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은숙-
dc.creator서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68-
dc.description.abstractBy increasing the use of on-line training(e-learning) in firms, many researchers have insisted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e-learning 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e-learning. Previous research on e-Learning in firms has remained a learner's personnel learning performance even if the causes for educational effect have been clarified to some degree. But training is useless if it cannot be translated into performance. There is strong consensus that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behaviors, and attitudes through training is of little value if the new characteristics are not generalized to the job setting and are not maintained over time. Transfer of training is a core issue with respect to linking individual change to the requirement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The present research suggest two research questions. : what are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on-line training transfer and how those variables affect the transfer of on-line training. Based on precious literature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training transfer, the determinants of on-line training performance are derived. Ten hypotheses are sugges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AMOS.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on-line site design, learning effectiveness variables and on-line training transfer are significant.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lso discussed with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기업의 온라인 교육 방법인 e-learning에 있어서 교육을 받는 기업 구성원들의 e-learning을 통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제까지 교육효과를 다룬 많은 연구들이 학습의 결과만을 가지고 교육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배운 내용을 실무에 어떻게 전이(transfer)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서는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기업의 입장에서 실무로의 전의 중요성은 매우 크며, 이는 학습과는 다소 다른 의미가 될 것이라는 가정에서 본 연구는 e-learning의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점적으로 찾아 그 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들을 통해 개인의 직무몰입과 컨텐츠의 직무 연관성 있는 설게, 작업 환경에서의 접속과 사내 업무와 관련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 등인 컨텐츠의 이용 환경, 전이를 촉진하게 돕는 주변 및 조직 환경, 개인의 학습 만족, 학습량을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하고 이들이 전이에 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보았다. 실험결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컨텐츠의 직무 연관성, 조직 환경, 학습이라는 세가지 요인이 있었고, 특히 학습이 가장 많은 영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컨텐츠의 직무 연관성과 조직 환경의 특성이 차지 하였다. 그 밖에 직무 몰입, 컨텐츠의 직무 연관성과 조직환경은 학습에도 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환경은 개인의 직무 몰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의 학습이 조직의 실무에 전이되기 위해서는 먼저 학습이 잘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지만, 컨텐츠를 학습과 전이가 잘 일어 날 수 있도록, 업무 환경과 유사한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하고, 다양한 자료와 사례,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전이 촉진 요소를 넣어 설계해야 하며, 조직에서 주변의 동료와의 상호작용, 상사의 피드백, 보상 제도 등의 지원이 제공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증명해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차 = 1 그림 목차 = 2 논문개요 = 3 I. 서론 = 5 1-1. 연구목적 및 방법 = 5 1-2. 논문의 구성 = 10 II. 이론적 배경 = 11 2-1. e-learning과 기업 교육 = 11 2-1-1. e-learning의 개념 = 11 2-1-2. e-learning의 구성과 특징 = 14 2-1-3. e-learning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주요 연구 = 19 2-2. e-learning과 정보시스템 = 22 2-3. e-learning과 전이 = 25 2-3-1. 전이(transfer)의 개념 = 25 2-3-2. 기업교육에서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 = 29 2-3-3. 기업 교육 훈련에서 전이 과정 모델에 관한 주요 연구 = 40 2-4. 온라인 교육훈련의 특성과 전이 = 45 III.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 47 3-1. 전이 = 48 3-2. 학습 = 49 3-3. 개인의 직무몰입과 전이 = 51 3-4. e-learning 컨텐츠의 직무 연관성 = 52 3-5. e-learning 컨텐츠 이용 환경 = 55 3-6. 전이 지원의 조직 환경(Transfer Climate) = 57 3-7. 연구모형 = 59 IV. 연구 방법 = 60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60 4-2.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63 4-3. 자료 분석 방법 = 64 4-3-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64 4-4. 측정도구의 검증 = 66 4-5. 가설 검증 = 73 4-5-1. 인과분석 = 73 V.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79 VI. 연구 논의 및 시사점 = 80 6-1. 연구 의의 = 80 6-2. 본 연구의 한계점 = 81 VII. 참고문헌 = 83 VIII. 부록 = 92 IX.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3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업의 e-learning에서 개인의 학습 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