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진-
dc.creator조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8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establish better child-care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major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For this, it was prove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children's temperament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lso each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ecologically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of four-year-old children who have been attending at least over the three months at ten child-care centers in Seoul, Kyung-In, Young-nam or Ho-nam area, their mothers and 10 classroom teachers.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measured by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during indoor free-play sessions in the classroom was observed by the time sampling method of 20-sec observation followed by 10-sec recording for a total of 20 minut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to measure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structural quality of child-care center. The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was evaluated by 80-min observation for two days of indoor free-play sessions. In order to find out about family characteristics along with quantity of child-care experience and children's temperament,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others as well. The responses obtained from the samples have been processed to y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 of major variables by generating the frequencies,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dditio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to analyze family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and family characteristic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and temperament influenc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variables predict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ere mother's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influenced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negative interaction significantly. Also, the levels of family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interaction significantly. Second, after looking at family characteristics that affect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experience, variables predicting quantity of child-care experience were when mothers started to go back to work and length of their working hours. The earlier mothers went back to work, the longer children faced child-care experience. The more hours mothers worked per week, the longer children experienced non-parental care or child-care centers. Also, family variables predicting quality of child-care experience were level of mother's education, family income and when mothers started to work again. When mothers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more stable job and higher income, they tended to begin work right after giving childbirth. Among child-care qualitative factors, these family characteristics indicated notably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and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Third, quantitative variable of child-care predict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the total period of child-care. The amount of non-parental care or the child-care centers children had experienced accounted for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approval-dependence interaction meaningfully. The qualitative factors predict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ere the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and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That was, the lower the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and the more teacher's work experience, the less number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 arose, and this also caused more approval-dependence interaction. The more teacher's positive interaction along with the fewer teacher's negative interaction, this affected the fewer number of children's negative interaction such as physical, verbal attack and interruption. Fourth, temperame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is children's adaptability. The higher level of children's adaptability, children showed more approval-dependence interaction to try interaction with others or ask for help. Fifth, after analyzing the family characteristics, child-care experience and temperam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among qualitative factors of child-care in the approval-dependence interaction of children social inter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followed by the total quantity of child-care, children's adaptive temperament in that order. The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of child-care qualitative factors in children's negative inter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followed by the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education levels of mothers in that order. In conclusion, family characteristic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influenced it indirectly through the quantity of child-care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Also, after looking at family characteristics,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and children's temperament that affect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was the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and the ratio of teacher to children. It indicated that quality of child-care was more important than children's temperam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에 다니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유아기 사회·정서발달을 이해하고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육환경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가족특성, 보육경험의 양과 질적 특성 및 유아 기질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간의 관계를 규명함과 동시에 각 각의 변인들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인지역, 영·호남지역에 소재한 보육시설 10개소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중 해당 어린이집에서 3개월 이상 다니고 있는 유아 250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 10명이었다.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은 사회·정서적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실내자유놀이시간 동안 놀이실에서 일어나는 타인과의 상호작용행동을 20초 관찰, 10초 표기의 시간표집법으로 20분간 관찰하였다. 사회·정서적 문제행동과 보육시설의 구조적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교사상호작용의 질은 실내자유놀이시간 동안 80분 관찰을 2일간 실시한 후에 평정하였다. 가족특성을 포함하여 유아의 보육경험의 양과 기질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가족특성, 보육경험의 양과 질적특성 및 기질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특성이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아의 성을 통제하고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예측하는 가족변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가정의 수입으로, 어머니의 학력은 유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과 부정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정의 수입에 따른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여유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특성이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의 양과 질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의 양을 예측하는 변인은 어머니의 취업시작시기와 근무시간으로, 어머니의 취업시기가 빠를수록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기간이 길었고 어머니의 주당근무시간이 길수록 유아가 타인양육자 또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시간이 길었다. 또한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시설의 질을 예측하는 가족변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가정수입, 취업시작 시기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고 보다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을 때 수입이 많고 출산 후 취업시기가 빠른 경향이 있었으며 이런 가족특성이 보육의 질적 요인 중 보육시설의 교사 대 유아비율과 교사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예측하는 보육의 양적 변인은 유아의 총 보육기간으로, 유아가 타인양육자 또는 보육시설에서 타인양육을 경험한 보육기간의 양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과 승인·의존적 상호작용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예측하는 보육의 질적 변인은 교사 대 유아비율과 교사의 경력,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었다. 즉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낮을수록,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유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났고 승인·의존적인 상호작용이 많았으며,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많고 비판적인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신체·언어적 공격, 방해하기와 같은 유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적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예측하는 기질 변인은 유아의 적응성으로, 유아의 적응성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거나 도움요구를 위한 승인·의존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 승인·의존적 상호작용에는 보육의 질적 요인 중 교사 대 유아비율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총보육기간의 양, 유아의 적응적 기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보육의 질적 요인 중 교사의 상호작용 질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대 유아의 비율과 어머니의 학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가족특성은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유아가 경험하는 보육의 양과 보육시설의 질 선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특성, 보육경험의 양과 질,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 상호작용의 질과 교사 대 유아 비율로, 유아의 기질이나 가족특성 보다 보육의 질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9 Ⅱ. 이론적 배경 = 10 A. 가족특성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 10 B. 가족특성과 유아의 보육경험 = 14 C. 유아의 보육경험과 사회·정서발달 = 16 1. 보육경험의 양과 사회·정서발달 = 16 2. 보육의 질과 사회·정서발달 = 21 D. 유아의 기질과 사회·정서 발달 = 31 E.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과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 36 Ⅲ. 연구 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연구 도구 = 46 C. 연구 절차 = 55 D. 자료 분석 = 59 Ⅳ. 결과 및 해석 = 61 A. 가족특성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63 B. 가족특성이 유아의 보육경험에 미치는 영향 = 64 C. 유아의 보육경험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65 1. 보육경험의 양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65 2. 보육의 질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66 D. 유아의 기질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68 E.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변인의 영향 = 69 Ⅴ. 논의 및 결론 = 71 A. 논의 = 71 B. 결론 및 제언 = 84 참고문헌 = 89 부 록 = 104 영문초록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29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