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오복-
dc.creator윤오복-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56-
dc.description.abstract아동학대는 인류역사와 더불어 존재해 온 보편적인 문제이나 20세기에 들어서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개정아동복지법 내용 중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규정이 정비되면서부터 신고의무자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대아동의 치료나 학대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신고의무자인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경험실태를 파악하여 아동학대의 전문적 간호중재 역할을 위한 계속 교육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조사는 2003년 10월1일부터 10월 20일까지 20일간 시행하였으며 서울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의 소아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의 인식은 학대 실태에 대해서는 많이 발생하며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연령(x^(2)=6.261, p=.038)이 높고 기혼(x^(2)=5.925, p=.048)일수록 인식도가 높았다. 아동학대에 정의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바르게 인식하고 있으나 '아동을 공중관람 시키는 일', '구걸하는 행위를 시키는 행위'등과 같이 비 신체적 학대 행위에 대해서는 아동학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소아병동 간호사는 90%이상이 아동학대 발견 시 신고하겠다고 하였으며, 신고는 아동관련 상담소, 경찰서나 파출소, 지역사회복지관, '1391'전화, 병원 내 관련 상담소라고 응답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신고관련 제도에 관해서는 인식정도가 낮았다. 즉 신고전화번호, 신고의무자, 신고의무제에 관해서는 대부분 잘 알고 있지 못하였으며 약 50%가 대중매체를 통해서 알고 있을 뿐 교육을 통해 알게 된 경우는 소수에 불과 하였다. 그러나 아동 학대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는 '1391'전화(x^(2)=9.835, p=.012), 신고의무자(x^(2)=8.395, p=.005), 신고의무제(x^(2)=5.005, p=.033)에 대해 비교적 잘 알고 있었다. 또한 신고제도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아동학대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3년제 대학 과정 (x^(2)=8.515, p=.013)의 간호사가 신고제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신고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아동의 보호체계마련, 신고제도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아동학대 관련 교육에 관해서는 96%이상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교육내용으로는 '아동학대 신고절차 및 신고의뢰기관에 관한 정보'가 가장(29.6%) 많았으며, '학대아동 상담 및 관리 방법', '학대 부모 상담 및 부모교육', '학대받은 아동을 발견하는 방법' 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시기에 대하여는 46%이상이 학부과정에서 그 밖에 직무·보수교육, 대학원과정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2. 소아병동 간호사의 임상에서의 아동학대 경험은 약 60%가 아동학대를 발견한 적이 있었다. 이 중 약 25%가 신고를 하였다. 아동학대의 발견은 기혼(x^(2)=7.088, p=.011)인 경우와 아동학대 교육을 받았던 간호사(x^(2)=5.902, p=.015)가 많이 발견하였다. 발견된 아동학대의 유형은 신체적 학대가 40%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서적 학대, 방임, 성적학대 순이었다. 아동학대를 신고한 기관은 병원 내 관련 상담소가 6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 아동관련 상담소, 1391전화 순이었다. 신고 후 조치 사항은 '아동이나 보호자 면담', '격리보호'와 그 밖에 '현장 조사,'상담치료', '정보제공', '의료기관 의뢰', '지역자원 연계'가 이루어졌다. 아동학대를 발견하였으나 신고하지 않은 이유는 증거·사정지식 부족이 가장 (36.1%) 많았고, 양육은 부모의 권한이란 인식, 신고 처와 절차인식 부족, 신고 시 부모·아동의 악영향을 우려하여, 그 외 업무관련성 부족 및 관심부족 등의 이유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인 간호사의 경우 아동학대의 심각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과정을 통해 아동학대 관련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임상에서 간호중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아동간호학 및 직무교육 등에서 아동학대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아동학대 및 개정아동복지법에 관한 인식의 개선을 위한 홍보 및 계속 교육을 제언한다. 2. 아동학대 발견 시 간호사가 판단할 수 있는 간호사정도구의 개발과 전문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아동학대 전문팀 구성을 제언한다. ;Child abuse has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as one of the universal problems, but it is emerged as one of the gravest social issues since the 20th century. As the revised Child Welfare Act in 2000 included regulations about who is responsible for reporting to the authorities for child abuse, obligators' awareness on child abuse is needed more. It's impossible to remedy the situation if it's not reported, and the role of nurses, one of the obligators, is cru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nurses perceive child abuse and their experiences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f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 in child abu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pediatrics ward,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October 1st through 20th, 2003. Al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s well.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rses investigated thought that child abuse took place a lot, and took the situation seriously. Those who were older(x^(2)=6.261, p=.038) and married(x^(2)=5.925, p=.048) were more keenly aware of i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 correct understanding of it, but there was some misunderstanding since non-physical abuse, such as making a child beg or viewed by the public, wasn't considered child abuse. More than 90 percent of the nurses were willing to report to a child-related counseling center, police station, police box, local welfare agency, 1391 phone service or hospital counseling center if they find a child abuse case. However, they didn't know about the report system well. Most of them did not know about the right phone number, a report obligator or the compulsory report system. About half of the nurses knew about them through mass media, and only a few were educated about them. But those who are educated about child abuse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compulsory report system(x^(2)=5.005, p=.033), the right phone number(x^(2)=9.835, p=.012) and about a report obligator(x^(2)=8.395, p=.005). The report system was mostly consider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child abuse, and the nurses from a three-year college (x^(2)=8.515, p=.013) felt the higher need forthe report system. In order to have that system work proper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to protect children and to promote publicity activities on the report system. More than 96 percent found it necessary to take education about child abuse. Concerning what to be educated, information on report procedure and the right authorities (29.6%) was most widely requested, followed by how to provide counseling to abused children and manage them, how to offer counseling to abusive parents and educate them, and how to discover abused children. As for the right timing for education, more than 46 percent believed that it should be conducted at college or graduate school or as part of on-the-job training or reeducation courses. 2. As for their clinical experience of child abuse, approximately 60 percent had ever witnessed child abuse. About 25 percent of them reported. The child-abuse cases were more frequently discovered by the married nurses (x^(2)=7.088, p=.011) and by the ones who are educated about that(x^(2)=5.902, p=.015). The most frequent case was physical abuse (40% or more), followed by emotional abuse, letting children alone and sexual abuse. The most common organization they reported to was counseling centers in hospitals (60%), followed by child-related counseling centers and the 1391 phone. After they reported, it's attempted to have an interview with abused children or their protectors or to let the children separate from their abusers. The other actions to be taken were on-the-spot survey, counseling, providing information, asking medical institutes for help, and utilizing local resources. The biggest reason they didn't report was a lack of evidence or relevant knowledge (36.1%). The other reasons were that they believed child rearing was parents' right, a lack of information about where and how to report, and concern for its possible adverse impact on abus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some responded that it's not their duty or they weren't interested in that issue. Thus, the nurses, one of the obligators who must report child abuse cases, felt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but they failed to provide successful nursing intervention because they hadn't been educated about that. Therefore, it's required for child nursing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courses to deal with child ab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1. Publicity campaign and continuing education to improve perception on child abuse and the revised Child Welfare Act are suggested. 2. It is suggested to make a specialized team for child abuse, and develop an instrument to help a nurse to make a decision and to intervene professionally when a child abuse case is fou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6 II. 문헌고찰 = 7 A. 아동학대 = 7 B. 아동학대 관련 선행연구 = 17 III. 연구방법 = 20 A. 연구설계 = 20 B. 연구대상 = 20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0 D. 연구도구 = 21 E. 자료 분석 방법 = 21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 24 C.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 간호 경험실태 = 30 D.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인식 및 경험의 차이 = 37 V.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4 부록 1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우리나라 아동학대 발생에 대한 인식 차이 = 48 부록 2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우리나라 아동학대 심각성에 대한 인식 차이 = 49 부록 3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발견경험 차이 = 50 부록 4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간호 유경험자의 신고에 대한 차이 = 51 부록 5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 간호 무경험자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인식 차이 = 52 부록 6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1391' 전화신고에 대한 인지 차이 = 53 부록 7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지 차이 = 54 부록 8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신고의무자에 대한 인지 차이 = 55 부록 9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신고의무제 인지 경로 차이 = 56 부록 10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신고도움여부에 대한 인식 차이 = 57 부록 11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교육경험에 대한 차이 = 58 부록 12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 정의에 대한 인식 = 59 부록 13 = 60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23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학대에 대한 소아병동 간호사의 인식 및 경험실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