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숙-
dc.creator최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6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발생율과 더불어 항암약물요법과 방사선요법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로 인한 불편감 역시 환자를 괴롭히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불편감은 약물요법 자체로 인한 것이기는 하나,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문제가 복합된 것이며, 여러 가지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약물요법을 투여한 소화기계 암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및 불편감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에 화학요법을 1회 이상 투여한 환자 96명 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03년 10월부터 11월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질병상태,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 검정법, ANOVA, Duncan 사후검정,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내적 통제위 성격은 평균 29.88점, 타인 의존성 통제위 성격은 28.69점, 우연 통제위 성격은 20.63점으로 내적통제위 성격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대상자는 중간정도의 불안(42.07점)과 불편감(38.68점)을 나타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통제위 성격은, 우연성 통제위 성격이 성별(p=.004), 교육정도(p=.002), 가정에서의 주 보호자(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안 정도의 차이는 연령(p=.015), 성별(p=.040)에 따라, 불편감의 정도는 연령(p=.021), 성별(p=.031), 종교(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대상자의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건강통제위 성격은, 타인의존성 통제위 성격이 진단병기(p=.040), 치료기간(p=.012), 진통제 복용 유무(p=.006)에 따라, 불안 정도는 약물요법의 종류(p=.011), 수술여부(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건강통제위 성격 중, 내적 통제위가 높을수록 불안정도는 낮았으며(r=-.2825, p=.005), 우연성 통제위가 높을수록 불안정도와(r=.3855, p=.000), 불편감의 정도가(r=.2961, p=.003) 높았다. 불안이 높을수록 불편감의 정도가 높았다(r=0.4453, p=.000). 5. 불편감에 대해 불안이 23.2%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상자가 우연성통제위를 가질수록, 질병상태가 위중할수록 대상자의 불안정도는 높았으나, 불편감은 질병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우연성통제위를 내적통제위로 전환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킨다면, 약물로 인한 불편감도 훨씬 감소 될 것이다. 이에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다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of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6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in 2003 to November in 2003.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the State Anxiety scale, and Symptom distress scal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χ^(2) verifier and exact inspection method by Duncan, t-test and ANOVA,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AS 8.2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health locus of control showed that the mean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9.88,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came to the average of 28.69,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0.63. Also, the level of anxiety was 42.07, the symptom distress corresponded to 38.68. In detail, symptom distress from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3.15, which was the highest point, followed by fatigue (M = 2.64), nausea (M = 2.55), and decline of concentration (M = 2.50). 2. As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higher, the anxiety was lower (r=-.2825, p=.005) and the symptom distress was also low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 degree of symptom distress (r=-.1575, p=.125). For the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was that as chance locus of control increase, both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also increase (r=.3855, p=.0001 for anxiety, and r=.2961, p=.003 for symptom distress, respectively). 3. It also was shown that health locus and anxiety made a 23.2 % contribution toward symptom distress. Findings of the study implied that the degree of anxiety may increase as disease condition is getting worse, symptom distress is not necessary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us, diverse efforts and nursing plans of nurses are definitely required to decrease symptom distr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용어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5 II. 문헌고찰 = 6 A. 건강통제위 성격 = 6 B. 불안 = 8 C. 불편감 = 10 III. 연구방법 = 13 A. 연구설계 = 13 B. 연구대상 = 13 C. 연구도구 = 14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16 E. 자료분석방법 = 16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17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8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B.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 20 C. 대상자의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 정도 = 24 D. 일반적특성에 따른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 정도 = 28 E.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 정도 = 33 F.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의 상관관계 = 41 G.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이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 43 V.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50 부록 = 56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9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항암요법을 받는 소화기계 암환자의 건강통제위 성격, 불안, 불편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