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나래-
dc.creator김나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58-
dc.description.abstract다운증후군은 대표적인 염색체 질환으로, 다운증후군의 여러 특성은 음운발달에 영향을 끼쳐 조음장애를 지니게 하며 정신지체 아동보다 더 심한 조음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다운증후군의 조음장애에 관한 외국의 선행연구들은 다운증후군의 음운발달이 정상아동과 비교하여 양적으로 많이 지체될 뿐이라는 주장과, 정상아동과는 다른 일탈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주장을 계속해 왔다. 이러한 다운증후군아동의 음운발달과 어린 정상아동의 음운발달 사이에 유사성과 차이점은 음운오류의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에서 더 잘 드러났다. 다운증후군아동의 음운오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한 방법은 음운변동분석이었다. 음운변동이란 말소리에서 각 개별 음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말소리의 군(class)이나 말소리 위치 등에 따라 규칙적으로 일어나는음소(phonetic) 또는 음운(phonemic)의 변화를 말한다. 음운변동은 잘못 발음한 음소와 목표되는 음소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데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선행연구들은 정상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변동과 정상아동에게서 흔하지 않은 음운변동을 기준으로 다운증후군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운변동패턴을 분석하였다. 다운증후군의 음운발달과 음운오류에 대해 외국의 선행연구들이 다수의 연구물들을 제시한 것에 비하여, 국내에서 다운증후군의 음운발달과 음운오류를 체계적으로 기술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운변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다운증후군의 음운변동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운증후군을 조음장애 정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간에 음운변동 출현율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 15명과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 15명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낱말자음검사를 이용하여 말자료를 수집하였고 음운변동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음운변동별로 두 집단간에 출현율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보다 전체 음운변동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보다 생략 및 첨가변동의 전체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보다 음절구조 변동, 조음방법 변동 및 조음위치 변동의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셋째,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집단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보다 대치변동의 전체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은 경중도 조음장애 집단보다 조음방법 변동과 조음위치 변동의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넷째, 동화변동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동은 하나도 없었다. 다섯째, 고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은 경중도조음장애 다운증후군 집단보다 기타변동의 전체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기타변동 중에서 긴장음화와 모음변이의 출현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다운증후군 집단 내의 음운변동패턴의 차이를 우리나라 정상아동의 음운변동패턴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아동은 정상아동과 비교하여 양적으로 많이 지체되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있었다. 또한 다운증후군 집단 내에서도 양적인 차이와 질적인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자음정확도는 임상 현장에서 조음장애 선별검사의 유용한 지표로 사용된다. 다운증후군 아동을 자음정확도로 구분하여 이들의 음운특성을 밝힌 본 연구 결과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조음장애를 진단하는데 정보를 제공하여, 불명료한 발음문제로 인하여 사회통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조음지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honological processes of the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Total of 30 children was used inthis study. 30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was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mild-moderate & severe) by their scores in a picturearticulation test. Their articulation errors including omissions, additionsand substitutions were coded into phonological processes. Those phono-logical processes were discussed in several ways: syllable structure,place, manner, assimilation. tenseness, and aspiration of sounds. Datawere analyzed by percentage of occurrence of each process. Mann- Whitney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y percentage of occurrence of each process. Results showed that several proces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between the two groups : syllable structure in omissions and additions, place in omissions and additions, manner in omissions and additions, place in substitutions, manner in substitutions, tensing, and vowel deviation. These patterns seem to be useful in the articulation evaluation of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6 C.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음운변동(phonological process) 특성 = 8 B. 우리나라 정상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 11 C. 다운증후군의 신체적 특성 및 언어능력 = 14 D. 다운증후군의 음운발달 및 오류 특성 = 15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검사도구 = 23 C. 연구절차 = 24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7 E. 신뢰도 = 27 Ⅳ. 결과 = 28 A. 다운증후군 두 집단의 음운변동 출현율 비교 = 28 Ⅴ. 결론 및 논의 = 39 A. 결론 및 논의 = 39 B. 연구의 제한점 = 45 C.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록 - 1> 낱말자음검사 기록지 = 51 <부록 - 2> 언어자극 제시법 = 53 <부록 - 3> 음운변동의 정의 = 55 <부록 - 4> 음운변동 분석표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6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다운증후군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