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15세기 文獻 笑話 硏究

Title
15세기 文獻 笑話 硏究
Authors
강성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is purposed to consider on what emotional foundation the classes enjoy a humorous story and their esthetic sense,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humorous stories were written and put our as a story book in earnest in 15th century. It was time when everything was normalized in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so the fact that this kind of a humorous story, considered as anti-normalized from and story, was popular must be considered first to wholly understand the trends and the literature traits of the class who enjoyed literatures of the early Chosun [朝鮮]. Records of a humorous story are not only the creature by a certain individual's interest, but also the creature reflecting, in many light, the consciousness of the classes who enjoyed it. The literary men in office, who put out humorous stories as a book in 15th century, accepted the reality as a peaceful reign in which the ruling order is practiced well and Do(道) is realized. And they did not consider the work portraying Do-realized reality is separate from philosophical thinking of seeking Do. The trend of Jaedojimoon[載道之文] (writing's representing Do) is also from this context. The positive and active attitudes of the literary men in office about the times and literature could make them think that Do exist in a humorous and everyday dialogue and they could find the lessons in it. What makes plenty of books of humorous stories rise in the late 15th century caused by the realistic and open climate of academ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created without ceasing in the reign of King Secho [世祖] and King Seongjong [成宗] since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And it is because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men who are officials and the climate in those times in which accepted a joke. The practical climate of academy, which is accepted to build the country's system in the early of Chosun, brought interests in different field of story. And this made so-called Japgirew[雜記類](sundry writings) come into Chosun as the Confucian and history-centered or poem-centered epic literatures had changed. And the classes who enjoyed the humorous stories have studied together and kept relations with each before they were in office and they kept in touch and enlarg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Thes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es were a great platform and the story got the build a certain trend. And they had the chance to drink and they joked and enjoyed humors. this climate helped enjoy the humorous stories and the places of the reign of Secho, where the classes got together and enjoyed played an important role which helped keep interests in the right "talks" in the right situation. In the times of King Songjong, books of humorous story were compiled and come out. And the different ways of discussions was open and enlarged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ed power of king, and this made plenty of books humorous story got to come out. The reason why the free-styled writings covering different ideas is popular in the times of Seongjong is that this kind of writings relieved of burden of Gwangak[館閣] and made a spirit of writing revive. The humorous stories played an effective role of relieving tension, among the writings which could express ideas freely without taking care of forms and story. The materials of jokes which happened in real life are represented in a short and simple narrative form. These experiential humorous stories of simple forms, which cover different stories, are divided into a "situation-representing form" and a "solution-seeking form" depending on the aspect of representing a key problem and of solving the problems. It is the "situation-representing form" that the accident just represents the situation of characters without seeking a solution, while the "solution-representing form" shows that main characters have an independent willing to change a situation and solve a problem. The literatures of humorous story in 15th century are mostly in a "situation-representing form". It tends to represent the personality type of characters effectively and despite time passes, situation changing does not happen in it. This form shows a positive view on little thing, things connected with instinct and the problems in human by making it comical that the things that are considered valued and important back then. And it is based on an author's view of the word and the firm belief and supports of emotion and it shows little and essential problems and an experience and an attitude about human relations. As for a "solution-seeking structure", the meaning and attitude of the prior accident wholly reversed or changed and corrected errors as time passes so it can be said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intention of an narrator is involved and works. The "situation-representing structure" supports the perfection and independence of the unchanged world while the "solution-seeking structure" reveals the faults the world includes. The latter portrays the human's duty they have to do and should-be world and it shows an enlarged critical mind and seeks the right values compared with the former which mostly deals with an individual problem. The causes of bringing laughter are not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story, but in a form of expression. The humorous story is a repertoire talked about in an everyday talk. And most of the written stories too is described, as it is, out of real experiences. The humorous story includes the real accidents and describes the describes the actually told stories at the Iyagi-pan[이야기판] (the place and state that stories telling) so it is described by using real languages not by a narrator's language. As these shown, the humorous story vividly includes the structure of an oral dialogue and linguistic ways of expression. In a funny story these sense of oral languages are expressed through amusing language like slang words of Chinese letters and a misuse of classics [經典] . The humorous story has an essential quality in which it seems to accept a situation and attacks indirectly. It does not approach in frontal and serious ways. As for record considered as a funny story, it shows the quality as a humorous story by focusing on representing unique words and representing the same forms of story over and over again. The people who enjoy a humorous story have the belief that the fixed and unchanged ideas and expression can not reach subtle Do and they come to prefer different expressions which cause changing. The humorous story includes the ways supporting the relative attitudes alongside essential and various acknowledge of Do. This is caused by the people's realistic thinking, who enjoy it. They tried to seek knowledge from common things as well as from books. The techniques of Golgye[滑稽] representing a humorous story are those of mixing differences, and at the same time those of harmonizing. The laughter-causing ways of Golgye would build other orders by doing away with differences and finding a new harmony. This expression of Golgye has a meaning by creating freedom from indirect attacks and an fixed idea through denying differences and cutting flow of thinking. The humorous story in this times necessarily enjoy the sense of beauty with the field. When the context is not included and a real name is made an issue and laughter is not created any longer, this record of humor is just considered as a character's anecdote and as a quality of a character. Stories which became a folk story have more common meaning because the meaning of the times, space and social spectrum are removed from them. Therefore the situation which real characters of humorous stories changed into anonymous ones is important in the tradition of humorous story. The humorous story in this times not only has a significancy as materials in the history of life and culture, but also it compensates the literal quality which considered as the class of Hoongu [勳舊] in the same light in that it approves different values which can not show in the public literature. The humorous story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iscellanies in Chinese letter now revives the characteristics its own. Studying a humorous story is an important process in which some parts of culture in the times. The culture of story reflects the culture of life and is a material representing the everyday life of Sadaebu[士大夫] classes. The humorous story is a medium connecting into the later stories which have apparent consciousness of genre.;이 논문은 15세기 후반에 소화가 풍부하게 기록되어 독립된 작품집으로 본격적으로 간행된 사실에 주목하고, 그 배경을 살펴 소화 향유층의 정서적 기반과 미의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 사회, 문화면에서 모든 것이 규범화하는 과정에 놓여 있던 이 시기에, '탈양식적'이라고 인식되던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진 소화가 성행한 사실은 조선 초기 문학 담당층의 성향과 문학적 특성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 해석되어야 할 과제이다. 소화의 기록은 어떤 특정 개인의 골계 취향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만이 아니라 당시 향유층의 의식을 다각도로 반영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15세기에 문헌소화를 편찬한 관료 문인들은 당대의 현실을 통치 질서가 잘 구현되어 있어서 도가 실현된 태평성대로 받아들였다. 때문에, 그들은 도가 실현된 현실을 그려내는 작업을, 求道의 철학적 사유와 동떨어진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載道之文을 표방했던 관인문학의 경향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인데, 시대와 문학에 대한 관료 문인들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는, 나아가서 여가에 戱謔하고 일상적으로 대화하는 내용 가운데서도 도는 깃들 수 잇고 그 속에서 교훈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15세기 후반 소화집이 풍부하게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 세종 이후 세조·성종기를 통해 꾸준히 형성되어 온 현실적으로 개방적인 학문적 풍토와, 관료로 활동했던 문인들의 긴밀한 유대관계, 그리고 희학이 용인되던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들 수 있다. 조선의 건국 초기 국가 체제를 정비하기 위한 실용적인 학문 풍토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켰고, 이를 통해 '雜記類'라고 일컬어지는 서적들이 유입되면서 經史나 시문학 위주였던 서사문학이 다양한 변화를 꾀하게 된다. 그리고 出仕 이전부터 함께 공부하며 관계를 형성해왔던 소화 향유층은 이후 꾸준히 교우하면서 유대 관계를 공고히 하는 한편 혼인 관계 등으로 그 관계를 넓혀나갔다. 이들 향유층의 친밀한 관계는 소화를 생성하기에 좋은 조건을 만들었으며 이야기에 일정한 지향을 구축하게 되었다. 또, 자주 술자리를 통해 유흥 공간을 제공했으며, 스스로 농담과 희학을 즐긴 군주, 세조의 성향과 당시 유흥적인 분위기도 소화의 향유에 한몫했는데, 세조대의 유흥공간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대응하는 '말'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성종대는 실제로 소화집이 편찬, 간행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세조대에 확립된 왕권을 바탕으로 언로가 개방, 확대되었는데, 이를 통해 소화집 역시 대거 쏟아져 나오게 되었다. 다양한 생각들을 담아낸 자유로운 형식의 글들이 성종대에 성행한 것은, 관각의 글에서 오는 부담을 해소하는 弛張의 역할을 하여 창작의 기운을 재충전하게 해준 것으로 보인다. 형식과 내용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했던 글에서 벗어나 생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글, 그 가운데서도 우스운 이야기를 다루는 소화는 弛張之道를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해주는 역할을 했다. 일상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농담의 자료들은 짤막하고 단순한 서사형태로 제시된다.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는 이 단순한 형태의 경험적 소화들은,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제시되고 해결되는 양상에 따라 크게 '상황 제시 구조'와 '해결 지향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사건이 단순히 인물의 상황을 제시해주는 성격을 가질 뿐 해결을 지향하지는 않는 구조가 '상황 제시 구조'인 반면, 주인물의 주체적인 상황 변화 의지나 문제 해결의 의지가 드러나는 경우를 '해결 지향 구조'라 할 수 있다. 15세기 문헌 소화는 대부분 '상황제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인물의 성향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특성이 있는데,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상황 변화가 개재되지 않는 '상황 제시 구조'는, 당시 일반적으로 가치 있고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던 대상들을 속화, 희화함으로써 사소한 것, 본능과 관련한 것, 인간 내부의 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작자 자신의 세계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지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상황 제시 구조는 인생의 사소하지만 본질적인 문제, 인간관계에 대한 경험과 태도를 드러내 보여준다. '해결 지향 구조'의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앞의 사건이 보여주는 의미나 태도가 뒤따라 나오는 사건에 의해 완전히 역전, 또는 반전되어 오류가 시정되므로, 서술자의 의도가 적극적으로 개입되어 작동할 수 있는 서사구조라 하겠다.'상황 제시 구조'가 변하지 않는 세계의 완전성, 독립성을 옹호한다면, '해결 지향 구조'는 세계가 내포하는 결함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해결 지향 구조'는 인간이 자신의 위치에서 마땅히 지키고 이루어야 할 의무와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할 세계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서, 개인적 문제가 주로 다루어지는 '상황 제시 구조'에 비해 확장된 문제의식을 보여 주며, 올바른 가치에 대한 지향을 드러낸다고 하겠다. 웃음 유발의 조건은 이야기의 구조 속에 있기도 하지만 표현 형식에서도 드러난다. 소화는 일상의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오르내리는 레퍼토리인데, 문헌으로 정착된 이야기 역시 실제로 경험한 이야기를 대부분 그대로 기술한 것이었다. 소화는 실제 현장에서 일어났던 사건이나 이야기판에서 실제로 구연되던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술자의 주관적 언어가 아닌 실제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기술되고 있다. 이렇듯 소화에는 구술 담화의 구조와 언어적 표현 방식이 고스란히 살아있는데, 우스운 이야기에서는 이러한 실제 구술 언어의 감각이 한자어의 속어 표현이나 경전의 오용 등 언어의 유희적 표현을 통해 표현된다. 또한, 소화는 전면적이고 진지하게 접근하지 않고 상황을 인정하는 듯하면서도 우회적으로 공격하는 골계적 표현 방식에 그 본질적 특성이 있다. 우스운 이야기로 인식되는 이야기의 기록에서는 독특한 말의 형상화에 주력한다든가, 같은 형식의 이야기를 반복해서 제시하는 방식으로 소화적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 소화 향유자들은 고정적이고 정태적인 관념과 표현으로는 정밀한 도에 다다를 수 없다는 신념 아래 변화를 도출하는 다양한 표현을 선호하기에 이르렀다. 학문적 깊이나 도에 대한 이해가 정밀하고 깊기 때문에 변화로 요동치는 표현[雄濤瀞瘍]에서도 도를 감지 할 수 있고, 이러한 우스개의 글이 '표현의 성대함'으로 인식되었다. 소화에서는 도에 대한 본원적이고 다각적인 인식과 함께 상대주의적 태도를 옹호하는 방식이 드러나는데, 이는 향유자들의 현실주의적인 사고에 기반하는 것이라 해겠다. 그들은 경서에서 못지않게 이상지간의 사건과 흔히 접하는 사물에서 앎을 궁구하려 했다. 소화의 형상화 방법이라 할 수 있는 골계의 기법은 '차이를 어지럽히'는 동시에 그럴듯한 조화를 이루어내는 표현 방식이다. 웃음을 유발하는 골계의 방식은 차이를 무화시키고 새로운 조화를 모색하여 또 다른 질서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골계의 표현은 차이의 부정, 사고 진행의 차단을 통해 새로운 의미항, 즉 우회적 공격이나 고정관념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만들어 냄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의미가 생성되는 데에는 (1)차이의 인식, (2)차이의 無化, (3)부조화의 조화로 구성되는 골계의 사고 과정이 수반되는데. 이러한 사고가 기본적으로 硬化된 관념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노장사상이 추구하는 그것과 관련된다. 그렇지만 장자가 눈에 보이는 차이를 무화함으로 해서 무한한 자유의 세계로 들어가려 한 것과 달리, 소화는 차이의 극복을 통해 생겨난 새로운 질서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현실을 모순적인 것으로 인정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세계를 고정적인 것으로만 바라보는 태도를 모순적인 것으로 보았다. 이 시기 소화는 당대의 현장을 떠나서는 온전하게 미감을 향유하지 못한다. 정황이 떨어져 나가고 실명만 거론되어 더 이상 웃음이 작동하지 않을 때 이 우스움의 기록은 단순한 인물 일화로 정착되어 인물의 성격을 이루는 하나의 속성으로서만 이해된다. 민담화 된 이야기들에서는 시대적, 공간적, 계층적인 함의가 떨어져나감으로 해서 좀더 보편적인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래서 문헌소화의 실명 인물들이 익명으로 바뀌는 현상은 소화 전통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 시기 소화 문학은 생활사, 문화사적 자료로서 의의를 지닐 뿐 아니라 그 안에서 공적인 문학에서 보여줄 수 없었던 다양한 가치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기존에 훈구 계층으로 설정되어 단선적으로 바라보았던 이 시기 관료 문인들의 문학적 성격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문 잡기류의 전통 내에서 뭉뚱그려 평가되던 소화는 자체의 성격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소화를 연구하는 것은 이 시기의 문화의 일부를 해석하는 중요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이야기문화는 바로 생활 문화를 보여주는 것이며, 사대부들의 일상을 재현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서사문학적 맥락에서 소화는 뚜렷한 장르의식을 지닌 후대의 소화문학을 이어주는 매개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