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貞熙-
dc.creator李貞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9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6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693-
dc.description.abstractThe industrial ceramics in Korea has been regularly produced since 1960's and rapidly developed technically by growing exports during 1970's. Korean ceramic industry in hot pursuit of the improvement in more quality than quantity is in great trouble by lack of new design techniques before every other difficulties. Looking into the matter, I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upon the analysis and research after the characteristic of pattern for mass-produced coffee cup since 1960's on the funtional theory, which has been the basic background of the modern design. 1. I am convinced that even in the case of the simple coffee cup a more scientific and reasonable method should be adopted and the more improvement could be attained. With my great regret more accurate research and intricate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2. The pottery of all manufacturers are no more than imitation which are made to order of the foreign buyers. The training of the professional designers and the specialized technicians are pressing. 3. 96.2% of the domestic coffee cup are of circular type due to manufacturing process, cost saving and Jiggering. We cannot find out any traces of the functional creativity on pattern itself, because there are remarkable trend to supplement the simple circular pattern or the same mass-products with decorative modification like as cope-print. 4. With the rising standard of liveing the development of pottery for the domestic market is urgently required. For export the design origin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concepts, not the old-fashioned style of imitating foreigners, should be prompted. In some respects it would be too difficult that we create the varied designs on the mass-produced pottery. But all designers in industrial ceramics should make every painful effort to the detailed variety of pottery design and place heavy emphasis on the fine pottery.;우리나라의 産業陶磁는 1960年代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여 1970年代 수출을 정점으로 기술적인 발전을 더하여 왔다. 그후 지금까지 量的인 생산에서 質的인 생산으로의 向上을 추구해온 국내도자산업이 안고 있는 諸問題中,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을 새로운 Idea의 디자인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와같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方法論으로 本稿에서는 1960 年 이후 많은 생산량을 보인 커피잔을 對象으로 形態的 特質을 中心으로 機能的 要素를 分析조사해 본 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일반적으로 단순기능에 속하는 커피잔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科學的이고 合理的인 方法을 사용, 그 機能性을 파악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2. 旣存제품 분석과정에서 각 기업체의 제품을 조사해 본 결과 아직도 외국 Buyer들의 주문생산에 의한 모방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새로운 Idea를 위한 전문디자이너 양성 및 기술적인 분업화가 시급하다고 본다. 3. 국내의 커피잔은 대부분 工程上의 편리와 원가절감등의 이유로 Jiggering에 의한 圓型이 96.2%의 생산비율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단순한 圓型이나 같은 형태의 대량생산을 轉寫와 같은 장식위주의 변화로 보완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4. 커피문화는 외래문화이며 커피를 마시는 일이 일상화되면서 그 자체가 외래의 것이라는 것마져도 무감각해진 때문에 커피가 우리나라에 들어온지 약90년이 지난 지금에도 커피잔의 형태는 너무나 서구화되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국내 內需用品의 증가나 수출을 위해서도 우리의 것을 만든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한국적」이라는 개념, 즉 樣式의 전수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생활이론에 기초를 둔 Design이라는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리라 본다. 어떤 면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對象을 가지고 디자인的 변화를 준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알 수 있었으나 산업도자를 하는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작은 변화를 위해 존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라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연구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과 範圍 = 2 Ⅱ. 理論的 背景 = 5 A. 機能의 定義및 槪念變遷 = 5 B. 機能의 分類 = 7 C. 커피잔과 機能 = 8 1. 커피잔의 기능 = 8 2. 기능적 디자인의 例 = 10 Ⅲ. 커피잔 分析 = 12 A. 분석의 이론적 배경 = 12 1. 分析方法 = 12 2. 分析內容 = 15 B. 旣存제품 分析 = 33 1. 分析方法 = 33 2. 分析內容 = 34 C. 비교분석 및 결과 = 43 D. 分析結果 (문제점 제시 및 개선의 방향) = 46 結論 = 54 參考文獻 = 56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505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형태적특질-
dc.subject커피잔-
dc.subject커피컵-
dc.subject잔받침-
dc.title形態的 特質을 통한 커피잔의 機能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事例 조사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DESIGN OF COFFEE CUP THROUGH THE FUNCTIONAL ANALYSIS-
dc.format.page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