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기하학적 입체형태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Title
기하학적 입체형태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STUME DESIGN OF ADAPTING THERE DIMENSIONAL GEOMETRIC FORM
Authors
이지수.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기하학입체형태복식다자인장식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an art material continuously studied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life, geometric forms have been introduced with a new modern image such as reasonable structure including clear shape and functional roles to those who live in a modern and technical civilization. The geometric form resulted from the analysis of nature itself is a resonable and logical form of circle, triangle, or quadrangle inherent in nature's order, and because of its simplicity which stimulates and makes our vision react, it can express diverse characteristics integrating and transforming according to its goals. Cunently expression ways in geometric forms are employ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geometric aspects.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examin three dementional geometric form in costum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ssibility for endless development inherent in costume and expansion of expression area by reorganizing three dimensional geometric form as a formative material to costum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forms were examined. As a way to realize the concept, new formative value was studied by searching for formation process of geometric forms in early twentieth century. By analyzing several designer's works, how three dimentional geometric form was expressed on was considered as well. With the above basis, among various three dimentional geometric forms, triangonal and rectangonal pillars, rectangular and circular pillars were expressed by restructuring them formativel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Literature review and reference works for theoretical background were collected, cleared off,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above, works were created. The creation of works was focused on formative quality, simplicity, and moderate composition as three dimentional expression. Including six practical works and two disign suggestions, eight works were proposed all together. What follows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characteristics of three dimentional geometric form as a formative element coald make it possible to extend three dimentional feelings in costume's relation to body. Second, strong visual effects could be expressed along with colors by harmonizing three dimentional geometric form which gives simple and clear sense with soft one-piece or two-piece in soft and simple quality. Third, endless possibility for compositional method could be recognized in finding and establishing new formative world by moderate composition when forms meet forms.;기하학적 형태는 인류의 생성과 더불어 끊임없이 연구되어 온 예술소재로서 현대의 기계문명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명쾌한 형태 및 기능성을 포함한 합리적 구조 등 현대적 미감의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형태는 그 스스로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 형태이며, 우리의 시각을 자극하고 반응하게 하는 간결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자신의 목적에 따라 변형하고 종합하여 다양한 특성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기하학직 형태의 표현방법은 오늘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조형적 측면에서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하학적 입체형태를 복식에서 조형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형소재로서 기하학적 입체형태를 복식에 재구성하여 복식에 내재된 무한한 개발 가능성과 표현영역의 확대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 및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고, 그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20세기 초반에 나타난 예술사조에서 기하학적 형태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서 기하학적 형태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또한 몇몇 디자이너의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기하학적 입체형태가 복식에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기하학적 입체형태중 유의표출한 삼각뿔, 사각뿔, 사각기둥, 원기등의 형태를 중심으로 조형적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수집하여 정리, 분석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은 입체적 표현으로 조형성과 간결함, 절제된 구성에 중점을 두어 실물 6점과 디자인 제시 2점을 합하여 총 8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하학적 입체형태의 조형요소로서의 특성은 복식과 인체와의 관계에 대한 3차원적 입체감을 확대 시킬수 있었다. 둘째, 단순하며 명쾌한 감각을 주는 기하학적 입체형태를 부드러운 곡선의 단순한 원피스나 투피스 위에 조화시킴으로서 색상과 함께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세째, 형태(形態)와 형태의 만남에 있어서 절제있는 구성으로 새로운 형태의 세계를 발견하고 수립하는데 있어서 구성방식의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