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노인의 신체기능취약성과 부양서비스에 대한 지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의 신체기능취약성과 부양서비스에 대한 지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장민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에서 동거하거나 별거하는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신체기능취약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우울감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규명하고, 둘째, 신체기능취약성과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과의 관계에서 부양서비스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최혜경 외 (1998)의 '노인부양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의 2차년도 자료 중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신체기능취약노인 286명, 일반노인 8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의 선정근거는 Kempman과 Suurmeijer(1990)의 ADL/IADL척도 점수를 이용하여 신체기능취약노인은 63점이상, 일반노인은 42점 이하인 노인으로 분류하였다. 이 척도는 총 21문항 5점 척도로 21점에서 105점까지의 점수분포를 가진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기능취약성은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일반노인이 신체기능취약 노인들보다 심리적 안녕이 더 높고 우울감이 더 낮다. 둘째, 정서적 부양서비스, 공유활동적 부양서비스, 도구적 부양서비스, 부정적 부양서비스의 4개 요인과 전반적인 부양만족도로 측정한 부양서비스는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 간에 일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은 제공받는 도구적 부양서비스와 부정적 부양서비스, 그리고 부양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두 노인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차이를 통제한 상태에서는 제공받는 공유활동적 부양서비스, 도구적 부양서비스, 부정적 부양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신체기능취약성과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 간의 관계는 부양서비스에 의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의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부양서비스는 일반노인에게는 유의한 의미를 지니지 않으나, 신체기능취약노인들의 심리적 안녕이나 우울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부양서비스가 신체기능취약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 및 우울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신체기능취약노인에게 큰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신체기능 취약성에 의해 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우울감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그리고 신체기능이 취약한 노인들은 일반노인들보다 제공받는 부양서비스에 민감하며 부양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보다 나은 적응을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신체기능취약노인과 일반노인을 달리 차별성을 두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양서비스가 신체기능취약노인에게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사적 부양 뿐만 아니라 공적 부양의 확대도 요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vulnerableness and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upport service upon such relation for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e normal elderly who live in or live separately from home. As research material, data for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e normal elderly who live in the communities were used among the second-year data of the research by Hye-Gyeong Choi et al.(1998) on 'Support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Elderly'. Subjec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286s of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87s of the normal elderly, who reside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Busan, Daegu, Gwangju and Daejeon. Based on the ADL/IADL scale point by Kepmpan and Suurmeijer(1990), which is 5-point scale consisting of 21 questions with the range between 21 points and 105 points, those corresponding to more than 63 points were classified as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ose corresponding to less than 42 points as the normal elderly. As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PC 11.0.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physical vulnerablenes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In detail, the normal elderly had higher psychological peace and lower depression than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Secon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upport service measured with the four factors of mental support service, sharing support service, instrumental support service and negative support service and the whole satisfaction at support between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e normal elderly. In detai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mental support service and whole satisfaction with support between both group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haring support service, instrumental support service and negative support service between both group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groups was controlled. Thir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vulnerableness and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was influenced by support service. As a result of examining factors to influence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of both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e normal elderly, support servi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normal elderly but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s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support service buffers the effect of physical vulnerableness of the elderly upon their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and specially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The findings above mentioned show that psychological peac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s influenced by their physical vulnerableness, and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re more sensitive to support service than the normal elderly and may better or worse adapt themselves to i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support service. Therefore, differentiated program between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and the normal elderly shall be developed and at the same time public support as well as private support shall be expanded, seen from the result that support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