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하-
dc.creator이경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61-
dc.description.abstract마비말장애는 근육조절 장애가 일어나 근육의 운동능력이 약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마비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구어적 과제를 통한 말평가와 비구어과제인 구강운동기능평가가 있다. 구강운동기능평가 방법 중 지각적인 방법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객관적인 측정방법을 사용한 평가방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말을 중심으로 한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와 혀의 강도(strength).운동범위(range of motion, 운동범위)와의 관계를 살펴고자 했다. 또한, 이와 함께 정상집단과 마비말장애 환자 집단 간의 혀의 기능 및 말명료도 간의 관련성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혀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을 제작하고, 운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세웠으며, 일음절 낱말 명료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비말장애, 정상 집단 각 20명(평균 64세)을 대상으로 혀의 강도는 혀의 앞쪽, 오른쪽 외측, 왼쪽 외측 강도를 3회에 걸쳐 측정해 최대 측정치를 기록하였다. 혀의 좌우·상하 운동범위는 혀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최대한 내밀었을 때의 길이와 혀를 위쪽과 아래쪽으로 최대한 내밀었을 때의 길이를 측정한 것으로 강도와 마찬가지로 3회 중 가장 길게 측정된 수치를 기록하였다. 말명료도는 일음절 낱말 명료도 검사를 이용해 명료도 평정치와 오류율을 산출하였다. 혀의 위치에 따른 강도, 혀의 좌우·상하 운동범위, 말명료도와 정상·마비말장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혀의 위치에 따른 강도와 혀의 좌우·상하 운동범위에 대한 말명료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했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혀의 앞쪽·오른쪽 외측·왼쪽 외측 강도, 혀의 좌우·상하 운동범위 모두 정상 집단이 마비말장애 집단에 비해 높은수치를 나타냈다. 말명료도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혀의 각 위치에 따른 강도와 좌우·상하 운동범위 모두 각각 말명료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말명료도를 예측하는 지표로 혀의 강도와 운동범위가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지각적 평가와 기기를 사용한 평가 방법 간에도 높은 관련이 있었으며, 시지각적 평가 방법의 경우에도 혀의 강도, 운동범위와 말명료도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마비말장애 환자의 경우에 정상 집단에 비해 혀의 기능 약화를 보이며 말명료도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마비말장애 집단내에서 혀의 기능과 말명료도 간의 상관관계가 높다는 결과는 마비말장애 집단에 대한 비구어적 평가가 구어적 평가와 관련이 높다는 것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마비말장애 환자가 보이는 근육의 약화가 말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이러한 비구어적 평가와 구어적 평가의 관련성을 통해 이를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assess differences in tongue performances and speech intelligibility between normal and dysarthric speakers; and (2) to analyze the possibl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ongue strength , range of mo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c patients. In order to measure maximum strength of anterior and lateral tongue strength, a force transducer has been designed. And a ruler was used for gauging range of motion. "Word intelligibility test"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t tes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ysarthric speakers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n the normal in the tongue strength, range of mo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tasks; and (2) the correlation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instrumental tongue performance was high in the dysarthric group; and (3) instrumental assessment was coincide with perceptual judgement of dysarthric tongue performance. The present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ongue weakness is causally related to articulation deficits in dysarthria. The clinical use of the force transducer would help a speech pathologist to quantify the degree of tongue weak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II. 이론적 배경 A. 마비말장애의 특징과 평가방법 = 4 B. 마비말장애 환자의 혀의 강도·운동범위 = 5 C.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명료도 평가 = 8 D.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명료도와 혀의 기능 = 10 III. 연구방법 = 12 A. 연구대상 = 12 B. 도구 = 13 C. 연구절차 = 14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16 IV. 연구결과 A. 혀의 위치에 따른 두 집단간 혀의 강도 비교 = 17 B. 혀의 운동범위에 따른 두 집단간 비교 = 20 C. 명료도 평정치, 오류율과 두 집단간 비교 = 22 D. 마비말장애 집단내 혀의 강도·운동범위와 말명료도간 비교 = 23 E. 시지각적 평가방법과 기기를 사용한 평가방법간 비교 = 25 V. 결론 및 논의 A. 결론 및 논의 = 27 B. 연구의 제한점 = 32 C. 제언 = 33 참고문헌 = 34 부록 - 1 마비말장애 피검자 정보 = 38 부록 - 2 일음절 낱말 대조 명료도 검사 문항 = 39 부록 - 3 검사문항 (제시 예) = 40 부록 - 4 명료도 평가 기록지 = 41 부록 - 5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셀과 LED = 46 부록 - 6 혀의 강도 측정 = 46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7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마비말장애 환자의 혀의 강도·운동범위와 말명료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