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세경-
dc.creator나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93-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유아교육의 중요성으로 자녀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하고 저렴한 유아교육기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 하에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는 종일제라는 명칭 대신 통합형 취학 전 교육(Edu-care)이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종일제 프로그램을 2003년 3월부터 서울지역 공립유치원 13곳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취학 전 교육에 대한 운영실태를 고찰함으로써 통합형 취학 전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앞으로 확산될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일반운영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양·건강·안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시설·설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4. 부모교육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질문지에 응답한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원감(또는 부장교사) 11명이다. 통합형 취학 전 교육에 대한 운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도구로써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종일반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운영에 대해 살펴보면,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은 7시부터 20시까지 반일반 전·후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2명의 교사가 교대로 오전·오후 근무를 하고 있었다. 학급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유아로 구성되어졌으며, 학급당 유아수는 20명 이하였다. 오후 교육활동은 오전 교육을 심화하는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토요일 교육활동은 반일제과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방학 중 교육활동은 학기 중과 동일하게 또는 견학이나 관람 등과 같은 문화생활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영양·건강·안전에 대해 살펴보면, 영양관리에 있어서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은 점심과 오후 간식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늦은 시간까지 머무는 유아를 위해 일부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에서는 저녁 간식 제공을 하고 있었다. 점심은 초등학교 급식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가 방학일 때에는 조리사를 고용하여 점심 급식을 제공하고 있었다. 건강관리에 있어서 휴식이나 낮잠은 부모나 유아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 곳이 있었으나 대부분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유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되고 있었고 교사들은 유아 건강관리를 위해서 응급약품 구비 등 여러 가지 배려를 하고 있었다. 안전관리에 있어서 유아들은 개별적으로 등원과 귀가를 하였으며, 놀이시설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유아를 보호·감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 하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사고 후 대처방안에 대한 준비는 아직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시설·설비에 대해 살펴보면,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종일 교육과 보육을 할 수 있도록 냉·난방 시설이나 공기청정기, 조리시설 등과 같은 시설들을 갖추고 있었다. 대부분 초등학교 급식실, 조리실, 양호실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유휴교실의 부족으로 연구 대상 중 4곳(36.4%)에서는 반일반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고 있었다. 넷째,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주로 등원과 귀가 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통신문, 전화상담을 통하여 부모교육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해서 교사들은 학교, 놀이터 및 공원 등의 지역사회를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통합형 취학 전 교육반에서 지역사회의 연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했다.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기존 종일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운영시간, 전담교사 확보, 학급당 인원 수, 시설·설비 등에 있어서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이 초등학교에 병설되어있기 때문에 시설·설비를 위한 공간 부족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으며, 건강과 안전 관리 측면에서 교사들은 여러 가지로 배려하고 있었으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대처를 위한 배려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었다. 비록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이 아직은 시범적 단계로 미흡한 점은 있지만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은 시대적 요구에 의해 시행된 것이므로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많은 유아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Early childhood education industry in Korea is rapidly changing along with the changes in both social and individual life style. The demand for all-day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of the increase in nuclear family, double-income house, and higher standards of living. Therefor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executed the Edu-care program in Public Kindergarten since 2003 to meet this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conditions down to the Edu-care program in public kindergarten including general administration, facilitie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s well as parent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had been distributed to 13 teachers who work in public kindergarten running the Edu-care program.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11 respondents and then gathe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1.0. In general administration, the Edu-care class consists of 20 young children or less age from 3-year-old to 5-year-old. The Edu-care program offers an extended schedule from 7:00am to 8:00pm instead of from 9:00am to 5:00pm. Two teachers take charge of the Edu-care class, and they take turns in working hours. The Edu-care program spends more time for free-choice activities and physical exercise than for adult-directed creative activities and instruction. General administration in the Edu-care program satisfies parents. Each public kindergarten provides facilities to manage the Edu-care program efficiently, and also runs a security system. Kindergartens maintain outdoor places such as playgrounds, sand area or water play area as well as relaxation places. They equip air-conditioners, washers, kitchens, and restrooms for children, and so forth. Facilities are the one of essential factors for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For the nutri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du-care program, the kindergarten supply lunch and snacks planned by a dietitian, and children usually have lunch in either half-day classrooms or Edu-care classrooms. Regarding the health care of young children, teachers prepare the place for children to take a nap or rest, and first aid kit is ready to prevent an unexpected accident. Additionally, teachers always provide against an emergency. For the safety, parents take their child to the kindergarten and pick them up from the kindergarten individually. Teachers regularly check up play-toys, equipments and facilities, and teaches children how to protect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nutrition, health, and safety is increasing because young children stay longer in the kindergarten. The cooperation among kindergarten, parents and community is also necessary.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directly or indirectly, and community offers various opportunities that cannot learn from teachers to children. The Edu-care program teachers currently communicate with parents by letters, phone calls, and meetings for parent education, and also contact with community by using children' libraries, government or public offices, and parks or playgrounds. Nevertheless, the communication among them is not sufficiently utilized. Therefore, the Edu-care program manager should try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with family and community.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have limitless potential for the future, and they have the right to receive concentrated care and education in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industry has to make a successive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r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통합형 취학 전 교육의 필요성 및 기본방향 = 4 2. 유치원 종일반 운영의 효과 = 6 3. 외국의 사례 = 11 가. 스웨덴 = 11 나. 덴마크 = 13 다. 핀란드 = 14 라. 시사점 = 16 Ⅲ. 연구방법 = 20 1. 연구대상 = 20 2. 연구도구 = 21 3. 연구절차 = 21 가. 질문지 작성 = 21 나. 예비조사 = 22 다. 질문지 수정 = 22 라. 본 조사 = 23 4. 자료분석 = 2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4 1. 일반운영에 대한 실태 = 24 2. 영양·건강·안전관리에 대한 실태 = 27 3. 시설·설비에 대한 실태 = 37 4.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실태 = 39 Ⅴ. 논의 및 결론 = 42 1. 논의 = 42 가. 일반운영에 대한 실태 = 42 나. 영양·건강·안전관리에 대한 실태 = 45 다. 시설·설비에 대한 실태 = 50 라.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실태 = 51 2.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7 부록 통합형 취학 전 교육(Edu-care) 실태 조사지 = 6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7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통합형 취학 전 교육(Edu-care)의 운영 실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