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민경-
dc.creator강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00-
dc.description.abstractSchool-based management is one of educational reform that the central administration is promot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system purpos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by giving the power of decision-making and, consequentl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o site schools. Several attempts of educational reform have faced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tried to realize reform only through its own effort without considering field teachers' thoughts and attitudes. In this sense, it is concluded that the true change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are main actors in the education fields and their particip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hange of their thought and consciousness.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eachers think about SBM, how they respond to changes, how they think about their changing role performance, and what values and attitudes they should take. The success of SBM depends on teachers' perception on transition to a new system as well a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s a value pursued by site schools.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nd at the center of SBM,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the system, their responses to role change, and their thought o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roles in SBM. This study conduced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for which it used a questionnaire that the researcher made by adapting for this research 21st Century School Operation Reformation Model Development Research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9) and a questionnaire on school community developed by Rho Jong-hee (1998).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429 subjects were sampled from 48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by school type and school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reciated relatively high SBM. In particular, teachers at private schools and small-sized schools had this tendency more strongly. However, they perceived that autonomy in the educational fields has not changed at all or even has been worsened than before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central administration and lack of confidence and capability of school administrators. Second, as for the main actors of SBM, teachers thought that the principals of site schools were most influential and, on the contrary, teachers were least influential. The result suggests that teachers' authorities must be expanded in the SBM Third, as for domains of the SBM, teachers thought they were restricted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of the faculty and school budget management, but felt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autonomy and responsibility in the domain of educational curriculum.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of admitting changes at school today. Such a response to changes was more frequent in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With regard to teachers' performance of changed roles, they mentioned as obstacles the excessive control of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lack of consciousness of role performance and lack of time. Thus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 of principal and teachers at individual schools. Fourth, with regard to roles required by SBM,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latively positive in their roles as an educational guide, as a professional opinion proposer, as a colleagues' cooperator, as a self-regulator, and a person with a sense of community, but not in their role as a joint decision-maker. In particular,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thought more positive in these roles. Six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egative in the role as a decision-maker.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less than once a month, mainly at a meeting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grade, and were passive in developing comm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sharing person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and school classes with colleague teachers. Seven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to be relatively positive in performing their role as a person with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were found to have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With regard to sub-factors of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were commitment, respect for human beings, diversity and a sense of solidarity, teachers were positive in all these factors, and particularly in respect for human beings. In addition,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had a stronger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diversity. With regard to subjects of the sense of community, teachers thought positively on the sense of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mong teachers, between teachers and the principal. In particular, the sense of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stronger at private schools as well as small-size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researcher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of individual school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school-site mana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features of private schools to enhance th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of public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ducing the size of school to develop school communities. Fourth, ful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eeting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grade as a new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공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중앙행정부가 추진하는 교육개혁 중의 하나는 단위학교에 의사결정의 권한 부여를 통해 학교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이다. 수 차례의 교육개혁이 많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낸 것은 실제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고려 없이 중앙행정부의 노력만으로 실현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교육현장의 진정한 변화가 교육활동의 주체인 교사들의 참여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교사들의 관심과 참여는 인식과 의식의 변화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해 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가, 변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변화되고 있는 자신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어떠한 가치와 태도를 지녀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체제로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단위학교가 지향하는 가치로서의 공동체의식의 형성에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성공이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라는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초등교사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한 인식,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전문적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99)이 개발한 『21세기 학교경영혁신모형 개발 연구』와 노종희(1998)의 학교 공동체 질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목적에 맞게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내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480명을 대상으로 설립유형별, 학교규모별로 유층무선표집을 하였으며, 이들 중 429명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해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사립학교일수록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현장의 자율성은 중앙행정부의 간섭, 학교행정가의 소신이나 역량의 미흡으로 인해 이전에 비해 변화가 없거나 덜 자율적이라고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주체에 대하여 교사들은 단위학교의 학교장을 가장 영향력 있는 주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반해 교사를 가장 영향력이 적은 주체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 교사들의 권한이 더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영역에 대하여 교사들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직원 인사관리, 학교 예산관리영역에서 고루 제약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가장 많은 변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재 학교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려는 인식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인식은 규모가 작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변화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방해 요인을 학교 행정가의 지나친 간섭과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부족, 시간의 부족 때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단위학교의 행정가와 교사의 상호 역할에 대한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초등교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 요구하는 역할 중 공동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제외한 학습지도자로서의 역할, 전문적 의견제시자로서의 역할, 동료간 협력자로서의 역할, 자기규제자로서의 역할, 공동체의식 소유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의 규모가 작을수록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다. 여섯째, 초등교사는 공동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한 달에 1회 이하 정도의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는 주로 동 학년회의를 통해 이루어지며, 학교 운영이나 학생의 수업에 대한 개인의 관심과 참여를 동료교사들과 같이 나누고 협력하여 공동의 관심과 참여로 만드는데 노력하나, 의사결정과정이 학교나 학년 운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초등교사는 공동체의식 소유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 규모가 작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을 헌신성, 인간존중, 다원성, 연대의식으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간존중 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학교의 규모가 작을수록 인간존중, 다원성 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의식의 대상별로는 교사와 학생사이, 교사와 교사사이, 교사와 교장사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사이의 공동체의식은 사립학교일수록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체제의 변화에 따른 학교행정가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공립학교 교사들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사립학교의 특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해 학교의 규모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초등학교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새로운 의사결정기구로서 동 학년회의의 활성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 = 5 1.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개념 = 5 2.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특성 = 7 3. 단위학교 책임경영 체제의 영역 = 10 4.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가 지향하는 가치로서의 학교공동체 = 15 B.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적 역할 = 23 1. 초등교사의 전문성 = 23 2. 초등교사의 역할 = 28 3.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 = 34 C. 선행연구 = 46 Ⅲ. 연구 방법 = 49 A. 조사 도구 = 49 B. 조사 대상 = 50 C. 자료의 처리 = 52 Ⅳ. 연구 결과 = 54 A.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한 인식 = 54 1.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개념 = 54 2.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주체 = 59 3.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영역 = 60 B.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 63 1.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 63 2. 역할 수행 방해 요인 = 64 C.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전문적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 65 1. 학습지도자로서의 역할 수행 = 66 2. 전문적 의견제시자로서의 역할 수행 = 67 3. 공동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수행 = 68 4. 협력적 동료관계형성자로서의 역할 수행 = 73 5. 자기규제자로서의 역할 수행 = 74 6. 공동체의식 소유자로서의 역할 수행 = 74 Ⅴ. 결론 및 제언 = 81 A. 요약 및 결론 = 81 1.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한 인식 = 81 2.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 82 3.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 83 B. 논의 및 제언 = 85 참고 문헌 = 87 부록 = 91 1. 설문지 = 92 2. 통계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 98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3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전문적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