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幼兒의 對物愛着의 性格究明을 위한 硏究

Title
幼兒의 對物愛着의 性格究明을 위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searching the nature of intant's object attachment
Authors
劉明姬.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의 目的은 面接表를 利用한 調査方法에 의하여 對物愛着과 이에 관련된 낯가림 및 隔離不安의 性質을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本 硏究의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Ⅰ. 낯가림과 隔離不安 發生率은 强度에 따라 측정한 結果 낯가림의 經驗이 있는 아이는 82.4%로 나타났고 隔離不安의 經驗이 있는 아이는 75.4%로 나타났다. Ⅱ. 낯가림과 隔離不安의 關係 및 特性에 관한 結果 A. 낯가림과 隔離不安과의 關係를 알아본 結果 낯가림의 經驗이 있는 아이는 隔離不安의 經驗이 있는 경우가 많고, 낯가림의 經驗이 없는 아이는 隔離不安의 經驗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統計的으로 의의있는 相關이었다. B. 낯가림과 隔離不安에 關係된 變因들을 分析해 본 結果, 낯가림은 遺傳的인 要因과 관계가 있었고, 隔離不安은 環境的인 要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幼兒의 낯가림 및 隔離不安 經驗有無와 對物愛着과의 關係 A. 幼兒의 낯가림과 對物愛着과의 關係를 본 結果, 낯가림 經驗이 없는 아이가 낯가림 經驗이 있는 아이보다 對物愛着이 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統計的으로 의의 있는 相關은 아니었다. B. 幼兒의 隔離不安과 對物愛着과의 關係에 있어서는 隔離不安의 經驗이 있는 아이는 對物愛着이 없는 경우가 많고, 隔離不安 經驗이 없는 아이는 對物愛着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隔離不安이 없는 아이들이 對物愛着 現象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統計的으로 의의있는 相關이었다. Ⅳ. 幼兒의 낯가림 有無와 愛着物 찾는 경우("愛着物 要求時期 效果") A. "愛着物 要求時期 效果"의 現象이 장영미(1978)의 硏究에 나타난 것은 環境的인 영향을 받아서 어머니가 質問에 잘못 응답하였기 때문에 나온 結果일 수 있다는 假說 1은 부정되었다. B. 本 硏究의 結果에서는 "愛着物 要求時期 效果"의 存在有無를 밝히지 못했으며, 낯가림의 經驗이 있는 아이는 주로 졸리울 때 愛着物을 찾는 경우가 많고, 낯가림의 經驗이 없는 아이는 놀때에도 愛着物을 찾는다는 傾向만을 알 수 있었다. Ⅴ. 對物愛着에 對한 結果 A. 對物愛着의 發生率은 약39%로 나타났고, 性別上의 差異를 보면 男兒(N=84)가 31%이고 女兒(N=58)가 50%를 보이므로써 男兒보다 女兒에게 對物愛着이 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統計的으로 意義있는 것이었다. B. 愛着物의 種類는 70%정도가 幼兒가 어려서부터 계속 利用했던 잠자리 용구 즉 포대기, 이불, 담요, 벼개등이었다. 그리고 愛着의 樣相은 손으로 만지작 거리면서 부드러운 觸感을 찾는 傾向이 있었고 또 입에다 물거나 빠는 行動이 많았다. C. 對物愛着이 始作되는 年齡은 6, 7개월에 많았고, 12, 13개월에 가장 많았다. 이것은 幼兒의 離乳食 始作年齡과 離幼期의 年齡과 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 對物愛着과 이에 관련되는 變因을 본 結果 對物愛着은 어머니가 아이를 다룰때의 接觸度와 接乳方式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아이를 다룰때에 몸에 거의 부치지 않고, 아이를 嚴格하게 다루는 경우 對物愛着現象이 많이 나타났고, 아이를 몸에 많이 부치고 아이를 관대히 다 받아 주는 경우는 對物愛着 現象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授乳狀態에 있어서도 牛乳를 먹은 아이에게서 對物愛着이 많이 나타났고, 모유를 먹은 연령이 증가 할수록 對物愛着이 있는 아이는 현저히 낮아졌다. 그리고 離乳食을 일찍 맞은 幼兒일수록 對物愛着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統計的으로 모두 有意味한 相關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cor-relation of stranger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in discrepant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2 infants from 1 year old to 2 years old, 84 of male infants, 58 of female infants. Sample was randomly corrected from a population of infants living at rich Apartment in Seou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cidence rate of experience of stranger Anxiety between 1 year and 2 years old infants was 82.4% and that of separation anxiety was 75.4%. At here, the method of searching the incidence rate of experience of stranger anxiety is very important which grouping base. Seeing the result of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the infants who feel shy show stronger stranger anxiety and was not affected other factors in Environment. On the other, the Separation anxie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 factors and was not related to inf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Various kind of nutrition infant's take, sleeping habits, eating habits, and mother's attitude when they are with their children had correlation with separation anxiety of infants. This i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Therefore, the mature of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may not be same character. In an eariler study of stranger anxiety, chong(1976) stated, their relationship among the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were not correlated. But chang(1978) showed that the two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gain showed no cor-relationship between infants having object attachment and stranger anxiety. Infants who were experienced stranger anxiety were less had object attachment than infants who were not experienced separation anxiety. But this correlationship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is positive, that is Infants who were experienced separation anxiety were less had object Attachment than infants who were not experienced separation anxiety. Therefore object attachment was more correlated separation anxiety than stranger anxiety in infants.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on the view of nursing. Separation anxiety showed not to the infants who had no touch between mother and infants, and infants no touch between mother and infant showed more many object attachment. therefore infants who had not separation anxiety showed more object attachment than infants who had separation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nger anxiety and the time when an infant seek out attachment object most were not clarified spast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lack of case. Only the incidence was showed. That is: Infants who showed stranger anxiety sought out attachment object especially when they felt sleep, those who did not show stranger anxiety sougth out attachment objects were planning. And, as predication 3(sleep in infants mean "Parting") was supported in this study, the time when an infant seek out attachment object especially when they felt sleep can be explained. Because parting in release into sleep lead to anxiety.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was 39% and Seo(1960) was 27%. Difference between sexes was significant, male infants showed 31% and female infants showed 50%. The factors which affect object attachment were various kind of nutrition, infant take, sleeping habits, eating habits and the mother's attitude when they are with their children have correlated with object atta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