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文貞華-
dc.creator文貞華-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2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21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n attempt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 responses on such everyday topics and issues 4s Father, Mother, Family, Goals, Future, Abilities, Guilt and Fears and thereby provide a basis for correct evalu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theory is set took as base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development; second, questions relating to self-awareness among adolescents; third, relating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family; fourth, the assumption that adolescent behavior is contingent upon or rather partly conditioned by the environment. The study was based on a group of 400 students in all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into different sexes thus constituting 4 distinct groups of 100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32 sentence-completion questions were clarified according to the responses and the percentages of sex, region and frequency ratios were calculated. The following are conclusions deduced from the above analysis of the data. First, the attitudes toward fathers among junior-high school were on the whole negative and most of them expressed discontent over their fathers' lack of affection, interest and understanding. The girl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ir fathers' appearance. Second, the recognitions of mothers were highly favorable showing that the students considered their mothers to be making sacrifices, being kind to them and more understanding. But attitudes toward other students' mothers ranged from flat dissapproval of their easygoing way of life, extravagancy, excessive urging on studies to other less negative responses. Third, more students in rural area expressed discontent over, their families' poverty and misfortune. Fourth, the majority of the tested students seemed to consider themselves as trouble makers in the family, and as stupid and subjected. Fifth, while students in urban area shared definite responses on their future, plans for life and work, those in rural area lacked such definite plans of them. Sixth, most students seemed negative about their future. The tendency was more apparent in the country than in the city, and more so among girl students than among boy students. Seventh, attitudes toward abilities among boy students were generally affirmative while girl students lacked conviction.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shadowing the respective differences in character of boy and girl students. Eighth, the guilt-conscious among boy students could be attributed to fights, accidents, stealing and other external behaviors while that of girl students arose largely from telling lies, disobeying their parents, distrust of friends and other moral afflictions. Ninth, attitudes toward fear ranged from fear of a specific object, harsh words by parents to ouarrel between parents.;本 硏究는 中學生의 아버지 어머니 家族, 目標, 將來, 能力, 罪責感, 恐怖 둥 일상생활상의 중요 槪念과 대상에 대한 知覺 反應을 조사 분석하여 中學生을 좀 더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基礎資料로 제공하고자 계획된 것이다. 理論的 背景으로는 첫째 靑少年의 발달에 대한 일반적인 特徵과 둘째, 靑少年의 自我意識에 대한 설명, 세째, 靑少年과 家庭에 대해서 알아 보았고 네째, 地域環境에 따라서 靑少年의 行動이 다르다는 理論으로 뒷받침하였다. 本 硏究의 目的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農村 2개 지역으로 分類하여 각 지역마다 男女學生 각각 100명씩 총 400명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도구는 32개 문항으로 구성된 文章完成檢査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을 反應 내용별로 분류하여 내용에 대한 地域別, 性別로 頻度의 百分率과 平均値틀 계산했다. 위와 같은 절차를 通해 얻은 자료의 分析 結果 및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 中學生의 아버지에 대한 知覺은 否定的인 反應이 높으며, 특히 아버지는 자신들에게 사랑과 관심 이해가 부족하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또한 女學生들은 아버지의 外貌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知覺은 무척 肯定的인 反應을 보이고 있으며, 어머니는 자신을 위해 수고하며, 인자하고, 이해심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他人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놀고 먹고, 자기 자식만을 위하며, 사치스럽다, 공부만을 강조한다. 등 否定的인 反應이 높다. 세째, 대도시 학생보다 農村 학생은 자신의 家族이 가난하고 불행하다는 否定的인 反應이 높다. 또한 中學生들은 家族의 행복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네째, 中學生의 많은 수가 家族이 자신을 장난꾸러기, 군식구, 바보, 동네 북, 노예 등으로 취급한다는 否定的인 反應이 높다. 그러나 男學生은 女學生보다 家族이 자신을 왕자나, 보석과 같이 肯定的으로 취급한다는 知覺에 높은 反應을 보였다. 다섯째, 대도시의 學生은 目標와 將來에 대한 知覺에서 뚜렷한 職業觀과 期待를 갖고 있으나 農村의 학생은 人生設計와 目標가 없이 막연히 공부 잘하기를 期待하고 있다. 여섯째, 자신들의 將來를 否定的으로 보는 學生이 많다. 이는 대도시보다 農材이, 男學生보다 女學生이 더 높게 否定的인 反應을 보였다. 일곱째, 能力에 대한 知覺에 있어서 男學生은 積極的인 反應을 보이고 있는 반면 女學生은 消極的 反應을 보이고 있음은 男女의 性格 및 行動 特徵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또한 자신의 能力이 있다고 생각하는 면에 관해서는 大都市의 학생은 Recreation에, 農村의 學生은 공부에 높은 知覺을 보였다. 여덟째, 罪責感에 대한 知覺에서 男學生은 싸움이나 사고, 도둑질 등 外的 行動에 反應이 높으며 女學生은 거짓말, 부모님 말씀 거역, 친구를 오해 등의 內的이고 道德的인 면에 높은 反應을 보였다. 또한 農村의 男學生은 특별히 과일 밭에서 '서리'한 것에 대해 罪責感을 갖고 있거나 나쁜 일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았다. 아홉째, 恐怖에 대한 知覺은 어떤 특정한 사물에 대한 恐怖와 父母의 꾸중, 父母의 싸움 등의 反應이 높이 나타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의 槪要 = ⅰ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問題 = 2 Ⅱ. 理論的 背景 = 4 A. 靑少年의 一般的 特徵 = 4 B. 靑少年과 自我意識 = 7 C. 靑少年과 家庭 = 9 D. 地域環境과 靑少年의 行動 = 13 Ⅲ. 硏究方法 = 16 A. 硏究對象 = 16 B. 檢査道具 = 16 C. 實施節次 = 17 D. 資料處理 方法 = 18 Ⅳ. 結果分析 및 解釋 = 19 A. 아버지에 대한 知覺 = 19 B. 어머니에 대한 知覺 = 25 C. 家族에 대한 知覺 = 31 D. 目標에 대한 知覺 = 36 E. 將來에 대한 知覺 = 42 F. 能力에 대한 知覺 = 49 G. 罪責感에 대한 知覺 = 54 H. 恐怖에 대한 知覺 = 60 Ⅴ. 論議 = 66 Ⅵ. 要約 및 結論 = 70 參考文獻 = 73 附錄 = 7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6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문장완성검사-
dc.subject중학생-
dc.subject가족-
dc.subject자아-
dc.subject지각-
dc.title文章完成檢査를 通한 中學生의 家族 및 自我에 대한 知覺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ttitude toward Family and Self among Junior-Highschool Students as seen through Sentence-Completion Tests-
dc.format.pageix, 82 p. :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7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