascene Celadon Maebyung, and in the case of Ferreous Celadon Maebyung, this study classified it by the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atrophy, noticed the change of abnormality and the state of pattern, and examined the abnormality change because the kinds of pattern weren't different largely and the shape of change wasn't big, and this study separated the consideration about the pattern. This study will classify the time by the multi-staged division of the developments of Damascene Celadon Maebyung and Jade-colored Celadon Maebyung. Of course, the atrophy of Ferreous Celadon Maebyung and the appearance of Jade-colored Celadon Maebyung are never divided by a line. Only, these became to come up by the development of ceramic skill. By the beginning of the production of Celadon Maebyung, Celadon Maebyung using ferreous skill appeared, after that, during the atrophy of Ferreous Celadon Maebyung, Jade-colored Celadon Maebyung began to develop and the Damascene skill began to be used, therefore these were developed side by side rather than a marshaling relationship by a line. But as it was said above, because these show a little different skill and a sequence, this study will make it clear that this study deals with it separately in order to know the entire change of Maebyung. Because the thing that we can say the chronicle materials of Koryo Celadon Maebyung concentrated on 14c mostly, the establishment of time has an ambiguous thing. If we examine the existing Maebyung, the most sensitive thing on the change phase and development of Maebyung is the change in mouth part and line of side. Therefore, this study took the two changes as a criterion that makes us think about the timely sequence. And developing from Jade-colored Celadon Maebyung to Damascene Celadon Maebyung,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attern's composition method, pattern's trial method and kind together, and how the change of mouth part and the change of side line would be emerg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Koryo Celadon Maebyung and the activity time of furnace, this study will catch the data that can be the new materials in the establishment of existing chronicle of Koryo Celadon Maebyung through various relics and furnace that showed the active production at each period, and that represented the Koryo Celad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Koryo Celadon Maebyung in the center of the change of abnormality and pattern of Ferreous Celadon Maebyung, Jade-colored Celadon and Damascene Celadon Maebyung. In result, this study can optain the conclusion that the chronicle of existing Koryo Celadon Maebyung should be delayed a little. But there are still many ambiguous parts in the part about Koryo Maebyung during late Koryo so far, so the research need to be developmental that one thinks the aesthetic value, the meaning and the gravity of Celadon Maebyung in Koryo period. Especially, after proceeding to Maebyung and glazing ceramics since 14C, it seems to be meaningful that one examines Maebyung on the same li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머리말 = 1 Ⅱ. 靑瓷梅甁의 形成 = 4 1. 梅甁의 用途와 名稱 = 4 2. 梅甁의 형성과 中國의 梅甁 = 7 Ⅲ. 梅甁의 종류와 전개 양상 = 12 1. 高麗瓷瓷梅甁의 등장 = 12 2. 鐵畵靑瓷梅甁의 등장과 전개 = 14 (1) 鐵畵技法의 발생 = 14 (2) 철화청자매병의 발전과 양식변천 = 19 1) 器形 = 19 2) 紋樣 = 28 3. 翡色靑瓷梅甁과 象嵌靑瓷梅甁의 기형과 문양에 따른 변천 = 31 (1) 翡色靑瓷梅甁의 기형과 문양 = 32 (2) 象嵌靑瓷梅甁의 기형과 문양 = 40 4. 靑瓷 梅甁의 변천 고찰 = 66 (1) 가마터별 출토 매병의 양상 = 66 (2) 靑瓷梅甁의 기법과 양상 = 74 Ⅳ. 高麗靑瓷梅甁의 編年 = 81 Ⅴ. 맺음말 = 91 圖版目錄 = 95 參考文獻 = 100 圖版-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12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高麗靑瓷梅甁의 變遷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