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余星姬.-
dc.creator余星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0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라산에 자라고 있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변이현상을 밝히기 위하여 고도별로 A(해발600m), B(해발 1000m), C(해발 1500m)의 세 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자라고 있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외부형태학적, 세포학적 차이와 유사성을 분류학적인 면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채집한 식물의 일부는 이대 약초원에 심었고 나머지는 표본으로 만들어 외부형태, 잎의 표피, 화분의 크기, 염색체수 등을 비교 관찰하고, 토양함 수량을 측정 하였다. 각 지점에서 조사한 미나리아재비 무리의 특징은 Table 2와 같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저지 (A지점 : 해발 600m)에서 고지대 (C지점 : 해발 1300m)로 올라감에 따라 외부형태학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고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에 비하여 저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는 키나 밑둥잎(Basal leaf)이 컸으며 한 개체에 달린 꽃의 수도 많았다. 그리고 고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줄기나 잎에 나있는 털은 거세로 노란갈색이었는데 저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털은 성기며 흰색이었다. 2. 이 세지점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염색체수는 2n=14로서 모두 동일하였으며 화분의 크기, 공변세포의 크기, 표피의 기본형에서도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한라산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변이현상은 고도의 구배에 따른 생태적 변화이며 세포질 유전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3. 한라산의 저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는 Ranunoulus japonicus Thunb. 로, 고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는 Ranunoulus orucilobus var. chrvsotrichus Nakai로서 각각 다른 종으로 취급되어 왔는데 이와는 달리 본인은 고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는 저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가 고지대의 환경에 적응한 생태종(Ecotype)으로서 저지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무리의 아종(Ranunoulus japonicus Thunb. ssp. chrvsotrichus(Nakai) Y. Lee comb. nov.)으로 보았다.;In order to clarify taxonomical status of R. japonicus complex in Hanla mountain, cytological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mong R. japonicus complex were investigated at three altitudes of Hanla mountain. Author used the living and dry materials which collected from Hanla mountain. R. japonicus complex was compared at three altitudes based on the chromosome number, epidermis of leaf blade and pollen size. (Table 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distinct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R. japonicus complex at different altitudes; the height, the size of leaf blade and number of flower were the largest in R. japonicus complex A(600m.El.) among the three groups and become smaller as the elevation rises to B(1000m.El.) and C(1500m.El.). The condition of hair of stems and leaves changes from a soft and white. one in R. japonicus complex A to a stiff and yellow-brown in R. japonicus complex C. 2. Chromosome number was fourteen, regardless of which altitude levels the three taxa was derived from pollen size, stomata size and epidermal pattern were not so different among the three taxa. External variation of R. japonicus complex in the Hanla mountain seems to be due to heridity of cytoplasm an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3. R. japonicus complex A and R. japonicus complex C had been identified as R. japonicus Thunb. and R. crucilobus var. chrysotrichus Nakai, respectively, However, R. crucilobus var. chrysotrichus was considered as an ecotype and subspecies of R. japonicus Thunb., which must had been adapted to a high altitude. Therefore R. crucilobus var. chrysotrichus was named R. japonicus Thunb. ssp. chrysotrichus (Nakai) Y. Lee. comb. nov.-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A. 재료 = 3 B. 방법 = 3 Ⅲ. 관찰 = 5 Ⅳ. 고찰 및 결론 = 16 참고문헌 = 18 Abstract = 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3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라산-
dc.subject미나리-
dc.subject아재비-
dc.title한라산의 고도에 따른 미나리 아재비 무리의 변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ariation of Ranunculus japonicus complex at different altitudes in Hanla mountain-
dc.format.page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