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구조화된 점토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구조화된 점토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유혜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발달지체유아들은 문제행동들로 인하여 미술 활동 중 소외되는 경우가 많으며 참여하더라도 교육의 질적인 부분과 경험의 다양성 부분에서 많이 소외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난이도 조정, 교수 방법과 전달체제의 구조화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해 나아가야 한다. 과제분석(task analyses), 모델링(modeling), 자기교수법(소리내어 생각하기), 교사의 촉진 및 강화를 적용한 구조화된 점토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점토활동 시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성취도를 향상 시켜줄 것이다. 또한 발달지체유아에게는 문제행동으로 인해 적어진 미술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유아들의 성공적인 점토 활동을 위하여 구조화된 점토활동을 중재하고 이 중재 전략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수원 시내 사설 조기 특수 교육 기관을 다니고 있는 발달지체유아 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점토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집단 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받고 있으며, 미술활동 중 많은 문제행동이 있고 낮은 과제수행행동과 과제성취도를 보이는 아동들이었다. 이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점토활동을 연구하였는데, 이때 사용된 구조화된 점토활동은 과제분석(task analyses), 모델링(modeling), 자기교수법(소리내어 생각하기), 교사의 촉진 및 강화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이다. 중재 효과가 집단 활동 상황에서 일반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3회기 일반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재 효과가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종료 4주 후에 4회기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대한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대상아동은 구조화된 점토 활동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대상아동은 구조화된 점토 활동을 통하여 과제성취도가 증가되었다. 셋째, 세 명의 대상아동은 구조화된 점토 활동을 통하여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넷째, 세 명의 대상아동은 구조화된 점토 활동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 증가, 과제 성취도 증가, 문제행동 감소가 집단 활동으로 일반화되었다. 다섯째, 세 명의 대상아동은 구조화된 점토 활동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 증가, 과제 성취도 증가, 문제행동 감소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로 구조화된 점토활동이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아동의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고 자연스럽게 문제행동이 감소되며, 과제성취도를 증가 시켜주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가 다른 환경에서도 일반화되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어짐을 볼 수 있었다.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tend to be isolated in fine arts activities because of their problem behaviors and even when they do participate, they are isolated from education and diversity of experiences. Hence,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through adjustment of education difficulty levels and structuring of instruction maneuver and communication skills. Task analyses, modeling, self-instruction, reinforcement and facilitation by teacher applied structured clay activities help to reduce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task engagement for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during modeling and increase their opportunities for art education. In this study, structured clay activities was interventioned for the successful modeling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improvement in task engagement and task achievement and lowering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 was studied. For this purpose structured modeling was performed in 3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who attended a private early special educational institute in Suwon. They had been receiving group teaching programs and they showed lots of problem behavior and low task engagement and low task achievement. This experiment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o study structured clay activities and the structured clay activities used was a intervention program which applied task analyses, modeling, self-instruction, reinforcement and facilitation by teach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task engagement increased through structured clay activities in all subjects children. 2) The task achievement increased through structured clay activities in all subjects children. 3) The problem behaviors decreased through structured clay activities in all subjects children. 4) The task engagement and task achievement increase and problem behavior decrease was generalized to group environment through structured clay activities in all subjects children. 5) The task engagement and task achievement increase and problem behavior decrease was maintained through structured clay activities in all subjects children. To know the generalization of the effect of intervention in group environments, 3 phase generalization test were done. To know the whether the effect of intervention persist after the activities, the 4 tests about problem behavior, task engagement and task achievement were done. 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clay activities which are structured by task analyses, modeling, self-instruction, reinforcement and facilitation increased task engagement, decreased problem behavior, and improved task achievement effectively. Also, these results were generalized in other environments and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