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Title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네트워크화, 디지털화와 함께 사이버대학의 등장은 성인학습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평생교육을 제공하고, 개인에게는 자기계발의 기회를, 조직에게는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연구자 및 연구기관에서는 사이버대학의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질 관리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을 평가할 수 있는 거시적 평가모형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학생에 의한 강좌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강좌평가는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가 교수의 효과성을 직접 평가하는 방법으로, 기관 및 교수자는 강좌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직접적인 요구 및 교수-학습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강좌평가는 그 결과를 수업에 반영하여 교수-학습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미시적인 평가영역이지만 상당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좌평가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사이버대학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대학과 사이버대학의 강좌를 평가하는 평가척도의 공통적인 평가영역과 차별적인 평가영역은 무엇인가? 둘째, 사이버대학의 강좌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평가문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2003년 2학기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인가된 16개 사이버대학에 현재 재학중인 학생 중, 15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대학과 사이버대학에서 수업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강좌평가지를 바탕으로 강좌평가 척도의 평가영역 및 평가준거를 도출하였다. 둘째, 오프라인대학과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 척도에서 도출된 평가영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강좌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잠정적으로 도출된 강좌평가 척도에 대해서 2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Cronbach's Alpha 계수 .92를 획득하여 내적 신뢰성을 확보하고, 교육공학 전공교수 3인으로 구성된 내용전문가에게 내용에 관하여 타당성 여부를 검토 받았으며, 도구개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받기 위하여 심리학과 전공교수 1인에게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넷째, 내용타당도 검사를 통해 지적받은 문항 및 영역을 수정하여 예비도구를 개발하였다. 예비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11가지 잠정적인 평가영역 중 10가지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5점 척도의 29개의 평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158명의 사이버대학 재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결과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인 핵심변수를 도출하여 내재적 공통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요인들의 내적 신뢰도를 다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결론을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대학의 강좌평가 척도 7개 중 5개 기관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평가영역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평가영역은, 1) 전반적 효과성, 2) 교수자 관련, 3) 학습자 관련, 4) 상호작용/관계 형성, 5) 교수설계/조직/학습내용, 6) 과제, 7) 평가, 8) 커뮤니케이션, 9) 피드백, 10) 학습성과 로 구성된다.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 척도로 분석된 5개 도구 중 3개 이상의 기관(60% 이상의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평가영역 및 준거는, 1) 전반적 효과성, 2) 교수자 관련, 3) 학습자 관련, 4) 상호작용/관계 형성, 5) 교수설계/조직/학습내용, 6) 과제, 7) 평가, 8) 학습부담감/난이도, 9) 시스템/환경, 10) 피드백, 11) 학습성과 등 총 11가지가 도출되었다. 사이버대학과 오프라인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영역은 1) 전반적 효과성, 2) 교수자 관련, 3) 학습자 관련, 4) 상호작용/관계형성, 5) 교수-학습 설계/조직, 6) 과제 7) 평가, 8) 피드백, 9) 학습성과 로서 총 9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오프라인대학과 사이버대학의 차별적인 영역으로서, 오프라인대학에서만 사용하는 평가영역은 커뮤니케이션의 1가지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사이버대학에서만 활용되는 평가영역은 시스템/환경, 학습부담감/난이도의 2가지 평가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선행연구와 내용 타당도의 검증과정에서 전문가의 지적에 의해구성된 11개의 평가영역 중,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12개의 문항에 대해 5개의 평가영역이 도출되었고, 이것은 2개의 내재적 공통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인1은 교수자 관련, 교수설계/조직/내용, 피드백, 상호작용의 평가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조직/교수활동'의 요인명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요인1은 기존의 오프라인대학에서도 강좌평가 척도에서 구성된 문항으로, 교수방법 및 매체의 특성과는 관계없이 활용하는 평가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요인2는 잠정적 평가영역에서 도출된 시스템에 해당하는 평가영역으로서 선행연구와 동일한 이름으로 요인명을 설명할 수 있다. 요인 2는 사이버대학의 교육환경 및 시스템의 특성이 반영된 문항으로,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의 독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차별적인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오프라인 대학의 강좌평가 척도에 대한 연구에 비해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기존에 개발된 강좌평가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학업성취도 및 다른 객관적 척도, 예를 들어 과제제출 정도 및 학습참도 정도 등과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사이버대학에 존재하는 학과 및 과목별로 교수-학습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강좌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해당 학과 및 과목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척도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외국의 전문적인 평가기관들은 20개 내외의 강좌평가지를 활용하기 보다 평가문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과목특성, 교수-학습 방법의 특성, 교사의 특성 등에 따라서 35개 정도의 문항을 선정한다. 그러므로 다량의 강좌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과목 및 교수자, 교수-학습과정의 특성에 맞게 평가문항을 선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강좌평가 척도의 개발만큼 강좌평가의 실행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여 실제적인 교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 현황 및 운영방법, 결과해석 및 보고방법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신뢰롭고 타당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강좌평가 운영 및 실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With the growth of cyber education, cyber university is open to meet student needs. Todays, many people strive to learn and develop their knowledge, skill and competency like things. It is cyber university that is institutional organization is equipped with web systematic environment and give degrees if students take some courses according to university's policy.. However, the quality of e-course at the cyber university is not certain whether it is effective, useful, satisfactory. To improve the effectivity of cyber Education and change student's prejudice that is not better than face to face course, I deveop the instrument of student survey that is appropriate in cyber university. Student evalution of instruction has multidimensional criter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It is designed to reflect student's feedback that depends on the content of evaluation it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riterion and dimension of instrument to be surveyed by student ab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ritical dimensions of student rating, develop realistic instrument of student survey with realibility and validity. To do this, first, I did literature reviews of the characteristic of other instrument that is proved by previous researchers and contain a well designed factor construction, second, anlyze a range of common criterion and dimensions of instruments that reviewed Third, extract common factor throught factor analysis. There were four major phases of the study : (1) classification of the dimensions of the instrument of student evaluation that could be used in cyber university. (2) analysis about the critical dimension of student ratings used in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3) development the instrument of student ratings of cyber university. (4) Identification the critical dimension throughout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common dimensions of student ratings in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were 1) overall ratings, 2) Instructor/Facilitator, 3) Student, 4) Interaction/Rapport, 5)Instructional Design/Organization/Knowledge, 6) Assign-ments, 7) Evaluation, 8) Feedback, 9) Achievement. That means the student's evaluation of teaching contain a wide range of instructional design dimension an excep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media that is used in teaching-learning process. Second, different dimension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off-line University, there was communication. The other case of cyber university, there were System, Workload. That means student survey should construct the unique dimensions of media that is used in teaching-learning process. Besides, cyber university's student feel like too workload to execute their learning. Third, critical dimensions in cyber university were 1) Overall ratings, 2) Instructor, 3) Student, 4) Interaction/rapport, 5) instructional design/organization/knowledge, 6) Assignments, 7) System, 8) Workload 9) Feedback, 10) Evaluation, 11) Achieve-ments. Fourth,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re were two factor. Factor 1 were 'Instructional organization/ teaching activity' that include Instructor, Instructional design, Feedback, Interaction. Factor 2 was System that is same factor in existing research results. Two factor is consist of 5 dimensions with 12questionnaire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If cyber university would evaluate course, basic and critical dimension were Instructor, Instructional Design, Feedback, Interaction and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