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민-
dc.creator박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72-
dc.description.abstract墓誌는 죽은 사람의 姓名·出身地·先代系譜·家族關係·官歷·行蹟·德望·生沒年月日과 墓의 位置·坐向 등을 적어 무덤에 묻는 기록물의 총칭이자, 이를 기록한 돌이나 도판에 새긴 글을 말한다. 이중 白瓷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을 白瓷墓誌라 지칭하는 데 특히 朝鮮時代 들어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백자묘지는 '朝鮮의 墓誌樣式'으로 일컬을 만큼 다종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고, 조선의 전시기에 걸쳐 고루 분포하고 있다. 또한, 많은 양이 남아 있어 조선시대 도자의 흐름을 파악할 수 유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백자묘지에 대한 인식이 절대편년자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도자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조명된 바가 없으며, 그 연구 성과도 단편적인 설명과 간략한 소개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백자묘지가 儀禮器로서 갖는 특수한 제작배경과 조선백자의 독자적인 양식구축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접근한 것이다. 또한, 한국의 묘지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전개되었으며, 어떠한 배경에서 백자로 제작이 가능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백자묘지 제작이 실제 조선백자의 변천에 부합하는 맥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는지와 같은 문제제기를 통해 논고를 전개 한 것이다. 본문을 통해 먼저, 墓誌淵源의 정리와 당대의 사상적·기술적 배경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묘지가 백자로 제작 될 수 있었던 정황을 추적해 볼 수 있었다. 문헌의 검토결과에 따르면 묘지는 이미 春秋戰國時代부터 그 개념이 발생되어 南北朝時代에 이르면 蓋石·底石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췄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中國의 영향을 받아 三國時代부터 묘지가 나타났으며, 특히 高麗時代에 들어와서는 점판암이나 오석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이는 중국의 것과 동일한 형태를 한 것이었다. 瓷質墓誌의 경우 중국은 明·靑시대에 주로 제작되었으나 그 예가 적고 그 형태가 각각이어서 그 전모를 짐작하기 힘들었다. 日本은 우리나라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특히 6세기∼8세기경에 남아 있는 묘지를 비교·분석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역시 現傳量이 적고 靑銅製의 墓誌만 전하고 있어 韓·中·日의 묘지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었다. 다만 喪葬禮 文化라는 큰 범주 안에 삼국이 묘지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었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백자묘지의 제작배경에는 조선의 開國과 함께 확산된 성리학과 유교적 질서로의 포섭노력 그리고 『朱子家禮』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려시대까지 애용된 石材가 연마하기 힘든 재료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 수요를 제한하고, 일부 기득권층에 전유물화 되었던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전용자기였던 청자가 글을 쓰거나 음각하는데 있어 그 전달력이 떨어져 묘지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백자묘지의 구체적인 고찰은 발생기, 발전기, 전성기, 전환기로 나누어 각 시대별 양식과 형태의 변천을 통해 살펴보았다. 발생기(15세기)는 자기묘지의 시작점으로 많은 수량이 전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粉靑沙器가 주종을 이루고, 陰刻白瓷, 靑畵白瓷, 鐵畵白瓷로의 제작이 고루 나타나고 있었다. 형태도 장방형, 위패형의 평면형과 지통형과 같은 입체형도 남아 있었다. 발전기(16세기) 묘지는 대체로 음각기법이 주종을 이루고 청화, 철화기법이 그 뒤를 이었다. 묘지가 이처럼 음각으로 제작되는 것은 그때까지 청화나 철화 안료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誌文의 구성은 대부분 도판에 정간을 치고 정성스럽게 쓴 경우가 많았다. 정간을 친 경우 좌우에 여백을 두고, 비교적 글자수가 적다. 또한 묘지의 글자체와 구성에는 묘주의 신분이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성기(17세기- 19세기)는 수요에 따른 형태변화를 기준으로 ① 제1기(17세기-18세기 중엽)와 ② 제 2기(18세기-19세기후반)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이시기는 질적인 면과 수요측면에서 황금기였다. 즉 전형적인 직사각판형의 청화백자묘지가 확실히 구축되었고 수요는 일부 폭넓게 조선 전역의 관료와 일반인에게로 확대되었다. 이는 비로소 성리학에 입각한 유교적 질서가 사회전반에 뿌리내리게 되고 조상에 대한 제례가 家族宗敎化되는 것을 의미하였다. 전환기(19세기-20세기)로 접어들면 청화기법만 남게 된다. 형태 면에서는 수요층이 지속적으로 일반 서민층에게까지 확산되는 것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18세기부터 서서히 보이기 시작하던 盒과 誌石이 결합된 복합형이 이시기에 성행했다는 점이다. 대부분 묘지의 주인이 매우 높은 신분이었던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면 주로 2편의 묘지가 제작되는데 한쪽 면에는 간략한 表題文을 다른 한편에는 묘지의 位置圖를 남기기도 했다. 조선시대 백자묘지는 크게 평면형, 입체형, 복합형으로 만들어졌는데, 평면형이 주종을 이루었고 특히 직사각 판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입체형은 원통형, 대접형, 접시형, 항아리형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18세기 이후의 활발해진 각양의 입체형 묘지제작은 지석 수요층의 확대와 연관이 있었다. 그리고 복합형의 경우 18세기 이후 상류층 수요에 맞춰 제작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15세기 상감 분청지석과 청화, 철화가 공존하다가, 16세기에는 음각이 주류를 형성하였고, 청화와 철화도 꾸준히 제작되었다. 특히 청화백자 지석은 15세기부터 시작되어 점차 많아져 19세기에 이르면 전체 지석의 반수 이상으로 확산되며, 20세기까지도 그 명맥은 유지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백자묘지의 특성과 성격을 규명하는데 내용구성, 성별, 가문의 요인으로 나누어 분류해 보았다. 묘지의 기록내용은 蓋石文, 表題文, 誌文, 銘文으로 나누어졌지만, 이런 부분이 모두 갖추어진 묘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개석문과 표제문은 상호경계가 모호한 편이었다. 또한 지문구성에 성별과 가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으며 이는 해주오씨, 안동김씨, 파평윤씨 가문의 지석을 통해 증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墓誌體가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書體와 관련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그 상관성을 밝혀보고자 하였으나 墓誌體는 줄 곳 楷書로 쓰여져 큰 변화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같은 해서라도 분명 시기별로 유행했던 풍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유물을 실견하지 않고 도판을 통해 자세한 부분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다만, 묘지의 성격상 감정이나 예술적인 감흥을 매개로 소통하고자 함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당대의 서풍유행과 크게 연관성이 있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編年資料로 인식 되 온 백자묘지를 독자적인 도자영역으로 제시하고, 현전유물의 도자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종합적으로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물을 접하기 힘들어 圖版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던 점과 窯址에 대한 고찰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앞으로 가마와의 연계한 면밀한 조사와 유형화된 형태, 기법의 연구가 진척되길 바라며, 특히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의 백자묘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Epitaph tablets are general term of records about the deceased's name, place of birth, his/her predecessor pedigree(family tree), family relationships, achievements of both lifetime and work, virtue, date of birth and death, location of the epitaph tablets and finally its exposure which were inscribed on stones or plates and buried in or near the dead's grave. Some of them were made of white porcelain and we call it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These epitaph tablets were, especially, made in Joseon Dynasty. There were various kinds and shapes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during Joseon period and called it『a mode of epitaph tablets in Joseon』. Moreover, there are many epitaph tablets left or found these days and these artifacts help us to understand the porcelain of Joseon period. Nevertheless, until these days, the recognition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were still fixed on an absolute chronological recording studies, so that there were no studies carried out to find out its unique styles and modes of porcel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 special manufacturing background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as a ceremonial implement as well as to construct a unique style/mode of Joseon's white porcelain. There are also other questions raised as follows : a process of Korean epitaph tablets development, the background which made the possibility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production, and then research of the coincid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 production and the changing process of Joseon's white porcelain. To solve these questions, firstly, look for the origin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and then, search for the background ideology and its technical backgrounds of the specific period of the time through analogical inference, and finally, understand and arrange the data in its chronological tendancy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in periodic order. According to a number of documents, the origin of epitaph tablets started from the Spring & AutumnㆍWarring State Period, and when it comes to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tablets formed a typical shape of cover and floor stones. In the case of Korea, the country was influenced by China, and the first epitaph tablets found were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In Goryeo Dynasty, slate and obsidian were used to make epitaph tablets, which have similar shape to that of China. In China, porcelain epitaph tablets were usually produced during Ming and Ching Dynasty, however, there are only few left and each of them are in different shapes, therefore, it is hard to build an idea of the whole aspect. Japanes epitaph tablets were influenced by us(Korea), especially, epitaph tablets from 6th century to 8th century are those, but there are only few left and those were made of bronze, so it is hard to compare tablets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at of Japan. But the significance is that all three countries(China, Japan and Korea) have similar cultural category of funeral and burial ceremony, and inside this barrier, epitaph tablets might have performed a resemblant role in common.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e background of th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production. Firstly, the efforts to imply social ideologies and orders into the Confucian order and the Neo-Confucianism spreading out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role of 『Chu Hsi's Family Rituals : A Twelfth Century Chinese Manual for the Performance of Cappings, Weddings, Funerals and Ancestral Rites』 took a major part. Secondly, stones, which were popular material used in Goryeo Dynasty, were difficult to handle, so the material was limited and reduced in its use and were allowed only to the vested classes. Finally, celadonwares were not suitable for inscription,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produce the epitaph tablets in celadonwar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as follows; beginning era, development era, period of golden age and a transitional period. Each period has got its unique mode, style and shape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The beginning of th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were in 15th century.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left and most of them are Buncheong wares(the use of white slip to cover the fairly coarse grey stoneware body) and others are manufactured us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intaglio white porcelain,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white porcelain with underglaze iron-paintings as well as varies in shapes. Rectangular form and mortuary tablet shape represents the plane shapes and paper box shape stands for three-dimentional shape. Most of th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in the development era (16th century), used the technique of intaglio and followed by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underglaze iron-painting. The reason why epitaph tablets were manufactured by intaglio technique was that underglaze blue or iron painting pigments were difficult to possess. The composition of the tablet sentence were mostly written by making squares for each blank spaces in both sides, therefore, only few letters can be written on the tablet. In addition, the composition and a style of letters on epitaph tablets can be differ from the social class of the dead. Golden age period is from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s follows : ① First era (17th century to mid-18th century) and ② Second era (mid-18th century to late 19th century). The standard of this division is a transformation of shapes according to its demand. This period was a golden age in both quality and demand i.e. a typical rectagular shape of blue and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were made and its demands were expanded to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ordinary people all over Joseon Dynasty. This means that Confucian orders were settled on the bas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society and family ancestors became deified. When it moves to the transition period (19th century - 20th century), only blue and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were left. In the aspect of shapes, the demands are expanding to the common people continuously were recognizable. Especially, shapes of combined bowl with lid and epitaph tablet, which started from the 18th century became prevalented these days and we can also recognize that the dead of the epitaph tablets were in very high class. In addtion, entering into the 20th century, two epitaph tablets were made in general. One side there were brief title and the other side has the location of the epitaph tablet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and special properties of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it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contents composition, sex, and family pedigree. The contents of the epitaph tablet are divided in four parts like, short sentence on the cover, title, epitaph, and inscriptions(especially epics), however, there were no epitaph tablets found which has all these four parts contained, and moreover, it is hard to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short sentence on the cover and the title. Furthermore, composing the epitaph, sex and the family pedigree can influence in the sentences. This was proved through epitaph tablets from Haejo Oh family, Ahndong Kim family and Papyeong Yoon family. In addition, also tried to solve out the letter styles from that of epitaph tablets with character styles generally used in that period, however, most of the letters were written in Haeseo(a name of a style in writing, esp. in calligraphy), therefore, hard to find a difference or change. Of course, there can be differences between same character style in different era, but without looking carefully into real objects, it is hard to find out differences through illustrations. Because it is not for artitistic or emotional expression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epitaph tablets, it might not have influenced by the trend nor tendency of a specific era. This study suggested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are not only a chronological materials but also a unique field of ceramics and also tried a general analys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history of ceramics among the objects handed down to the present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we have the significance of its first trial. But there are limitations, for instance, difficulties to look and handle real objects, so the research was only depended on illustrations in catalogues and insufficient examination of major points can be another. In addition, also feel lac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ln and the epitaph tablets, its type pattern and techniques, and moreover,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at of Chinese white porcelain epitaph tablet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 1 Ⅱ. 墓誌의 起源과 展開過程 = 5 1. 墓誌의 起源 = 5 2. 中國과 日本의 墓誌樣相 = 17 3. 朝鮮時代 以前의 墓誌 展開過程 = 21 Ⅲ. 朝鮮時代 白瓷 墓誌의 制作背景 = 25 1. 朝鮮時代 喪葬禮 制度와 墓誌의 需要 = 25 2. 陶瓷 制作技術의 變化 = 29 Ⅳ. 朝鮮時代 白瓷墓誌의 變遷 = 34 1. 시기별 변천양상 = 36 1) 발생기 (15세기) = 36 2) 발전기(16세기) = 42 3) 전성기(17세기-19세기 후반) = 50 4) 전환기(19세기후반-20세기 초반) = 72 2. 墓誌構成의 諸要因 = 77 1) 誌文記錄 方式 = 78 2) 性別 = 79 3) 家門 = 80 4) 朝鮮時代 白瓷墓誌의 書體 = 83 Ⅴ.맺음말 = 89 【參考文獻】 = 93 【圖版目錄】 = 101 圖版 = 107 附錄1. 朝鮮白瓷墓誌의 展開 附錄2. 朝鮮時代 瓷質墓誌 一覽表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33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朝鮮時代 白瓷墓誌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ii,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