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서울特別市 保健所를 利用한 醫療施惠患者의 診療實態 分析에 關한 硏究

Title
서울特別市 保健所를 利用한 醫療施惠患者의 診療實態 分析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nalysis of patient use of the medical services of public health centres in Seoul
Authors
김종민.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보건소의료시혜환자진료실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repor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attending the medical care clinics of the 12 Public Health Centres in the city of Seoul, Korea. The purpose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conditions of patients attending the Public Health Centre medical care clinics and basic data from morbidity rates to contribute to a model of the primary care nursing role, and to further the improvement of medical care services.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answered by 102 medical personnel, doctor, nurses, X-ray and laboratory technicians and pharmacists working in the 12 Public Health Centre clinics and a check list of selected items from the records of the 1616 patients attending the clinics from January to June, 1977. The disease categories were selected from the B group por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diseases and injuries.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and F-test including multiple range tests. Findings included the fullowing : 1. Most of the medical staff had only temporary status(without tenure)(95.1%) 2. All the medical staff receiving a monthly salary of less than 50,000 Won(40.2%) were nurses. Staff receiving more than 300,000 Won(14.4%) were mainly doctors. 3. While 46.1% of the medical staff expressed some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47.1%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salary. 4. The patients using the medical care services were classified as low-income (86.1%) and indigent (14.9%). 5. Disease categories were classified primarily as medical(50.3%), skin(11.9%) and surgical(7.5%). 6. Diagnosis was made primarily by clinical examination (73.9%); 3.4% of the diagnoses were supported by both X-ray and laboratory tests. 7. In the age group 1-9 years, disease categories in order of occurrence were enteritis and other diarrheal dis.(B4), Bronchitis Emphysema & Asthma(B33), Measles(B14), and all other infective & parasitic dis.(B18); in the 10-19 year group, the disease categories were all other dis.(B46), all other injuries(BN50), Burn (BN48); in the 20-39 year group, other complications of pregnancy child birth and the puerperium(B41), symptoms & ill difined conditions(B45), and other tubarculosis, including late effects(B6); and in the 40-60 year group, Enteritis and other diarrheal dis(B4), Hypertensive dis(B27), all other injuries(BN50), other tuberculosis, including late effects(B6). 8.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and extent of illness; the longer the illness the greater number of patients. 9.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medical care and visits to the clinics; as the months of the year passed, the number of visits per month decreased.;대도시에서 시행하는 일차 진료사업의 실태에 관한 본 연구는 보건의료 요원의 특성과 이들이 제공한 진료상황 및 이 사업을 이용한 의료시혜 환자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1977년인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특별시 12개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 의료요원 120명중 102명과 1977년 1월 4일부터 6월 30일까지 보건소를 이용한 일부 의료시혜 환자 1,61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전 준비된 2종류의 설문지를 조사원으로 하여금 직접 방문하여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치,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필요에 따라 유의성 검증 Chi-square Test와 분산분석 및 Duncan Test로 전자계산 조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보건 의료요원의 연령 구성은 20~29세가 42.2%였고 그 중 간호원이 65.8 %였으며 성별은 여자가 77.6%로서 남자의 약 3배였다. 한편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62.8%, 미혼자가 35.3%로 의사 외의 요원은 약 50%가 미혼자였다. 2. 최종 졸업학교는 대학수준이 48.1%, 전문학교가 48.0%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은 2.9%였으며 직급사항은 임시직이 95.1%였다. 3. 임상분야 근무 년수는 1~3년미만이 45.1%로 가장 많았고 그 중 간호원이 61.1%를 차지했으며 반면에 의사는 3~20년까지의 장기간 근속자들이었다. 그리고 보건분야 근무년수는 1~3년미만이 84.3%로 대부분이었다. 4. 월보수 분포는 5만원미만이 40.2%로 이는 모두 간호원에 해당하였으며 의사의 경우는 30~50만원으로 간호원의 약 10배 였고 그 외의 요원은 5~9만원이었다. 5. 업무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46.1%로 가장 많았고 월 보수 만족도는 "아주 불만이다"가 47.1%로 전체의 약 1/2이 나타났다. 6. 의사의 1일 진료환자수는 평균 15명으로서 10~19명이 33.3%, 20~29명이 30.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7. 보건소를 이용한 의료시혜 환자 중 영세민 저소득자가 85.1%, 생활 보호대상자가 14.9%였다. 8. 월별로 질병을 분류해 보면 1월부터 6월까지 기타 모든 질환 (B_(46)), 47.7%, 장염 및 기타 설사성 질환(B₄), 12.3%, 기관지염 폐기종 및 천식 (B_(33)) 7.2%, 고혈압성 질환 (B_(27)) 6.5%, 증상 및 기타 진단명 불명확의 상태 (B_(45)) 4.5%, 기타임신 출산 및 산욕의 합병증 (B_(41)) 3.3%, 소화성궤양 (B_(34)) 2.6%, 기타 모든 상해 (BN_(50)) 2.2%, 기타 결핵 (후유증 포함) (B_(6)) 1.7%, 양성 신생물 및 성질불명의 신생물(B_(20)) 1.4%가 가장 많았고 전체의 89.4%를 차지하였다. 9. 전문과별 질병분류는 내과질환이 50.3%, 피부과 질환이 11.9%, 일반외과가 7.5%로 월별에 상관없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10. 진단방법에 대한 전문과별 분류는 일반진단이 73.9%로 대부분 이었고 일반진단, X-ray 및 Lab.검사가 3.4%로 가장 적었다. 11. 연령별 질병분류를 보면 1~9세는 장염 및 기타 설사성 질환 (B₄), 기관지염 폐기종 및 천식 (B_(33)), 홍역 (B_(14)), 기타 모든 전염병 및 기생충 (B_(18_)의 순위로 나타났고 10~19세는 기타 모든질환 (B_(46)), 기타 모든 상해 (BN_(50)), 화상 (BN_(48)), 20~39세는 기타 임신 출산 및 산욕의 합병증 (B_(41)), 증상 및 기타 진단명 불명확의 상태 (B_(45)), 기타 결핵 (B_(6)), 40~60세는 장염 및 기타 설사성 질환 (B₄), 고혈압성 질환 (B_(27)), 기타 모든상해 (BN_(5O)), 기타 결핵 (B_(6)), 양성 신생물 및 성질 불명의 신생물 (B_(2O)), 뇌혈관 질환 (B_(30))의 항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12. 성별 질병분류는 남자가 56.7%로 여자와 비교해 볼 때 차이가 없었고 남자의 경우 호흡기계의 결핵 (B_(5)), 기타 결핵 (B_(6)), 간경변 (B_(37)), 신염 및 신증 (B_(38))이 많았고 여자의 경우는 장염 및 기타 설사성 질환 (B₄), 기타 모든 전염병 및 기생충 (B_(18)), 양성 신생물 및 성질 불명의 신생물 (B_(20)), 빈혈(B_(23)), 기타 심장 질환 (B_(29))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13. 의료시혜 환자의 유병기간에 따라 3개월 이상 만성질환자 수는 친체의 61.0%로 나타났다. 14. 질병과 유병기간과의 관계는 유병기간의 크기에 따라서 질병의 유병률이 높아지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1) 15. 방문 월수와 진료횟수 와의 관계는 방문월수가 높아감에 비하여 진료환자수가 감소하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01) 투약일수도 방문월수와 진료환자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P=0.004)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