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9 Download: 0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Title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성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성, 월령, 대상을 중심으로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2.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은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은 대상(교사/또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2세 반 영아 30명이다. 성별과 월령에 따른 연구대상 분포를 살펴보면 개월 수가 높은 상집단의 남아는 7명, 여아는 4명이며, 개월 수가 낮은 하집단의 남아는 8명, 여아는 11명이었다.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 분석 범주는 크게 상호작용능력과 의사소통 의도로 나뉘어진다.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능력에 대한 분석범주는 김정선(2003)의 화행 수행 능력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준을 참고로 사용하였다.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의도에 관한 의사소통 범주는 Pellegrino와 Scopeci(1990), Pellegrini(1984)의 관찰범주를 기초로 한 권혜진(1996)의 상호작용 범주를 참고로 하여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은 오전 일과 1시간 30분 동안 사건표집법을 사용하여 녹음, 관찰하였으며,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과 성, 월령, 대상에 따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영아의 전반적인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아들은 응답과 조정, 진술의 의도를 주로 많이 표현하였고 지시를 가장 적게 표현하였다. 의사소통시 영아들은 자발적으로 대화를 시작하기보다는 상대방의 발화에 응대하는 경우가 조금 더 많았으며, 의사소통 시도 시 사용하는 의도는 진술, 조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상대방에 대한 응대로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능력에서는 상호작용능력 범주 전체와 선행발화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에 후행발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남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보다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자발적으로 대화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의도에서는 의도 전체와 하위범주인 조정, 지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아는 여아보다 의사소통시 의도 표현을 더 많이 하며 특히, 조정, 지시의 의도를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이 표현하였다. 셋째, 월령에 따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능력에서는 상호작용능력 전체와 선행발화, 후행발화, 혼잣말의 모든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사소통 시 개월 수가 높은 영아들이 개월 수가 낮은 영아들에 비해 자발적으로 대화를 시작하고 적절하게 응대하는 반면에, 개월 수가 낮은 영아들은 개월 수가 높은 영아들에 비해 의사소통시 대화자의 발화와 상관없는 혼잣말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의도에서는 의도 전체와 공감, 질문, 응답, 진술, 조정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시를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개월 수가 높은 영아들이 개월 수 낮은 영아들보다 의도 표현을 더 많이 하였다. 즉 영아들은 월령에 따라 의도 표현을 다르게 하였으며, 특히 진술과 질문의 의도에서 높은 개월 수의 영아들이 낮은 개월 수의 영아들보다 더 많이 표현하였다. 넷째, 대상에 따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능력에서는 상호작용능력 전체와 선행발화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사소통시 영아들은 또래에게는 교사에 비해 자발적으로 대화를 시작하는 반면에, 교사에게는 또래에 비해 의사소통 시 응대하는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의사소통 의도에서는 의도 전체와 공감, 응답, 조정, 지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영아들은 의사소통 대상에 따라 의도 표현을 다르게 하였으며, 특히 조정과 지시의 의도를 또래에게 더 많이 표현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mainly considering its gender, monthly age, and the object of communication among other factors which may influence on its communication. This study establishes its subject as following: 1. What is the aspect of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exes in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3. Do any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monthly age in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depending on its object(teacher/peer) of communi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irty, full two-year-old infants, who are going to infant class in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When looking into the object of research according to its gender and monthly age, its range extended from seven male infants and four female infants of the elder group in monthly age to eight male infants and eleven female infants of the younger group in monthly age. The analysis category of infant's communication aspect is largely divided into interactive capability and intention of communication. The analysis category of infant's interactive capability referred to the analysis standard which Chung-Sun Kim(2003) used in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Verbal Communication Accomplishment Capability".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mmunication category of infant's intention on communication referring to the interaction category of Hye-Jin Kwon(1996), which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category in Pellegrino and Scopeci's(1990) and Pellegrini's(1984) respective research. Infant's communication was tape-recorded and observed by the incident list method during morning class for one and half hour, and it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 of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exist any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infant's communication according to gender, monthly age, and the object of communi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the consequence of examining full two-year-old infant's overall communication was that infants more frequently answered, mediated, and expressed their intention of statement; on the other hand, they performed direction at the least degree. During their communication, infants rather answered to the opposite's statement more often than attempted to have a conversation voluntarily, and the most likely, intention of communication turned out to be statement and mediation, and answering appeared the most frequent in treating the opposite. Secondly, the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exist any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full two-year-old infant was: while infant's interactive capabilit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categories of interactive capability and in the category of voluntary attempt, there did not appear any notable differences in proper answering. That is to say, male infants communicated and attempted their spontaneous conversation more frequently than female infants. The intention of full two-year-old infant's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the whole intention and in the subcategory of mediation and direction. Namely, male infa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more often, and especially, they mediated and directed more frequently than female ones. Thirdly, the consequence of investigating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monthly age of full two-year-old infant was that infant's interactive capabilit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the whole interactive capability and all categories of voluntary attempt, proper treatment, and monologue; that is, during communication, while the elder infants in monthly age attempted more voluntary conversation and answered more adequately, the younger infants in monthly age had more tendency to talk to themselves regardless to the opposite's statement during their conversation. The intention of infant's communic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category of intention and in the category of empathy, asking, answering, statement, and mediation. The elder infants in monthly age expressed their intention more often in the whole categories except direction than the younger infants in monthly age. In other words, infants had diverse intention in their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ir monthly age, and especially, the elder infants in monthly age expressed more frequently their intention in the category of statement and asking. Finally, after examining whether there exist any differences in full two-year-old infant according to the object of communication, infant's interactive capabilit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categories of interactive capability and voluntary attempt. That is to say, while infants attempted more voluntary conversation toward their peer group, they treated their teacher by answering during communication. Infant's intention of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intention category, and empathy, answering, mediation, and direction; that is, infants have different intention in their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ir communication, and particularly, they mediated and directed to their peer more oft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