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조직구성원의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조직구성원의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승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 들어 국내에도 사회전반에 걸쳐 윤리적 문제들이 크게 쟁점화 되고 있으며, 글로벌화로 인해 이제 국내 기업들도 국제기준에 맞는 윤리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윤리적 조직을 위해서는 우선 조직을 이루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의 윤리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며, 단순한 개인 수준의 윤리가 아니라 조직 내 구성원으로서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한 개인이 조직구성원으로서 비즈니스 상황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처했을 때, 윤리적 의사결정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인지된 도덕적 강도(결과중대성과 사회적 압력)와 직무만족을 독립변수로 하고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IT(Information Technology)와 IS(Information System)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그 관계를 살펴보았고,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사의 도덕적 역량이 개인의 인지된 도덕적 강도와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관계, 직무만족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있어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11개 기업에서 5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되기 어려운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95부의 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와 이에 따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인지된 도덕적 강도(결과중대성과 사회적 압력)와 직무만족은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도덕적 강도의 영향에 대한 결과는 Jones(1991)의 이론모형을 재입증한 것이며, Reidenback & Forrest(1996), Singapakdi et al.(1996), Paolillo & Vitell(2002)의 실증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개인의 인지된 도덕적 강도가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는 윤리적 이슈는 역시 사회적이며 상황적인 맥락에서 고려되며 조직에서의 사회적 학습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윤리적 조직을 위해서는 도덕적 강도가 강한 개인을 조직구성원으로 선발하거나 도덕적 강도에 대한 개인의 인지를 높이는 윤리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윤리경영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좋은 방안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높여줌으로써 종업원들이 보다 윤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둘째, 결과중대성, 사회적 압력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정(+)적 관계에 있어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조절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직무만족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정(+)적 관계에 있어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조절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5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중 선의의 윤리적 분위기와 원칙주의적 윤리적 분위기는 조절변수가 아니라 독립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넷째, 도덕적 강도(결과중대성과 사회적 압력)와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정(+)의 관계는 상사의 도덕적 역량에 의해 강화될 것이라는 가설 6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직무만족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정(+)의 관계는 상사의 도덕적 역량에 의해 강화될 것이라는 가설 7도 채택되었다. 이 결과는 상사의 도덕적 역량이 도덕적 강도와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관계와 직무만족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한 것이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다룬 실증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 상황에 서구선진 사회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들을 국내 기업 환경에 적용해보고, 국내 현실에 적합한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노력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국내에 Jones의 도덕적 강도, Petrick & Quinn의 도덕적 역량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들의 이론을 토대로 최초의 실증연구를 실시하였고, Jones의 도덕적 강도의 구성요소를 요인분석을 통해 "결과중대성"과 "사회적 압력"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을 기존의 마케팅이나 판매직 종사자들에서 IT·IS 직종 종사자들로 확대하였다는 점등이 본 연구의 공헌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외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설문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표현과 의미에 있어서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문화적 차이도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변수의 개념에 따라 국내 문화에 적절한 설문척도 개발과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과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간의 관계가 정(+)적임을 입증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의 5가지 하위요인(임금, 승진, 동료, 상사, 직무자체) 중에서 어떤 요인이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와 더 많은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을 제안한다. 셋째, 설문응답자들이 윤리를 매우 민감한 주제라 여겨서 윤리적 의사결정과 관련된 질문들에 대하여 자신들이 실제로 생각하는 것을 대답하기보다는 사회에서 바라는 당위론적 응답을 했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윤리를 일상생활의 원칙으로 체화되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양성하기 위한 윤리교육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며, 향후 윤리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중 의사결정 의도에 국한하여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가 궁극적으로 윤리적 행위로 나타나는 과정에 대해서는 탐색하지 못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의도에서 행위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탐색을 제안한다. 다섯째, 직무만족이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대한 영향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고찰하였는데, 이 두 변수간의 쌍방향 관계에 대한 탐색을 향후 연구과제로 제안한다. 여섯째, 본 연구는 도덕적 역량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미치는 상사의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도덕적 역량의 선발도구로서의 활용과 개인수준이 아닌 집단 및 조직수준의 도덕적 역량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일곱째, 윤리적 의사결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에 집중되어있고, 개인의 태도에 관한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은 검증을 하였으나, 조직몰입은 연구모형에 설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조직몰입을 포함한 다른 여러 개인의 태도에 관한 요인과 윤리적 의사결정과의 관계에 관한 이론 및 실증연구를 제안한다. 여덟째, 본 연구는 개인의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초점을 두었다. 실제 기업에서의 중요한 의사결정은 팀이나 이사회 혹은 위원회 등 집단 및 조직수준에서의 의사결정으로 주로 이루어지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차원을 개인수준에서 집단 및 조직수준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Nowadays, ethical problems become society-wide issues in Korea. Domestic companies once realized that global standard regarding ethical management is essential factor, and they're trying to apply it in various ways. For ethical organization, we need to consider members' individual morality at first, not focusing on individual ethical level but their ethical level as a member of team or organiz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clarify when a person faces an ethical dilemma in business situation, what affects on his or her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I set perceived moral intensity(magnitude of effect and social pressure) and job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nd perceived supervisor's integrity capacity as moderate variables. In this study, there are seven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 and tested by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sample were consisted in 550 IT(Information Technology) IS(Information System) specialists of 11 corporations. Actually, 295 of 550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moral intensity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Especially moral intensity affects more on the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It reveals that ethical issues are usually regarded in social, situational context, and decided following soci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refore for the ethical organization, organization nedd to select members with perceived high moral intensity and training employees to perceive high moral intensity. In addition, the fact that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means that employer can trigger employees to make a ethical decision intent by raising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principled organizational climate i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ral intensit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Third,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is not moderate th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is proved as a independent variable. Forth, perceived supervisor's integrity capacity is proved to be 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intensit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and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These results prov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such a meaningful since it has been conducted to apply ethical decision making models form western country to domestic situation and suggest proper ethical decision making model fit for current business situation in Korea. Second, this study supported Jones'(1991) model and clarified the experimental factors of moral intensity. Third, this study calrified the experimental factors of Victors & Cullen's(1988) ECQ. Forth, this study proved supervisor's influence on the subordinate's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So, moral leadership is important to make ethical organization. Fifth, while previous studies regarding ethical decision making focused marketing or sales persons this study had focused IT·IS specialists, so the range of the research subject are extend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based on questionnaires developed by foreign researchers and translated them,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way of expressions and meanings, as well as cultural differences. So, I suggest to develop scenarios and measurement scales regarding ethical dilemmas in the business situation. Second, lots of respondents maybe answered not by their own ethical standards but social standards for they all consider ethical factors as pretty sensitive subject to reply. Therefore we do need to develop regarding the ethical training programs to make social members can internalize ethical code an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moral education and ethical training programs. Third, this study is limited by focusing on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so it wasn't covered the ethical decision making process as a whole. It is needed to study on the other process of the ethical decision making. Forth, this study shows job satisfaction affect on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I think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could be future study subject, too. Fifth, in this study, integrity capacit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explain how supervisors have an effect on their subordinates' ethical decision making intent. I suggest that researchers can utilize integrity capacity as a tool to appraise individual's ethical level. Also researchers should elevate their study on ethical issue form individual level up to group or organizational level of integrity capacity. Last, until now many studies concentrate on demographic variables but we need to study on individual attitudes, organizati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